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강원도105 자연관광과 농촌문화 체험을 동시에, 수타사 농촌테마공원 강원도 홍천군 영귀미면 덕치리에 위치한 수타사 농촌테마공원은 물과 흐름을 주제로 한 테마형 특화시설이며, 배움ㆍ느낌ㆍ마시는ㆍ물지구 등으로 공간이 구성되어 농촌의 체험과 관광을 동시에 접할 수 있는 테마공원이다. 농촌테마공원은 도ㆍ농교류 활성화와 천년 고찰 수타사ㆍ공작산 생태숲ㆍ공작산ㆍ수타계곡 등 자연생태자원을 활용한 휴양ㆍ레저ㆍ체험ㆍ관광을 할 수 있는 건강한 힐링과 문화체험을 할 수 있는 곳이라고 한다. 농촌테마공원에는 귕소 민속체험장을 비롯하여 12간지 열주 잔디광장ㆍ십장생 조각공원ㆍ귕소 놀이마당ㆍ석가산폭포, 그리고 홍천의 특산품을 만날 수 있는 농특산물판매장과 관광홍보관 등이 함께 마련되어 있다. 수타사 농촌테마공원의 이용시간은 09:00~17:00(하절기 18:00)까지이고, 입장료와 주차요금은 무.. 2022. 2. 2. 치유와 산림휴양을 위한 숲길, 공작산 수타사생태숲 강원도 홍천군 영귀미면 덕치리에 위치한 공작산 수타사생태숲은 치유와 산림휴양을 위한 숲길 생태체험장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다양한 숲 보존ㆍ체험테마로 구성되어 있다. 천년고찰 수타사 주변에 자리한 공작산 수타사 생태숲은 2.3㎞의 생태체험로와 수변 관찰로ㆍ수생식물원 등이 조성되어 있으며, 소나무 등 다양한 종류의 수목과 144종 102,571본의 초화류가 심어져 있는 숲이라고 한다. 겨울철이라 주변 풍경이 삭막하고 수생식물원 연못에는 연꽃을 볼 수 없지만, 잔설이 쌓여있는 모습은 나름의 겨울철 풍경의 운치를 느끼게 한다. 수타사 생태숲에는 또한 생태숲 교육관에서 출발하여 수타사-공작산 생태숲-귕소 출렁다리-용담-생태숲 교육관으로 이어지는 총 3.8km의 수타산 산소길도 즐길 수 있다. 생태숲이 있는 인근 .. 2022. 1. 25. 보물과 다양한 문화재를 간직한 수타사(壽陀寺) 강원도 홍천군 영귀미면 덕치리의 공작산(孔雀山) 기슭에 자리한 수타사(壽陀寺)는 708년(신라성덕왕 7년)에 원효대사가 우적산((牛跡山)에 창건한 일월사(日月寺)가 효시라고 한다. 그 후 1457년(세조 3년)에 지금의 위치로 옮긴 뒤 수타사라고 절 이름을 바꾸었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36년(인조 14년)에 공잠(工岑)이 재건하고 1683년(숙종 9년)에는 옛 모습을 되찾았다고 전해진다. 수타사 경내에는 수타사 동종(銅鍾)ㆍ월인석보 등의 보물을 비롯하여 대적광전(大寂光殿)ㆍ흥회루ㆍ원통보전ㆍ삼성각ㆍ지장전ㆍ봉황문 등의 건물, 그리고 목조관음보살좌상ㆍ소조사천왕상 등 다양한 문화재들을 보유하고 있다. 수타사가 자리한 공작산(孔雀山)은 기암절벽과 빽빽이 우거진 숲이 호위하고 큼직큼직한 소(沼)들이 비.. 2022. 1. 24. 남이섬의 진흙예술, 위칭청 행복예술전시관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의 남이섬은 북한강 위에 떠있는 아름답고 조그마한 반달모양의 섬으로, 계절마다 색다른 낭만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며 젊은 연인들의 데이트 장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 남이섬은 1965년부터 밤나무ㆍ자작나무ㆍ은행나무ㆍ단풍나무ㆍ메타세쿼이아 등 다양한 나무들을 심기 시작하여 청정 유원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또한 위칭청 행복예술전시관을 비롯하여 노래박물관ㆍ세계민족 악기전시관ㆍ나미갤러리ㆍ문화원ㆍ공예원ㆍ유니세프홀ㆍ안데르센그림책센터 등 다양한 문화공간이 있다. 위칭청 행복예술전시관은 중국의 대표적인 진흙인형 예술가인 위칭청(于慶成) 선생의 작품이 영구 전시된 곳으로, 진흙예술의 진수를 볼 수 있는 작품들이 실내ㆍ외에 전시되어 있다. 위칭청(于慶成) 선생의 진흙예술 작품은 한국이나 일본의 농촌사람들의 .. 2021. 11. 25. 