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샘골서길에 위치한 최용신기념관(崔容信紀念館)은 2007년 11월에 독립운동가인 최용신의 묘가 있는 상록수공원 내에 그의 생애와 사상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하여 안산시에서 건립하였다.
최용신기념관은 최용신과 당시 샘골마을(현재 본오동) 사람들이 함께 세운 ‘샘골강습소’ 자리에 제자인 고(故) 홍석필씨의 기부와 안산 시민들의 힘이 모여 개관한 공립박물관이며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이다.
최용신기념관 지층에는 최용신의 삶과 정신을 영원히 기억하는 주제의 상설전시실과 교육영상실이 마련되어 있고, 지상에는 어린이 체험전시실로 구성되어 있다.
기념관에서는 최용신을 재조명하는 다양한 전시와 나라 사랑과 상록수 정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교육프로그램을 상시 운영하고 있으며, 아울러 지역 시민과 함께 하는 상록수문화제ㆍ학술심포지엄ㆍ추모 행사 등 기념사업도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최용신(崔容信)은 심훈(沈熏)의 소설 ‘상록수’의 여자 주인공인 채영신의 실제 인물이며, 그녀의 눈물겨운 애국 행적은 ‘상록수’에서 실제화 되어 농촌운동의 본보기가 되었으며, 당시 ‘상록수 정신’은 최용신의 정신을 상징하였으며, 또한 일제강점기에 농촌 계몽운동을 하는 수많은 청년의 모범 사례가 되기도 하였다.
심훈이 장티푸스로 사망하면서 중단된 영화 ‘상록수’는 이후 1941년의 신상옥 감독과 1978년 임권택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두 편의 영화 ‘상록수’로 상영되면서 소설 못지않은 사랑을 받았다.
최용신은 함경남도 원산 출신으로 협성여자신학교 농촌지도사업과에 재학 중이던 1931년 10월 YWCA 교사로 샘골(현재 본오동)에 파견되었으며, 그 후 과로와 영양실조로 인한 장중첩증으로 유명을 달리할 때까지 문맹 퇴치와 농업기술 및 민족혼과 애국심을 심어 주는 교육에 헌신하였다.
광복 후 1995년에는 최용신의 활동이 독립운동의 목적으로 인정받아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되었으며, 2005년 1월에는 국가보훈처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다.
최용신은 1935년 1월 23일에 2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면서 샘골강습소가 보이고, 종소리가 들리는 곳에 묻어 달라는 유언을 남겼으며, 이에 따라 일리 공동묘지(현재 일동 818번지)에 장지가 마련되었으며, 이후 최용신의 약혼자이자 샘골고등농민학원 이사였던 김학준과 부인 길금복에 의해 1975년 6월에 지금의 위치(당시 샘골 산75번지)에 이장되었다.
최용신 묘소는 원형 봉분의 소박한 형태이며 묘비와 최용신 추모비가 주변에 있고, 묘비 앞에는 ‘농촌사업가최용신선생지묘(農村事業家崔容信先生之墓)’, 뒤에는 ‘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 주후일구삼오년 1월 23일(朝鮮女子基督敎靑年會 主后一九三五年 一月 二三日)’이라고 새겨져 있다.
상록수역에서 최용신기념관 까지 이어지는 951m 거리에는 최용신 선생과 샘골 아이들을 모습을 주제로 하여 만남ㆍ이끎ㆍ향함ㆍ안김 등‘ 최용신, 이야기 속을 거닐다’ 야외전시가 마련되어 있다.
최용신은 도시에서 고등교육을 받은 신여성으로, 1931년 10월에 23세의 젊은 나이에 농촌지도사가 되어 샘골에 도착하였으며, 그녀는 원산과 서울에서 학교를 다닌 우등생이었지만 자신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곳을 찾아 샘골에 들어 왔으며, 그렇게 샘골 사람들과 만남이 이루어졌다.
최용신은 가난과 무지 속에 살고 있는 아이들을 보배롭게 보았으며, 식민지 상태였지만 독립된 나라의 당당한 주인이 될 수 있다고 믿었다.
‘너희는 훌륭한 사람이 되어 나라를 구하고 이 나라를 짊어질 재목이다. 너희는 우리나라의 보배다. 열심히 배우고 노력하면 큰 일꾼이 된다’ 며 아이들의 삶을 희망의 내일로 이끌었다.
최용신은 샘골교회의 샘골강습소에서 부녀자와 아이들을 가르쳤으며, 최용신은 좁고 낡은 강습소를 마을 사람들과 함께 새로 지었다.
강습소가 만들어지자 학생 수는 배가되었으며 샘골강습소에서는 한글ㆍ산술ㆍ체조ㆍ음악ㆍ성경 등 신교육을 가르쳤으며, 샘골 아이들의 발걸음은 늘 새로움과 기대감이 가득한 그곳으로 향했다.
'국내여행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원한 강바람과 꽃향기 가득한 강변공원, 구리한강시민공원 (52) | 2025.05.27 |
---|---|
일산호수공원에서 만나는 다양한 꽃향기 (51) | 2025.05.20 |
2025 구리 유채꽃축제, 구리국악제 댄스 공연 (53) | 2025.05.15 |
구리국악제 축하공연, 2025 구리 유채꽃축제 (48) | 2025.05.14 |
한강변에서 즐기는 노란 유채꽃 축제. 2025 구리 유채꽃축제 (51)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