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강원도105

국보와 보물을 간직한 천년 사찰, 도피안사(到彼岸寺)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에 위치하고 있는 도피안사(到彼岸寺)는 865년(통일신라 경문왕 5년)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철원지방의 향도 천여 명을 거느리고 산수 좋은 곳을 찾던 중 화개산(花開山) 현 위치에 터를 잡고 창건하였다고 전해진다. 도피안사는 ‘깨달음의 언덕으로 건너간다’라는 뜻을 가진 사찰이라 하며, 경내에는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 불상인 국보(國寶) 철조비로사나불좌상(鐵造毘盧舍那佛座像)을 비롯하여 보물(寶物) 도피안사 삼층석탑( 三層石塔) 등이 있다.  도피안사(到彼岸寺) 절 이름은 도선국사가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을 안양사에 봉안하기 위하여 가다 잠시 쉬던 중 불상이 갑자기 없어졌는데 현재의 위치에 그 불상이 안좌한 자세로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 자리에 암자를 짓고, 철조불상이 영원한 안식처인 .. 2025. 3. 11.
유학 교육과 성현의 위패를 모신 철원향교(鐵原鄕校)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에 위치한 철원향교(鐵原鄕校)는 고려 태조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ㆍ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며, 정확한 창건 년대는 미상이라고 한다. 철원향교의 현존 건물로는 공자와 성현의 위패를 봉안하는 대성전을 중심으로 4칸의 명륜당ㆍ동재(東齋)ㆍ서재(西齋)ㆍ동무(東廡)ㆍ서무(西廡)ㆍ외삼문ㆍ내삼문 건물 등이 있으며, 2016년에 철원군 향토문화유산 제3호로 지정되었다.  철원향교는 최초 창건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552년(조선 선조 원년)에 유림들에 의해 중건되었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으며, 그 후 1637년(인조 15년)에 박무ㆍ박화 등 유림들에 의해 재건되었다고 한다. 해방 후 공산치하에서는 보육원으로 활용되던 중 6.25전쟁으로 소실되었다고.. 2025. 3. 10.
풍화와 침식작용으로 인한 계단모양 폭포, 철원 직탕폭포(直湯瀑布)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에 위치한 직탕폭포(直湯瀑布)는 한탄강 상류에 형성된 길이 80m 높이 3~5m의 폭포이며, 독특한 '一'자 형의 폭포로 한국의 나이아가라 폭포라고도 하며 철원 8경(八景) 중 하나이다. 직탕폭포는 규모는 작지만 현무암 위로 오랫동안 물이 흐르면서 풍화와 침식작용을 받는 과정에서 현무암이 주상절리를 따라 떨어져 나감으로써 계단모양의 폭포가 형성되었다고 한다.  직탕폭포 일대 지역은 추가령구조곡(楸哥嶺構造谷)을 따라 신생대 제4기 홍적세(洪積世) 때 용암이 분출해 만든 200~500m 높이의 평평한 철원 용암대지를 한탄강이 침식하며 흐르며 주변일대가 절경을 이룬다. 직탕폭포와 폭포 주변에 노출된 현무암에서는 육각형 및 다각형 모양의 구조가 관찰되는데, 이것은 오랫동안 물이 흐르면.. 2025. 3. 4.
명성산 중턱의 3단 폭포, 철원 삼부연폭포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위치한 삼부연폭포(三釜淵瀑布)는 명성산 중턱의 계곡에 자리한 높이 20m의 3단으로 이루어진 폭포로, 가뭄이 아무리 심해도 폭포수가 마르지 않는다고 한다. 삼부연 폭포는 철원 8경(八景)중 하나로 꼽히는 폭포이며, 폭포 주변의 신비롭고 기묘한 기암괴석들과 더불어 아름다운 절경을 연출하는 폭포라 할 수 있다.  명성산 중턱의 3단 폭포, 철원 삼부연폭포  삼부연(三釜淵)이라는 폭포 이름은 폭포물이 떨어지는 곳에 3개의 바위구멍에 물이 고여 각각 노귀탕ㆍ솥탕ㆍ가마탕이라 부르는데, 세 번 꺾여 떨어지는 폭포수의 형상이 가마솥(釜)과 같다하여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삼부연 폭포에는 궁예(弓裔)가 철원을 태봉(泰封)의 도읍으로 삼을 때, 이 소(沼)에 살던 이무기 3마리가 폭포의 .. 2025. 2. 26.