남이섬의 아름답고 황홀한 만추(晩秋)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에 위치한 남이섬은 본래 섬이 아닌 구릉지로 형성된 작은 봉우리였으나, 청평댐을 건설하면서 주변이 물에 잠기면서 만들어진 조그마한 반달모양의 북한강의 모래섬이었다고 한다. 모래뿐인 불모지에 1965년부터 다양한 수종의 육림을 시작하여 8만 여평의 잔디밭과 섬 주변에 밤나무ㆍ자작나무ㆍ은행나무ㆍ단풍나무ㆍ메타세쿼이아 등을 조성하는 등 지금은 문화예술과 자연생태의 청정 유원지 역할을 하고 있는 섬이라 할 수 있다. 남이섬은 특히 한류(韓流) 열풍을 불러일으킨 대표적인 드라마 ‘겨울연가’ 촬영지로 소개되면서, 연인들의 데이트 장소는 물론 외국인들의 방문객 또한 눈에 띄게 많아 보인다. 남이섬은 계절마다 나름의 아름다운 특징이 있지만, 가을이면 특히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 잎과 메타세쿼이아가 유명.. 2021. 11. 24. 남이섬의 황홀한 가을단풍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에 위치한 남이섬은 청평댐을 건설하면서 주변이 물에 잠기게 됨으로써 형성된 북한강의 하중도(河中島)로 둘레 약 6㎞ 면적 약 46만㎡의 조그마한 반달모양의 섬이다. 남이섬은 처음에는 모래뿐인 불모지의 작은 봉우리였다고 하며, 1965년부터 밤나무ㆍ자작나무ㆍ은행나무ㆍ단풍나무ㆍ메타세쿼이아 등 다양한 나무들을 심기 시작하여 지금은 문화예술과 자연생태의 청정 유원지 역할을 하고 있는 섬이라 할 수 있다. 남이섬은 현재 깊어가는 가을과 함께 다양한 나무들이 울긋불긋 온통 단풍으로 물들었으며, 노란 은행나무 잎들은 아쉽게도 한 잎 두 잎 낙엽으로 떨어지고 있다. 남이섬은 특히 한류(韓流) 열풍을 불러일으킨 대표적인 드라마 ‘겨울연가’ 촬영지로 소개되면서, 가을단풍을 즐기게 위해 연인들의 데이트 .. 2021. 11. 15. 복계산 기슭에서 쏟아지는 매월대폭포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잠곡리 복계산 기슭에 자리한 매월대폭포는 매월대 정상에서 동쪽으로 1㎞ 정도 위치에 있는 폭포이며, 삼부연폭포ㆍ직탕폭포와 함께 철원의 3대 폭포 중 하나이며 철원 9경에 속한다. 매월대폭포는 깎아지른 듯한 층암절벽 40m 아래로 쏟아지는 폭포로, 원래 이름은 신선이 놀던 바위의 폭포라 하여 선암폭포라 하였는데 김시습(金時習)의 호를 따 붙인 이름이라고 한다. 매월대 일원은 울창한 숲과 깊고 맑은 계곡이 펼쳐져 있으며, 매월대 올라가는 산기슭 중간에서 만나는 매월대 선암폭포는 폭포 수량이 생각만큼 많지 않아 조금 실망하기도 하였다. 주차장에서 매월대폭포로 오르는 길은 현재 등산로 정비사업으로 2020년부터 공사가 시행되고 있으며, 도로에서 폭포까지 이르는 숲길 외에는 포장도 되어있다... 2021. 10. 8. 기암절벽과 맑은 물, 순담계곡(蓴潭溪谷)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에 위치한 순담계곡(蓴潭溪谷)은 맑은 물과 기암절벽이 어울리는 곳으로, 빼어난 절경을 연출하는 한탄강의 물줄기를 따라 형성된 아름다운 계곡 중 하나이다. ‘순담계곡’이라는 이름은 조선 선조 때 우의정을 지낸 김관주(金觀柱)가 이곳에 연못을 파서 어린잎을 약으로 쓰는 순채(蓴菜)를 제천 의림지에서 옮겨다 심고 이를 복용하며 요양하였으며, 그 연못 이름을 따서 순담(蓴潭)이라 부른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순담계곡은 고석정에서 약 2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고석정에서 순담계곡까지는 물살이 빠르고 경관이 수려해 래프팅 명소로도 손꼽히는 구간이라고 한다. 한탄강은 ‘큰 여울의 강’이란 뜻으로 계곡이 깊고 여울이 커서 붙여진 이름으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용암분출로 이루어진 화산강이.. 2021. 10. 7. 