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북구 석관동에 자리한 의릉(懿陵)은
비운의 왕이라 할 수 있는 조선 제20대 경종(景宗)과 그의 계비인 선의왕후(宣懿王后)가 안장되어 있는 능(陵)이다.
일반적으로 조선 왕릉의 쌍릉(雙陵)은 좌우로 조성되나
의릉은 왕과 왕비의 두 봉분을 앞뒤로 배치한 동원상하봉(同原上下封) 형식으로 조성한 것이 특이하며,
이는 정혈(正穴)에서 벗어나지 않으려는 풍수지리적 이유와 자연의 지형을 훼손하지 않으려는 이유라고 한다.
의릉에 들어서면 홍살문 앞에 금천이 흐르고 그 위에 금천교가 있으며,
정자각은 정청이 앞면 3칸 측면 2칸의 건물에 양쪽에 1칸씩 익랑을 덧붙인 것이 특이하다.
왕릉 뒤에 설치된 곡장으로 보아 쌍릉형식으로 볼 수 있으나 석물(石物)들은 단릉(單陵)과 같이 배치하였으며,
왕후 능은 왕릉과 마찬가지로 봉분을 보호하는 병풍석 없이 난간석 만으로 봉분을 호위하고 있다.
경종은 장희빈으로 잘 알려진 희빈 장씨(張氏)와 숙종의 장남으로 태어나 세 살 때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며,
1717년(숙종 43년)에 3년간의 청정대리를 끝내고 숙종이 세상을 떠나자 1720년에 경덕궁(경희궁)에서 즉위하였다.
경종(景宗)의 생애는 어릴 적부터 편치 않았으며, 재위 4년 동안 신임사화(辛壬士禍) 등 당쟁이 그치지 않았고
소생 없이 병약하여 재위 4년 만에 세상을 떠났다.
경종의 계비 선의왕후(宣懿王后)는 함원부원군 어유구(魚有龜)의 딸이며,
세자시절 첫 번째 세자빈이었던 단의왕후가 1718년(숙종 44년)에 사망하면서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며 경종이 즉위함에 따라 왕비가 되었다.
'국내여행 > 서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조(純祖)의 부마가 살았던 전통가옥, 진흥선원(鎭興禪院) (30) | 2020.10.09 |
---|---|
오랜 장마가 그친 중랑천(中浪川) (37) | 2020.08.14 |
비운의 왕 경종과 선의왕후의 능(陵), 의릉(懿陵) (36) | 2020.07.03 |
공암나루터가 있었던 허준근린공원 (39) | 2020.06.29 |
약수로 유명한 우면산 기슭의 대성사(大成寺) (42) | 2020.06.17 |
철쭉이 만발한 북서울꿈의숲 숲산책길 (33) | 2020.05.05 |
여기도 한번 가보고 싶네요. 적어놨다가 시간되면 한번 가봐야 겠습니다.
사진도 예쁘게 나와서 꼭 가보고 싶어지네요 ㅎㅎㅎ
답글
점심식사 맛있게 하셨나요
오늘도 좋은 글 잘보고
공감하고 갑니다 ~~
답글
재위 4년만에 참... 안타까운 삶이었을 거 같네요.
답글
경종
이름만 떠올려도 안타까움이 먼저 떠오르는 왕입니다.
능 주변 풍경은 평화롭게만 보이는군요.
답글
노송들이 능을 늠름히 지켜주고 있는게 인상적이네요!!
답글
이런이야기가 있었군요.. 마음이 조금 무거워지지만 그래도 아직까지
그 역사를 그릴수 있는 왕릉이 남아있어 다행입니다
답글
석관동하면 떡볶이밖에 생각나는게 없는데, 이렇게 멋진(멋지다는 표현을 써도 될지??) 능이 있었네요.
산책하면서 역사공부도 함께 해야겠네요. ㅎㅎ
답글
한국의 유적지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답글
즐거운 불금 나시길 바랍니다~!
답글
의릉이 경종이 묻힌 왕릉이군요
잘 보고 공감하고 갑니다^^
좋은 주말보내세요~
답글
저도 다녀온 곳이라 감회가 새롭네요.
그때를 생각하며 올려주신 사진속 그날의 추억을 떠올려보고 갑니다.
주말 건강하고 즐겁게 보내셔요.
답글
깔끔하게 잘 해놓았네요.
경종 의능 잘 보고 갑니다.
기분좋은 하루 되세요.
답글
잘 보고 갑니다. 요즘 잘때마다 책 읽고 있는데 나오는 분이네요
답글
경종은 조선 왕조에서 재위가 가장 길었던 숙종과 영조의 아들이면서 이복형이었던 왕이죠.
행복하세요^^
답글
정말 유용하고 꼼꼼한 포스팅 잘보고 갑니다!!
하트랑 이것저것 꾹 누르고 가요
좋은 주말 보내세요^^
답글
왕가의 무덤은 역시 규모가 ㅎ.ㅎ 즐거운 주말 되세요.
답글
즐거운 하루보내세요.
답글
문화 유적지 소개해 잘 보고 갑니다
답글
비운의 왕 경종과 선의왕후 능이 성북구에 있었네요
'성북구는 한번도 가본적 없는데 가게되면 들려보고 싶어지네요..^^
답글
시간되면 한 번 다녀와 보고 싶네요!~ ^__^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