러시아식 공법의 아치교 승일교(昇日橋)와 거대한 얼음 빙벽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내대리에 위치한 승일교(昇日橋)는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와 갈말읍 내대리를 잇는 러시아식 공법의 아치교로 설계된 한탄강의 다리이다. 승일교는 기초 공사와 아치교각 공사는 북한이 건축하고, 상판 공사 및 마무리 공사는 한국이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남북합작 다리라 할 수 있다.  승일교는 1948년 철원이 북한 땅이었을 때 북한에서 공사를 시작하였다가 6.25전쟁으로 중단되었으나, 종전 후 1958년에 나머지 구간을 마무리 하였다고 한다. 북한에서는 승일교 건설 당시 한탄교(漢灘橋)라는 이름으로 ‘노력공작대’를 동원하여 공사를 시작하였다고 하며, 6.25전쟁 이후 남한에서 나머지 공사를 마무리하면서 승일교라 하였다고 한다.   승일교 이름의 유래는 6.25전쟁 중 큰 공을 세우고 조선인민군.. 2025. 2. 25.
원주 소금산밸리의 데크산책로와 소금잔도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소금산길에 위치한 간현관광지 소금산 밸리는 지난 2018년 개통된 출렁다리를 비롯하여 하늘바람길ㆍ데크산책로ㆍ소금잔도ㆍ울렁다리ㆍ스카이 타워 등 다양한 즐길거리가 즐비하다. 간현관광지는 섬강 하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맑은 물ㆍ넓은 백사장ㆍ병풍을 둘러친 듯한 기암괴석 등이 함께 어우러져 경관이 뛰어난 곳이다. 소금산밸리 데크산책로는 소금산의 풍경을 한 눈에 바라보며 편안하고 여유로운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길이 700m 폭 1.5m의 산책로이다. 데크산책로에서 바라보이는 소금산 출렁다리는 장난감 다리처럼 조그맣게 보이며, 데크산책로는 소금잔도와 이어지며 마지막 스카이 타워와 울렁다리까지 연결된다. 원주 소금산밸리는 출렁다리를 시작으로 데크 산책로ㆍ소금잔도ㆍ스카이 타워ㆍ소금산 울렁다리를 일주하.. 2024. 3. 13.
소금산 울렁다리와 스카이 타워, 간현관광지 소금산밸리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간현리에 위치한 간현관광지의 소금산밸리는 섬강과 삼산천 강물이 모이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울창한 고목과 바위 절벽이 병풍처럼 감싸고 있어 아름다운 절경을 이룬다. 원주 소금산밸리는 출렁다리를 시작으로 데크 산책로ㆍ소금잔도ㆍ스카이 타워ㆍ소금산 울렁다리를 일주하는 총 이동거리 5.3km에 2시간 30분 정도 소요되며, 이외에도 2024년 하반기에는 972m 케이블카를 준공할 예정으로 공사 중에 있다. 소금산 울렁다리는 연장 404m 폭 2m의 보행 현수교이며 까마득한 벼랑 위에서 공중을 걷는 아찔함과 눈앞에 펼쳐지는 절경을 동시에 느낄 수 있어 소금산 출렁다리로 함께 소금산밸리의 명소라 할 수 있다. 소금산 울렁다리는 소금잔도의 끝에 지상 150m 높이의 스카이타워로 연결되어 있으.. 2024. 3. 12.
