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공연166 ‘장난감으로 만나는 독립운동가’, 서울교육박물관 특별전 서울 종로구 화동에 위치한 서울교육박물관은 우리나라 교육의 역사를 보존 계승하고 서울교육에 관련된 자료를 효과적으로 전시 홍보하여 서울교육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의장을 제공하는 교육전문박물관이다. 정독도서관 서울교육박물관에서는 지난 2024. 9. 11(수)부터 오는 2025. 7. 31(목)까지 광복 79주년 기념 서울교육박물관 특별전 ‘장난감으로 만나는 독립운동가’를 특별전시하고 있다. 이번 특별전시는 미래의 주역이 될 어린이에게 나라를 지킨 영웅들의 활동을 레고 장난감을 통해 보여주고, 그와 관련된 체험을 통해 역사를 재미있고 즐겁게 배우면서 평화로운 세계를 이끌 민주시민으로의 성장을 위한 전시라고 한다. 서울교육박물관 관람시간은 평일은 09:00~18:00까지이고 토ㆍ일요일은 09:00~.. 2025. 2. 28.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시, ‘태평계태평(太平繼太平)’ 서울 종로구 신문로에 위치한 서울역사박물관은 서울의 뿌리와 서울 사람의 생활, 현대 서울로의 변화를 보여주는 상설전시와 함께 서울의 역사ㆍ문화를 증언하는 다양한 기증유물을 전시하는 박물관이다. 서울역사박물관 기획전시실A에서는 지난 2024. 12. 13(금)부터 오는 2025. 3. 9(일)까지 ‘태평계태평(太平繼太平) : 태평성대로 기억된 18세기 서울’ 특별전을 전시하고 있다. ‘한양 전경도’는 한양의 도시 풍경을 한눈에 담은 그림으로, 18세기 후반의 한양은 시장 경제의 발달로 인구 30만 명에 이르는 대도시로 성장한 모습을 그렸다. 그림의 화가가 누구인지 알 수 없으나, 응봉 아래 중층으로 그려진 창덕궁 인정전과 원각사 백탑이 존재감을 드러내고 숲처럼 빼곡히 들어선 민가와 그 속의 백성들을 그렸.. 2025. 2. 24.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2) 서울 용산구 용산동에 위치한 국립중앙박물관은 시대와 주제별로 제시된 6개의 상설전시관과 50개의 실, 그리고 다양한 내용을 선보이는 특별전시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국립박물관이다.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2에서는 지난 2024. 11. 26(화)부터 오는 2025. 3. 3(월)까지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를 특별전시하고 있다. 이번 특별전시는 고려가 이룩한 청자문화의 정점인 상형청자를 단독 조명하는 전시로, 상형청자의 역사와 문화사적 맥락을 짚고 아름다운 상형청자에 담긴 고려 사람들의 세상과 이야기를 전하는 전시라고 한다. 상형청자(象形靑磁)는 인물ㆍ동물ㆍ식물 등의 형상을 본떠 만든 고려청자의 예술성을 대표하는 장르이며, 일찍이 아름다운 비색 유약과 빼어난 조형성으로 찬탄의 대상이 되었.. 2025. 2. 18.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1),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 서울 용산구 용산동에 위치한 국립중앙박물관은 먼 옛날부터 가까운 옛날에 이르기까지 세계 유산을 포함하여 수많은 사람들이 남긴 발자취와 문화유산이 전시되어 있으며, 6개의 상설전시관과 50개의 실ㆍ특별전시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2에서는 지난 2024. 11. 26(화)부터 오는 2025. 3. 3(월)까지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를 특별전시하고 있다. 이번 특별전시는 고려가 이룩한 청자문화의 정점인 상형청자를 단독 조명하는 전시로, 상형청자의 역사와 문화사적 맥락을 짚고 아름다운 상형청자에 담긴 고려 사람들의 세상과 이야기를 전하는 전시라고 한다. 