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1598

고향의 정취와 꽃동산, 서울대공원 테마가든 주제정원 경기도 과천시 막계동에 위치한 서울대공원은 청계산 기슭에 고향의 풍경과 꽃동산으로 꾸며진 테마가든을 비롯하여 동물원ㆍ식물원ㆍ치유의 숲ㆍ산림욕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종합 생태문화공원이다. 서울대공원 테마가든은 고향의 정취를 듬뿍 느끼도록 조성된 고향정원을 비롯하여 장미원, 모란ㆍ작약원, 휴(休)정원, 어린이동물원 및 동물교실 등으로 꾸며져 있다. 고향정원은 밀양시ㆍ영주시ㆍ청송군ㆍ장수군ㆍ하동군과 함께 풍성한 고향의 정취를 느낄 수 있도록 사과ㆍ수양 매실 등 유실수원을 조성한 정원이라고 한다. 고향정원의 영월초당은 팔각정자ㆍ돌담ㆍ장독대 등 전통정원으로 조성하고, 유채꽃ㆍ코스모스ㆍ메밀꽃 등을 계절별로 식재하여 정겨운 고향집 풍경을 떠오르게 하는 정원이라고 한다. 휴(休)정원은 녹음이 풍성한 소나무길ㆍ이.. 2025. 6. 10.
서울대공원 테마가든 장미원의 황홀한 장미축제 경기도 과천시 막계동에 위치한 서울대공원은 세계 각국의 동물을 만날 수 있는 동물원을 비롯하여 테마가든ㆍ식물원ㆍ치유의 숲ㆍ산림욕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생태문화공원이다. 서울대공원 테마가든은 54,075㎡ 규모의 장미원을 비롯하여 주제정원(모란ㆍ작약원, 휴(休)정원, 고향정원)ㆍ어린이동물원 및 동물교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대공원 테마가든 장미원에서는 지난 2025. 5. 31(토)부터 2025. 6. 8(일)까지 ‘장미, 정원을 품다’라는 주제로 테마가든 장미원과 식물원 전시온실 등에서 ‘2025 장미원ㆍ식물원축제’가 있었다. 이번 축제는 장미원 축제와 더불어 식물원 개원 40주년을 기념하여 식물원 일대 및 전시온실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프로그램 범위를 확대하여 다양한 식물을 관찰하고 체험할.. 2025. 6. 9.
동쪽에 있는 9기의 조선왕릉, 동구릉(東九陵)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자리한 동구릉(東九陵)은 1408년(태종 8년)에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健元陵) 터로 쓰이기 시작한 뒤로부터 조선시대 일대를 통해 족분(族墳)을 이루고 있으며, 약 450여 년간 7명의 왕과 10명의 왕비가 잠들어 있는 조선 최대의 왕릉군(王陵群)이다. 동구릉(東九陵)은 ‘동쪽에 있는 9기의 능’이라는 뜻으로, 태조(太祖)의 건원릉(健元陵)을 시작으로 문종(文宗)의 현릉(顯陵), 선조(宣祖)의 목릉(穆陵), 현종(顯宗)의 숭릉(崇陵), 장렬왕후(莊烈王后)의 휘릉(徽陵), 단의왕후(端懿王后)의 혜릉(惠陵), 영조(英祖)의 원릉(英祖), 헌종(憲宗)의 경릉(景陵)이 차례로 조성되었으며 당시 능의 개수에 따라 동오릉ㆍ동칠릉 등으로 불리다 1855년 문조(文祖)의 수릉(綏陵)이 옮겨오면서.. 2025. 6. 6.
사계절 꽃이 피는 푸른 정원, 안산식물원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호로에 위치한 안산식물원은 2001년 개관하여 계절마다 다양한 꽃을 만날 수 있는 푸른 정원으로, 시민들의 정서 함양뿐 아니라 학생들의 자연학습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경기도를 대표하는 온실식물원이다. 안산식물원은 열대식물원ㆍ중부식물원ㆍ남부식물원ㆍ아열대식물원 등 4개의 실내 전시관과 장미원ㆍ유실수원ㆍ야생식물원ㆍ식물천이원ㆍ연못 등의 야외식물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전시관 열대식물원은 고온다습한 열대우림나무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아메리카ㆍ인도ㆍ아시아ㆍ남부 아프리카 등에서 자라는 야자수를 감상할 수 있고 선인장과 함께 열대식물 3,000여 점이 식재되어 있다. 제2전시관 중부식물원은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기후에서 잘 자라는 식물들이 모여 있고, 붓꽃ㆍ철쭉ㆍ진달래 등과 함께 휴면 식.. 2025. 6. 5.
