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구 용산동에 자리한 국립중앙박물관은 상설전시와 특별전시로 나누어 전시하고 있으며,
상설전시장은 총 6개의 관과 50개의 실로 구성되어 있다.
박물관 상설전시 중 하나인 세계문화관은 이집트ㆍ중앙아시아ㆍ인도 동남아시아ㆍ중국ㆍ일본ㆍ세계도자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도 동남아시아 전시는 ‘인간을 닮은 신들의 세계’에 대한 이야기로 꾸며져 있다.
출성, 석제 부조(石製浮彫)
박물관에서 소개하는 인도는 현재의 인도를 비롯하여 파키스탄ㆍ방글라데시ㆍ네팔ㆍ부탄ㆍ스리랑카를 포함한 남아시아를 가리키며,
동남아시아는 인도차이나 반도와 이를 둘러싼 섬들을 가리키며
토착적인 전통위에 인도와 중국의 문화를 선별적으로 수용하여 독자적인 문화를 탄생시켰다고 한다.
이곳 전시실에서는 크메르미술ㆍ히말라야지역의 불교 조각ㆍ힌두교와
자이나교 사원의 문설주 부조ㆍ인도의 종교미술ㆍ팔라의 신상ㆍ간다라 미술 등 다양한 미술품들을 만날 수 있다.
이야기 부조
스투코 보살상(塑造菩薩像)
외래의 신과 모티프
시바, 파르바티 그리고 스칸다
이 조각은 남인도 지역에서 유행한 소마스칸다도상으로 시바와 배우자 파르바티 그리고 아들 스칸다로 이루어져 있다.
파르바티
파르바티는 힌두교에서 여성의 완전성과 생산력을 상징하는 여신이며, 시바의 배우자이다.
아이들에게 둘러싸인 여신(Mother Goddess)
누운 자세의 여인
문설주 부조(Door Jamb)
이 조각은 사원입구의 문설주로 당시 유행한 여러 가지 모티프가 조각으로 되어 있다.
깊이 조각된 5개의 작은 감실(龕室)에는 각각 다른 자세의 남녀 한 쌍이 등장한다.
석조 가네사 입상(캄보디아)
우마(Uma)
우마는 시바의 배우자로 파르바티라고도 불리며
힌두교의 여신 중 자애로운 어머니이면서 순종적인 부인의 이미지를 대표한다고 한다.
인도와 동남아시아 미술에서 인간을 닮은 신상(神像)의 출현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하며,
인간 형상의 신은 사람들에게 친숙함과 함께 종교적 신앙심을 고취시켰고 그들 삶의 일부가 되었으며 고전 문학과 미술에 소재가 되었다.
비슈누와 락슈미
비슈누는 우주의 창조자이며 수호자로 여러 화신으로 이 세상에 나타나 재난에 처한 세계를 구제한다고 여겨진다.
락슈미는 비슈누의 배우자이며 정적인 자세로 정면을 향하고 있다.
'전시.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이섬 2021 나미콩쿠르 수상작 전(展) (31) | 2021.11.19 |
---|---|
한양대학교 박물관 기획특별전, ‘우주+人, 과학으로 풀고 예술로 빚다’ (39) | 2021.09.29 |
국립중앙박물관의 중ㆍ근세관(고려실) (34) | 2021.07.09 |
고궁 전통무용, ‘고궁의 숲, 무용을 만나다’ (36) | 2021.06.25 |
‘고궁의 숲, 무용을 만나다’, 전통무용 창경궁 공연 (40) | 2021.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