원주 소금산 밸리, 소금산출렁다리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간현리에 위치한 간현관광지는 2018년 소금산에 출렁다리를 개통한 것을 시작으로 하늘바람길 개통ㆍ데크산책로와 소금잔도 개통, 그리고 2022년에 울렁다리 완공으로 소금산 밸리를 오픈하였다. 원주 소금산 밸리는 출렁다리를 시작으로 데크 산책로ㆍ소금잔도ㆍ스카이 타워ㆍ소금산 울렁다리를 일주하는 코스이며, 총 이동거리 5.3km에 2시간 30분 정도 소요된다. 간현관광지는 섬강과 삼산천 강물이 모이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울창한 고목과 바위 절벽이 병풍처럼 감싸고 있어 관동별곡에서 그 절경을 예찬한 아름다운 절경을 이룬다. 섬강(蟾江)은 맑은 물ㆍ넓은 백사장ㆍ병풍을 둘러친 듯한 기암괴석 등이 함께 어우러져 경관이 뛰어난 곳이며, 삼산천은 하천연장 총 7.3kim로 한강수계의 지방하천으로.. 2024. 3. 11.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있는 간현관광지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소금산길에 위치한 간현관광지는 원주 소금산 밸리사업 추진으로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있는 곳으로 섬강과 삼산천 강물이 모이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간현관광지에는 지난 2018년 개통된 출렁다리를 비롯하여 하늘바람길ㆍ데크산책로ㆍ소금잔도ㆍ울렁다리ㆍ스카이 타워 등 다양한 즐길거리가 있으며, 2024년 하반기에는 972m 케이블카을 준공할 예정으로 공사 중에 있다. 간현관광지는 또한 작은 금강산으로 불리는 소금산을 비롯하여 간현암벽공원ㆍ간현봉ㆍ섬강ㆍ삼산천ㆍ오형제바위ㆍ은주암ㆍ범바위 등 빼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곳이기도 하다. 간현관광지 주변은 관동별곡에서 그 절경을 예찬하였으며, 울창한 고목과 바위 절벽이 병풍처럼 감싸고 있어 아름다운 절경을 이룬다. 섬강(蟾江)은 강원도 횡성군 청일.. 2024. 3. 7.
간현관광지 간현암벽공원의 암벽 등반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소금산길에 위치한 간현관광지는 섬강과 삼산천 강물이 모이는 지점에 위치한 곳으로 관동별곡에서 그 절경을 예찬하였으며, 울창한 고목과 바위 절벽이 병풍처럼 감싸고 있어 절경을 이룬다. 간현관광지는 작은 금강산으로 불리는 소금산을 비롯하여 간현암벽공원ㆍ간현봉ㆍ섬강ㆍ삼산천ㆍ오형제바위ㆍ은주암ㆍ범바위 등 빼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곳이기도 하다. 간현암벽공원은 삼산천 하천을 끼고 거대한 바위절벽이 병풍처럼 우뚝 서있는 바위산에 조성한 암벽공원으로, 숨은벽ㆍ좌벽ㆍ우벽ㆍ하늘벽ㆍ여심바위 등에도 다양한 루트가 조성되어 있다고 한다. 간현암벽공원은 1993년 9월에 원주클라이머스ㆍ만도산악회ㆍ볼트락클라이밍클럽ㆍ클라이밍Wonju 등에서 개척하였다고 한다. 간현암벽공원의 각 루트는 난이도에 따라 비몽사몽ㆍ.. 2024. 3. 6.
춘천 공지천 조각공원 강원도 춘천시 근화동에 위치한 공지천공원은 춘천의 대표적 호수라 할 수 있는 의암호와 연결되어 있는 공지천 주변을 유원지 공원으로 조성한 휴식공간이다. 공지천공원에는 다양한 조각 작품을 즐길 수 있는 조각공원을 비롯하여 공지천 구름다리ㆍ에티오피아 한국전 참전기념관, 그리고 상시 공연이 열리는 야외공연장 등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마련되어 있다. 공지천공원에 자리한 공지천 조각공원은 공지천 주변 잔디밭에 다양한 조각 작품들과 함께 숲속 산책로 등이 조성되어 있는 휴식공간이다. 조각공원은 총 26,928㎡의 규모로 1997년부터 꾸며졌다고 하며, 조각공원 내에는 김유정문학비 ㆍ에티오피아 참전기념비 ㆍ 가족상 ㆍ 여름동화ㆍ폭발물ㆍ우리안에 그대ㆍ시간여행자 등 다양한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2024. 1. 16.
다양한 식물자원과 산림문화공간, 강원도립화목원 강원도 춘천시 사농동에 위치한 강원특별자치도립화목원은 다양한 식물 자원과 자연과 사람이 하나 되는 건강한 산림문화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1999년에 완공되어 개장한 공립수목원이다. 강원도립화목원은 총 120,476㎡ 규모에 산림박물관ㆍ사계식물원ㆍ암석원ㆍ토피어리원 등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초본ㆍ목본ㆍ선인장류 등 총 1,827종류 85천여 본과 환경부에 지정한 멸종위기 식물 20종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강원도립화목원은 식물유전자원 수집ㆍ증식ㆍ보존을 위한 연구 등 현지외 보전기능을 강화하고, 대국민 자연체험학습장 및 휴식공간 제공으로 자연에 대한 소중한 가치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조성하였다고 한다. 강원도립화목원은 다양한 주제원과 가치있는 식물자원을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식물 자원과 건강한 산림문화.. 2024.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