시원하게 쏟아지는 인공폭포, 용마폭포공원 서울 중랑구 면목동에 위치한 용마폭포공원은 아차산 최고봉인 용마산 중턱에 위치하고 있는 공원으로, 본래는 채석장이었지만 1993년에 용마돌산공원으로 문을 열고 1997년에 용마폭포공원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용마폭포는 용마폭포공원에 있는 인공폭포로서 높이 51m 크기로 조성되었으며, 용마폭포 좌측에는 21.4m의 좌청룡(左靑龍) 청룡폭포, 우측에는 21m의 우백호(右白虎) 백마폭포가 있고 그 아래 연못이 설치되어 있는 거대하고 웅장한 폭포다. 용마폭포공원, 용마폭포(龍馬瀑布) 용마폭포는 아시아 최대의 인공폭포로 평가된다고 하며, 가동 시기는 매년 5월~8월까지 가동하여 폭포수가 시원하게 흘러내려서 장관을 이루고 있으며, 폭포가 가동하지 않는 겨울철에는 폭포 빙벽 타기 체험과 인공 연못 스케이트장.. 2025. 6. 4.
화사한 봄꽃들의 축제, 2025 자라섬 꽃 페스타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달전리에 위치한 자라섬은 동도ㆍ서도ㆍ중도ㆍ남도 등 4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는 북한강의 작은 섬이며, 각 섬마다 특색 있는 레저 및 생태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자라섬 남도에는 테마정원을 조성하여 10만9천500㎡ 규모에 계절마다 다양한 꽃밭으로 꾸미고 있으며, 자라섬이라는 이름은 ‘자라처럼 생긴 언덕’이 바라보고 있는 섬이라 하여 붙어졌다고 한다. 자라섬 남도에서는 매년 봄과 가을에 ‘자라섬 꽃 페스타’를 실시하고 있으며, 지난 2025. 5. 24(토)부터 6. 15(일)까지 ‘2025 자라섬 꽃 페스타’ 봄꽃 축제가 있었다. 이번 봄꽃 페스타 축제에는 80,710㎡ 규모에 양귀비꽃ㆍ수레국화ㆍ페튜니아ㆍ하늘바라기ㆍ청유채ㆍ수국 등 다양한 봄꽃을 식재하였다고 하며, 한편으로는 이상기온.. 2025. 5. 30.
나무숲과 문화가 어우러진 녹색 쉼터, 서울숲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위치하고 있는 서울숲은 계절마다 다양한 꽃과 더불어 숲과 문화가 어우러지는 서울의 대표적인 녹색 쉼터라 할 수 있으며, 문화예술공원ㆍ생태숲ㆍ체험학습원ㆍ습지생태원 등 4개의 테마공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숲은 한강이 공원 옆으로 흐르고 있는 35만평의 푸른 숲으로, 자연과 함께 숨 쉬는 생명의 숲이며 시민들이 함께 만든 참여의 숲이라고 한다. 서울숲 중앙호수는 서울숲 중앙에 자리한 호수이며, 호수 속에는 다양의 물고기들이 서식하고 있다고 하며, 중앙호수 주변에는 울창한 수목과 함께 계절마다 다양한 초화류를 식재하여 서울숲에서도 대표적인 꽃 정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서울숲은 한강과 중랑천을 끼고 있는 서울 동북부의 새로운 시민휴식공간으로 세계적 생태공원을 만들고자 서울시와 기업.. 2025. 5. 29.
일제 항거와 독립에 앞장선 독립유공자 묘역, 서울 수유 국가관리 묘역 서울 강북구 수유동의 북한산 자락에 위치한 서울 수유 국가관리 묘역은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해 희생ㆍ헌신 하신 독립유공자 15인의 묘소와 이역만리 타국에서 후손도 없이 순국하신 한국광복군의 합동묘소가 마련되어 있는 곳이며, 국가보훈처는 독립유공자 산재 묘소 일대를 2021년 2월에 제1호 국가관리묘역으로 지정하였다. 수유 국가관리 묘역에는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밀사였던 이준(李寯) 열사를 비롯하여, 정치인이면서 독립운동가인 신익희(申翼熙) 묘, 대한민국 초대 부통령을 역임한 이시영(李始榮) 묘, 유림 출신 독립운동가인 김창숙(金昌淑)묘, 그리고 대한민국의 미래상임을 알리기 위해 설립한 근현대사기념관(近現代史記念館) 등이 있다. 이준(李寯) 열사는 1907년 고종의 밀사로 이상설ㆍ이위종과 함께 네덜란드.. 2025. 5. 28.