감탄사가 절로 나는 황홀한 꽃밭, 고석정 꽃밭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자리힌 고석정 꽃밭은 규모 24만㎡의 대규모 면적에 가우라ㆍ촛불맨드라미ㆍ백일홍ㆍ버베나ㆍ천일홍ㆍ코키아ㆍ구절초ㆍ메밀꽃ㆍ국화ㆍ억새ㆍ코스모스 등 18종의 꽃이 아름답게 핀 꽃밭이다. 고석정 꽃밭은 원래 군부대가 포 사격 훈련을 하던 곳으로 부대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유휴 부지로 남아 있던 것을 2016년부터 꽃밭으로 조성하여 코스모스십리길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되었다. 고석정 꽃밭에는 대단위 꽃밭과 함께 연못 주변에는 물레방아가 돌아가고 빨간색 공중전화 부스와 미니풍차도 설치되어 있으며, 전망대에서는 생텍쥐페리의 소설 ‘어린왕자’에 등장하는 여우와 어린왕자가 꽃밭과 함께 자리하고 있다. 고석정 꽃밭은 작년에는 코로나로 인해 개장하지 못하여 아쉬웠으나, 올해는 지난 2021. 9... 2021. 10. 4. 맑은 물과 기암괴석 협곡이 있는 간현관광지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간현리에 위치한 간현관광지(艮峴觀光地)는 원주8경 중 5경으로, 남한강 지류인 섬강과 삼산천이 합쳐지는 간협협곡에 자리한 유원지이다. 섬강 양쪽에는 40~50m 높이의 기암괴석들이 울창한 고목과 검푸른 강물과 조화를 이루며, 강변에는 넓은 백사장이 펼쳐져 있어 경관이 빼어나다. 섬강는 간현관광지에서 3~4km 위에 ‘달내’라 부르던 강이 있는데, 그 강가에 두꺼비 모양을 한 바위가 있어 그 모습을 따서 두꺼비 ‘섬(蟾)’자의 이름으로 섬강이라 지은 것이라고 한다. 두꺼비 섬(蟾)자는 달월(月) 자와 같이 쓰이므로 그곳 강을 월천이라 불렀고, 이후 강 전체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발전하여 지금의 섬강이 되었다고 한다. 삼산천은 섬강에 합류하는 하천으로 소금산 아래 계곡을 굽이돌며 협곡에 .. 2021. 3. 16. 소금산 암벽 봉우리를 연결한 소금산 출렁다리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간현리에 위치한 소금산 출렁다리는 길이 200m 높이100m 폭 1.5m의 산악 다리이며, 천장호ㆍ마장호ㆍ예당호 출렁다리 등 호숫가에 설치된 기존의 대부분 출렁다리와는 느낌이 다르다. 소금산 출렁다리는 기암절벽과 강물이 어우러진 빼어난 풍광을 자랑하며, 송강 정철의 관동별곡에 소개된 간현의 소금산 암벽 봉우리를 연결하여 만든 하늘길이다. 소금산 출렁다리의 제원으로, 주케이블은 아연-알루미늄 특수도금 록 케일 케이블이며, 성인(70kg) 1,280명이 동시에 지나갈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고 한다. 설계 풍속은 34m/s이며 풍동실험으로 내풍 안전성을 확보하고 스테인레스 메쉬 난간 및 바닥판 스틸 그레이팅을 적용하였으며, 지진규모 5.5에도 견디도록 내진설계를 하였다고 한다. 출렁다리 운.. 2021. 3. 15.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애니메이션박물관 강원도 춘천시 서면 현암리에 자리한 애니메이션박물관은 애니메이션에 관한 자료를 발굴ㆍ수집ㆍ보관ㆍ전시ㆍ연구하는 우리나라 유일한 애니메이션박물관이라고 한다. 애니메이션박물관에는 애니메이션의 기원ㆍ발전ㆍ종류ㆍ제작기법ㆍ제작과정 등을 소개하는 코너와 애니메이션 관련 기기 발전사ㆍ한국애니메이션의 역사와 세계애니메이션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코너 등이 있다. 애니메이션박물관은 애니메이션 자료와 작품 등 다양한 캐릭터를 만날 수 있는 곳으로 2003년 10월에 개관하였으며, 현재 애니메이션의 역사가 담긴 약 6만 여점의 소장품들을 보관하고 있다고 한다. 박물관 야외에는 의암호의 아름다운 호수풍경과 더불어 다양한 조각 작품들과 조형물들이 설치되어 있어 또 다른 볼거리를 제공하기도 한다. 애니메이션박물관 옆 건물에 있는.. 2021. 3. 12.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