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천천동에 위치한 일월수목원은 101,500㎡ 규모에 총 2,106종 52,551주 429,618본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3년 5월에 개원한 수목원이다.
일월수목원은 자연과 사람을 연결하는 역할과 시민들의 여가선양을 위해 설립한 공원이며, 건조기후대 식물을 관찰할 수 있는 전시온실과 함께 다양한 생태정원과 웰빙정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월수목원 전시온실은 지중해 혹은 사막 등 강수량이 적은 건조기후대를 주제로 한 이색적인 공간이며, 최고 25m 연면적 2,902㎡ 규모에 캥거루발톱ㆍ백묘국ㆍ호주매화 등 300여종의 다양한 식물들을 관찰할 수 있다.
전시온실은 건조기후를 지중해ㆍ남아공ㆍ호주ㆍ뉴질랜드 등 전 세계 대표적인 건조기후 지역의 흥미로운 자연생태환경과 식물을 전시하고 물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정원이라고 한다.


캥거루발톱은 캥거루발톱과의 여러해살이풀로써 원산지는 오스트레일리아 서부의 건조한 모래지역이며, 꽃 모양이 캥거루의 앞발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꽃은 6~8월경에 잎겨드랑이에서 꽃줄기가 올라와 꽃대가 10개 이상으로 늘어나며 붉은색ㆍ노란색ㆍ오렌지색 등의 다양한 색깔의 꽃이 피며, 건조에 잘 견디고 습도가 높은 곳을 싫어하고 추위에 약하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온실에서 대부분 월동한다.


호주매화는 도금양과의 상록관목으로 호주를 대표하는 꽃나무라고 하며, 햇볕을 좋아하고 여건에 따라 반그늘에서도 자라고 꽃이 매화를 닮았다고 하여 호주매화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호주매화 꽃은 직경이 6~20mm 정도이고 흰색ㆍ진홍색ㆍ선홍색ㆍ진분홍색 등이 있으며, 키는 2~5m 정도 자라고 전 세계 86종 중 83종이 호주에서 서식하고 있다고 한다.





백묘국은 국화과 식물로 지중해가 원산지이며, 고급스럽고 우아한 잎과 함께 노란색의 작은 꽃이 피며, 솜털이 보송보송 달려 따뜻하고 포근한 느낌을 주는 식물이지만 잎과 줄기에는 독성이 있다고 한다.
백묘국의 잎은 눈이 하얗게 덮인 나무를 연상시키고 하얗게 올라온 백묘국의 털 때문에 백묘국 또는 설국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세이지(Sage)는 꿀풀과의 다년초 허브식물로 유럽 남부와 지중해 동부지역이 원산지이며,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많이 활용되고 핫립세이지ㆍ체리세이즈ㆍ파인애플세이즈 등 40여 종의 다양한 품종이 있다고 한다.
핫립세이지는 아래쪽 빨간 꽃잎이 입술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키는 40~150cm 정도 자라며 줄기는 네모지고 가지 끝에 입을 반쯤 벌린 듯한 약 2cm 크기의 꽃을 피운다.



쿠페아(Cuphea)는 부처꽃과의 다년생 식물로 남아메리카ㆍ북아메리카 대륙이 원산지이며, 크기는 약 60㎝ 정도까지 자라고 뻣뻣한 털로 덮여 있으며, 자루가 없는 작은 잎은 폭이 좁고 길며 뭉쳐난다.
쿠페아 꽃은 통 모양으로 붉은색ㆍ보랏빛을 띠는 흰색이고, 꽃의 끝에 검은색의 둥근 테가 있으며 꽃부리(花冠) 끝은 회색빛을 띤 흰색이다.










아메리칸 블루는 메꽃과의 여러해살이 식물이며 원산지는 브라질ㆍ파라과이 등이고 연수가 되면 목질화 되어가며, 잎과 줄기는 밀도가 낮고 밝은 회색 솜털로 덮여 있다.
키는 30cm정도 낮게 자라며, 꽃은 지속적으로 봄부터 가을서리가 내리기 전까지 피지만 각 꽃은 아침에 개화해서 오후에 사그라진다.



부겐빌리아(Bougainvillea)는 나팔꽃처럼 덩굴을 뻗으며 자라는 분꽃과 식물이며, 원래 아열대 식물이라 추위에 약해 남아메리카 지역의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고 한다.
부겐빌리아의 진분홍색 포엽이 꽃처럼 보이지만 실제 꽃은 진분홍색 포엽 안에 있는 작고 볼품이 없으며, 화려한 포엽 덕분에 방화곤충(訪花昆蟲)들이 찾아와 수분 수정을 돕는다고 한다.










'꽃향기.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흥수목원 온실의 다양한 아열대 식물 (60) | 2025.03.25 |
---|---|
사계절 꽃이 피는 온실 식물원, 가평 이화원(二和園) (62) | 2025.02.13 |
가평 이화원(二和園)에서 만나는 화사한 꽃 (52) | 2025.02.12 |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온실, 창경궁 대온실(大溫室) (91) | 2024.12.17 |
열대 및 온대식물의 만남, 선유도공원 온실 (93) | 2024.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