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원도133

국보와 보물을 간직한 천년 사찰, 도피안사(到彼岸寺)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에 위치하고 있는 도피안사(到彼岸寺)는 865년(통일신라 경문왕 5년)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철원지방의 향도 천여 명을 거느리고 산수 좋은 곳을 찾던 중 화개산(花開山) 현 위치에 터를 잡고 창건하였다고 전해진다. 도피안사는 ‘깨달음의 언덕으로 건너간다’라는 뜻을 가진 사찰이라 하며, 경내에는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 불상인 국보(國寶) 철조비로사나불좌상(鐵造毘盧舍那佛座像)을 비롯하여 보물(寶物) 도피안사 삼층석탑( 三層石塔) 등이 있다.  도피안사(到彼岸寺) 절 이름은 도선국사가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을 안양사에 봉안하기 위하여 가다 잠시 쉬던 중 불상이 갑자기 없어졌는데 현재의 위치에 그 불상이 안좌한 자세로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 자리에 암자를 짓고, 철조불상이 영원한 안식처인 .. 2025. 3. 11.
유학 교육과 성현의 위패를 모신 철원향교(鐵原鄕校)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에 위치한 철원향교(鐵原鄕校)는 고려 태조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ㆍ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며, 정확한 창건 년대는 미상이라고 한다. 철원향교의 현존 건물로는 공자와 성현의 위패를 봉안하는 대성전을 중심으로 4칸의 명륜당ㆍ동재(東齋)ㆍ서재(西齋)ㆍ동무(東廡)ㆍ서무(西廡)ㆍ외삼문ㆍ내삼문 건물 등이 있으며, 2016년에 철원군 향토문화유산 제3호로 지정되었다.  철원향교는 최초 창건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552년(조선 선조 원년)에 유림들에 의해 중건되었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으며, 그 후 1637년(인조 15년)에 박무ㆍ박화 등 유림들에 의해 재건되었다고 한다. 해방 후 공산치하에서는 보육원으로 활용되던 중 6.25전쟁으로 소실되었다고.. 2025. 3. 10.
풍화와 침식작용으로 인한 계단모양 폭포, 철원 직탕폭포(直湯瀑布)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위치한 직탕폭포(直湯瀑布)는 한탄강 상류에 형성된 길이 80m 높이 3~5m의 폭포이며, 독특한 '一'자 형의 폭포로 한국의 나이아가라 폭포라고도 하며 철원 8경(八景) 중 하나이다. 직탕폭포는 규모는 작지만 현무암 위로 오랫동안 물이 흐르면서 풍화와 침식작용을 받는 과정에서 현무암이 주상절리를 따라 떨어져 나감으로써 계단모양의 폭포가 형성되었다고 한다.  직탕폭포 일대 지역은 추가령구조곡(楸哥嶺構造谷)을 따라 신생대 제4기 홍적세(洪積世) 때 용암이 분출해 만든 200~500m 높이의 평평한 철원 용암대지를 한탄강이 침식하며 흐르며 주변일대가 절경을 이룬다. 직탕폭포와 폭포 주변에 노출된 현무암에서는 육각형 및 다각형 모양의 구조가 관찰되는데, 이것은 오랫동안 물이 흐르면.. 2025. 3. 4.
명성산 중턱의 3단 폭포, 철원 삼부연폭포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위치한 삼부연폭포(三釜淵瀑布)는 명성산 중턱의 계곡에 자리한 높이 20m의 3단으로 이루어진 폭포로, 가뭄이 아무리 심해도 폭포수가 마르지 않는다고 한다. 삼부연 폭포는 철원 8경(八景)중 하나로 꼽히는 폭포이며, 폭포 주변의 신비롭고 기묘한 기암괴석들과 더불어 아름다운 절경을 연출하는 폭포라 할 수 있다.  명성산 중턱의 3단 폭포, 철원 삼부연폭포  삼부연(三釜淵)이라는 폭포 이름은 폭포물이 떨어지는 곳에 3개의 바위구멍에 물이 고여 각각 노귀탕ㆍ솥탕ㆍ가마탕이라 부르는데, 세 번 꺾여 떨어지는 폭포수의 형상이 가마솥(釜)과 같다하여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삼부연 폭포에는 궁예(弓裔)가 철원을 태봉(泰封)의 도읍으로 삼을 때, 이 소(沼)에 살던 이무기 3마리가 폭포의 .. 2025. 2. 26.
러시아식 공법의 아치교 승일교(昇日橋)와 거대한 얼음 빙벽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내대리에 위치한 승일교(昇日橋)는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와 갈말읍 내대리를 잇는 러시아식 공법의 아치교로 설계된 한탄강의 다리이다. 승일교는 기초 공사와 아치교각 공사는 북한이 건축하고, 상판 공사 및 마무리 공사는 한국이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남북합작 다리라 할 수 있다.  승일교는 1948년 철원이 북한 땅이었을 때 북한에서 공사를 시작하였다가 6.25전쟁으로 중단되었으나, 종전 후 1958년에 나머지 구간을 마무리 하였다고 한다. 북한에서는 승일교 건설 당시 한탄교(漢灘橋)라는 이름으로 ‘노력공작대’를 동원하여 공사를 시작하였다고 하며, 6.25전쟁 이후 남한에서 나머지 공사를 마무리하면서 승일교라 하였다고 한다.   승일교 이름의 유래는 6.25전쟁 중 큰 공을 세우고 조선인민군.. 2025. 2. 25.