시원한 강바람과 꽃향기 가득한 강변공원, 구리한강시민공원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에 위치한 구리한강시민공원은 한강변을 따라 약 40만㎡ 규모로 조성한 한강공원으로, 드넓은 잔디밭과 함께 계절마다 봄에는 노란 유채꽃 축제를, 가을에는 코스모스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구리한강시민공원은 한강변을 따라 조성한 서울의 잠실ㆍ반포ㆍ망원ㆍ광나루ㆍ뚝섬 등 한강시민공원 등과 같이 경기도 한강에 조성한 대표적인 시민 휴식공간이라 할 수 있다. 구리한강시민공원 일원에서는 지난 2025. 5. 9(금)부터 2025. 5. 11(일)까지 3일간 ‘유채 만발, 구리의 봄’ 주제로 ‘2025 구리 유채꽃축제’가 진행되기도 하였다. 유채꽃축제는 끝났지만 한강공원 곳곳에 조성된 꽃밭에서는 다양하고 아름다운 꽃들을 만날 수 있고, 가족이나 연인들이 나들이하기도 좋은 공원이다. 노랑꽃창포는 붓.. 2025. 5. 27.
중랑장미공원의 황홀한 장미 서울 강북에 위치한 중랑천(中浪川)은 경기도 양주시 불곡산에서 발원하여 서울 북부를 가로지르며 흐르는 한강의 제1지류(支流)이며, 총 길이는 45.3㎞로 서울의 하천 중에서 가장 길다. 중량천의 하류는 철새들의 놀이터와 철새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중랑천 구간마다 각 자치구에서 계절마다 장미ㆍ유채꽃ㆍ코스모스 등 꽃밭을 조성하여 자생하는 야생화와 더불어 다양한 꽃들을 만날 수 있도록 꾸며 놓았다. 중랑장미공원은 중랑천 범람을 막기 위해 중랑천변에 1970년대 축조되었던 제방이었으며, 이후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로 실직한 사람들을 구제하기 위하여 정부에서 공공근로사업을 시작할 때 중랑천 제방에 장미를 심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이후에도 중랑구에서는 중랑천에 계속 장미를 심었고 2005년에는 주민들.. 2025. 5. 23.
서울에서 가장 예쁜 축제, 제17회 중랑 서울장미축제 서울 북부에 위치한 중랑천(中浪川)은 경기도 양주 불곡산에서 발원하여 동부간선도로와 강변북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한강과 합류하는 총 45.3㎞ 규모의 한강 제1지류(支流)이다. 중량천변에는 자생하는 야생화뿐만 아니라 구간마다 각 자치구에서 계절마다 장미ㆍ유채꽃ㆍ코스모스 등 꽃밭을 조성하여 다양한 꽃들을 만날 수 있도록 꾸며 놓았다. 중랑천변의 묵동교~겸재교 구간의 중랑장미공원 일원에서는 지난 2025. 5. 16(금)부터 5. 18(일)까지 ‘서울에서 가장 예쁜 축제’라는 슬로건으로 ‘제17회 2025 중랑 서울장미축제’가 있었다. ‘중랑 서울장미축제’는 2009년도에 장미정원을 조성하기 시작하여 중랑구 최초의 장미축제를 개최하였으며 2015년부터 ‘서울장미축제’로 불리다가 2024년부터 ‘중랑 서울.. 2025. 5. 22.
서울숲의 숨은 비경(祕境), 습지생태원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위치한 서울숲은 한강이 공원 옆으로 흐르고 자연과 함께 숨 쉬는 생명의 숲이며 시민들이 함께 만든 참여의 숲으로, 서울의 대표적인 녹색쉼터 공원이다. 서울숲은 습지생태원을 비롯하여 문화예술공원ㆍ자연생태숲ㆍ자연체험학습원 등 4개의 테마공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서울 동북부의 새로운 시민휴식공간이다. 서울숲 습지생태원은 유수지의 기존 자연 환경을 활용하여 습지원을 비롯하여 조류 관찰대ㆍ생태학습장ㆍ유아숲 체험장ㆍ논습지ㆍ습지 초화원ㆍ환경 놀이터 등을 조성한 곳이라고 한다. 습지원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생물로는 유수지 주변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비를 비롯하여 서울숲 계류에서 쉽게 관찰되는 와가리ㆍ우렁이ㆍ새우ㆍ송사리 등이 있다고 한다. 서울숲 습지생태원에는 논습지 1개소와 전기줄 400m 등.. 2025.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