국내여행/경기도

서울시 최초의 공립수목원, 서울대공원 식물원

kangdante 2025. 6. 20. 06:15
728x90

 

경기도 과천시 막계동에 위치한 서울대공원 식물원은 19855월에 개관하여, 20156월에 법률에 따라 서울시 최초의 공립수목원으로 지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서울대공원 식물원은 전시온실식물주제원식물표본전시관재배온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물과 관련하여 전시수집연구교육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한다.

 

 

전시온실은 총면적 2,825규모에 최고 높이 25m 대규모 온실이며, 온실 내부는 식물의 특성과 자생지 환경을 고려하여 사막관열대1열대2온대관식충식물관 등 5개의 전시관으로 구성하여 세계 각 기후대의 900여 종의 식물이 전시되어 있다.

 

그밖에 야외 식물주제원은 초화원과 수국원으로 계절별로 다양한 꽃들을 만날 수 있는 곳이며, 식물표본전시관에는 다양한 식물표본이 수집전시되어 깊이 있는 식물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한다.

 

728x90

 

선인장과 백도선

 

사막관은 연평균 강수량이 250mm 이하인 건조기후에서 생활하는 식물이 전시된 곳으로, 선인장 및 다육식물 490여 종이 전시되고 있다고 한다.

 

건조기후를 재현하기 위해 한 겨울에도 온도 10°C 이상과 습도 40% 이하로 유지하고 있으며, 대표적 식물로는 귀면각석교대극각금용설란목기린 등이 있다고 한다.

 

 

반야는 선인장과 식물로 멕시코 중부 고원지대가 원산지이고 주교의 모자선인장이라고도 불리며, 구체 표면에 밤하늘의 별처럼 희고 작은 점들이 특징이라고 한다.

 

처음에는 구형의 생김새지만 자라면서 원통형으로 변하며, 늦은 봄부터 이른 가을 사이에 지름 8~10cm 정도의 밝은 노란색 꽃이 핀다.

 

 

열대1관은 연평균 강수량이 2,500mm가 넘고 1년 내내 비가 오는 열대기후를 재현하고, 이 지역에 사는 식물 중 잎을 감상할 수 있는 관엽식물 50여 종이 전시되고 있다.

 

열대기후에 적합하도록 온실 내부는 온도18°C와 습도 50% 내외를 유지하고 있으며, 대표적 식물로는 벤자민휘닉스야자대만고무나무인도고무나무떡갈잎고무나무 등이 있다.

 

 

온대관은 최한월 평균기온 3~8°C 이상의 온대 기후 중 가장 따듯한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사는 난온대식물 20여 종을 전시하고 있다.

 

온대관의 대표적 식물로는 동백나무후박나무황칠나무완도호랑가시 등이 있으며, 특히 전시식물 중 일부는 난대림 수목원인 완도수목원에서 기증받아 전시하고 있다고 한다.

 

 

열대2관은 연평균 강수량이 2,500mm가 넘고 1년 내내 비가 오는 열대기후를 재현하고, 이 지역에 사는 식물 중 잎과 열매를 감상할 수 있는 열대 및 아열대식물 300여 종을 전시하고 있다.

 

열대기후에 적합하도록 온실 내부는 온도18°C와 습도 50% 내외로 유지하고 있으며, 대표적 식물로는 공작야자엘레강스야자바나나파파야메디아소철 등이 있다고 한다.

 

 

사랑초(Oxalis)는 괭이밥과의 열대아열대 지방이 원산지이며, 일 년 내내 수시로 아름다운 꽃을 피우며 번식력도 좋으나 향기는 거의 없는 꽃이다.

 

사랑초라는 이름은 잎 모양이 사람의 심장을 닮아서 붙여졌다고 하며, 보라색분홍색흰색의 꽃이 봄여름에 아름답게 핀다.

 

알라만다 네리폴리아는 협죽도과 반덩굴성 관목으로 황금색의 나팔 모양의 꽃이 핀다.

 

 

극락조화(極樂鳥花)는 극락조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아프리카 남부지방이 원산지이며, 꽃 핀 모습이 극락조 새의 날개를 편 모양과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극락조화 꽃은 마치 새가 날개를 편 듯한 모양으로 6~7월에 녹색 포 안에 6~8송이의 꽃이 주황색청색으로 피며, 곧고 뾰족한 꽃잎 2장과 5개의 수술로 이루어져 있으며, 꽃대는 잎과 비슷한 1m 내외의 높이로 자란다.

 

 

나비수국은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소관목으로 열대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청보라색의 독특한 모양이 꽃이 나비가 하늘을 날아가는 듯한 형상을 하고 있어 나비꽃으로 불리기도 한다.

 

 

식충식물관은 식충식물이 전시된 곳으로, 식충식물은 변형된 잎이나 줄기를 활용하여 곤충이나 작은 동물을 유인하여 포획하고 자신의 소화효소와 세균 등을 사용하여 포획물을 분해 후 양분을 직접 섭취하여 생존하는 식물을 말한다.

 

식충식물은 서식지 경쟁에서 도태되어 습지산벼랑바위 위 등 척박한 산성 토양을 주 서식지로 하는 식물이며, 벌레잡이통풀파리지옥벌레잡이제비꽃끈끈이주걱 등이 전시되어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