원주시청 앞 공원 발레 미녀모델 강원도 원주시 무실동에 위치한 원주시청 앞 공원에서는 ‘제1회 원주치악산 모델사진 전국촬영대회’를 한국사진작가협회 원주지부가 주최하여 전국의 수많은 사진애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공원 분수대를 배경으로 우아하고 아름다운 미녀모델의 멋진 포즈를 연출하였다. 이날 촬영대회에서는 시원하게 쏟아지는 분수대를 배경으로 미녀모델들의 귀엽고 깜찍한 포즈를 비롯하여 밸리댄스ㆍ부채춤ㆍ발레ㆍ탈춤 등 미녀모델들의 다양하고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며 진사들의 카메라 셔터를 바쁘게 하였다. 2025. 1. 19.
원주시청 앞 공원 밸리댄스 미녀모델 강원도 원주시 무실동에 위치한 원주시청 앞 공원에서는 ‘제1회 원주치악산 모델사진 전국촬영대회’를 한국사진작가협회 원주지부가 주최하여 전국의 수많은 사진애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공원 분수대를 배경으로 우아하고 아름다운 미녀모델의 멋진 포즈를 연출하였다. 이날 촬영대회에서는 시원하게 쏟아지는 분수대를 배경으로 미녀모델들의 귀엽고 깜찍한 포즈를 비롯하여 밸리댄스ㆍ부채춤ㆍ발레ㆍ탈춤 등 미녀모델들의 다양하고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며 진사들의 카메라 셔터를 바쁘게 하였다. 2025. 1. 12.
풍자의 해학의 우리나라 전통 탈춤 강원도 원주시 무실동에 위치한 원주시청 앞 공원에서는 ‘제1회 원주치악산 모델사진 전국촬영대회’를 한국사진작가협회 원주지부가 주최하여 전국의 수많은 사진애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공원 분수대를 배경으로 우아하고 아름다운 미녀모델의 멋진 포즈를 연출하였다. (사)한국사진작가협회 각 지부 및 지회 또는 각 분과에서는 매년 다양한 전국사진촬영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지역축제와 더불어 아름다운 미녀모델들을 초빙하여 사진촬영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2025. 1. 5.
아름답고 황홀한 부채춤 미녀모델 강원도 원주시 무실동에 위치한 원주시청 앞 공원에서는 ‘제1회 원주치악산 모델사진 전국촬영대회’를 한국사진작가협회 원주지부가 주최하여 전국의 수많은 사진애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공원 분수대를 배경으로 우아하고 아름다운 미녀모델의 멋진 포즈를 연출하였다. (사)한국사진작가협회 각 지부 및 지회 또는 각 분과에서는 매년 다양한 전국사진촬영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지역축제와 더불어 아름다운 미녀모델들을 초빙하여 사진촬영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2024. 12. 29.
아름답고 우아한 발레모델 강원도 원주시 무실동에 위치한 원주시청 앞 공원에서는 ‘제1회 원주치악산 모델사진 전국촬영대회’를 한국사진작가협회 원주지부가 주최하여 전국의 수많은 사진애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공원 분수대를 배경으로 우아하고 아름다운 미녀모델의 멋진 포즈를 연출하였다. (사)한국사진작가협회 각 지부 및 지회 또는 각 분과에서는 매년 다양한 전국사진촬영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지역축제와 더불어 아름다운 미녀모델들을 초빙하여 사진촬영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2024. 12. 22.
원주시청 앞 공원분수대 미녀모델 강원도 원주시 무실동에 위치한 원주시청 앞 공원에서는 ‘제1회 원주치악산 모델사진 전국촬영대회’를 한국사진작가협회 원주지부가 주최하여 전국의 수많은 사진애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공원 분수대를 배경으로 우아하고 아름다운 미녀모델의 멋진 포즈를 연출하였다. (사)한국사진작가협회 각 지부 및 지회 또는 각 분과에서는 매년 다양한 전국사진촬영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지역축제와 더불어 아름다운 미녀모델들을 초빙하여 사진촬영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2024. 12. 15.
원주 소금산밸리의 데크산책로와 소금잔도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소금산길에 위치한 간현관광지 소금산 밸리는 지난 2018년 개통된 출렁다리를 비롯하여 하늘바람길ㆍ데크산책로ㆍ소금잔도ㆍ울렁다리ㆍ스카이 타워 등 다양한 즐길거리가 즐비하다. 간현관광지는 섬강 하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맑은 물ㆍ넓은 백사장ㆍ병풍을 둘러친 듯한 기암괴석 등이 함께 어우러져 경관이 뛰어난 곳이다. 소금산밸리 데크산책로는 소금산의 풍경을 한 눈에 바라보며 편안하고 여유로운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길이 700m 폭 1.5m의 산책로이다. 데크산책로에서 바라보이는 소금산 출렁다리는 장난감 다리처럼 조그맣게 보이며, 데크산책로는 소금잔도와 이어지며 마지막 스카이 타워와 울렁다리까지 연결된다. 원주 소금산밸리는 출렁다리를 시작으로 데크 산책로ㆍ소금잔도ㆍ스카이 타워ㆍ소금산 울렁다리를 일주하.. 2024. 3.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