상형청자(象形靑磁)는 인물ㆍ동물ㆍ식물 등의 형상을 본떠 만든 고려청자의 예술성을 대표하는 장르이며, 일찍이 아름다운 .. 2025. 2. 17. 서울공예박물관 특별기획전, 공예로 짓는 집 서울 종로구 안국동에 위치한 서울공예박물관은 전통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시대와 분야를 아우르는 공예품과 공예자료를 수집ㆍ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 최초의 공립 공예박물관이라고 한다. 서울공예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는 지난 2024. 9. 5(목)부터 오는 2025. 3. 9(일)까지 특별기획전 ‘공예로 짓는 집’을 전시하고 있으며, 이번 전시는 다양한 장르와의 실험을 통해 공예의 새로운 역할과 가능성을 모색하는 전시라고 한다. 이번 ‘공예로 짓는 집’ 기획전시는 현대공예가ㆍ전통 장인ㆍ건축가ㆍ디자이너 등 다양한 분야의 작가 20인(팀)과 함께하는 전시라고 하며, 실내ㆍ외 건축 공간에 담긴 공예 요소를 발견하고, 바닥에서 지붕에 이르는 건축의 기본 구조와 개념을 확장된 공예의 관점으로 풀어내고자 하는 전시라고 한다.. 2025. 2. 10. 국립민속박물관 기증 특별전, 꼭두 서울 종로구 삼청로에 위치한 국립민속박물관은 우리 민족 고유의 민속문화를 전승하고 미래를 창출하는 박물관으로, 상설전시와 기획전시로 나누어 전시하고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1에서는 지난 2024. 10. 23(수)부터 오는 2025. 3. 3(월)까지 ‘꼭두와 상여, 상장의례를 통해 나타나는 죽음’에 대한 인식을 재조명하는 ‘꼭두’를 특별전시하고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기증 특별전 ‘꼭두’의 전시자료는 동숭아트센터에서 기증한 ‘꼭두’ 250여 점이며, 전시내용은 ‘1부 낯섦, 마주하다’, ‘2부 이별, 받아들이다’, ‘3부 여행, 떠나보내다’, ‘에필로그 꼭두와 떠나는 여행 또 다른 이야기 꼭두와 함께한 삶, 꼭두 엄마’ 등으로 나누어 전시하고 있다. 사람과 생명체는 모두 죽으며, 죽음은 영.. 2025. 1. 30. 국립민속박물관 을사년 뱀띠 해 특별전, ‘만사형통(萬巳亨通)’ 서울 종로구 삼청로에 위치한 국립민속박물관은 민속문화를 전승하고 미래를 창출하는 박물관으로,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 및 근ㆍ현대 민속문화를 수집ㆍ보존 전시하며 상설전시와 기획전시로 나누어 전시하고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2에서는 지난 2024. 12. 18(수)부터 오는 2025. 3. 3(월)까지 을사년 뱀띠 해 특별전 ‘만사형통(萬巳亨通)’을 특별전시하고 있다. 만사형통(萬巳亨通) 전시는 1부 총명한 뱀, 2부 두려운 뱀, 3부 신성한 뱀으로 나누어 뱀에 대한 인간의 복합적인 인식이 담긴 전 세계의 민속문화 뱀 관련 유ㆍ무형 자료 60여 점을 전시하고 있다. 이번 특별전시는 2025년 뱀띠 해를 맞아 뱀과 함께 살아온 인간의 모습을 살펴보고, 뱀이라는 동물에게 천 개의 얼굴을 만들어준 인간의.. 2025. 1. 2.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 요즘 커피 서울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한 국립민속박물관은 우리 민족 고유의 생활양식ㆍ풍속ㆍ 민속유물을 수집ㆍ보존하며 이를 전시하는 박물관으로, 상설전시와 기획전시로 나누어 전시하고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2에서는 지난 2024. 8. 20(화)부터 오는 2024. 11. 10(일)까지 ‘요즘 커피’ 를 기획전시 하고 있다 이번 ‘요즘 커피’ 기획전시는 '밥심'보다 '커피 수혈'이라는 말이 더 자주 들리는 오늘날 우리에게 커피가 어떤 의미인지 살펴보는 전시라고 한다. 전시내용은 외래 음료에서 민속 음료가 되기까지 한국의 커피 문화 등이며, 전시 자료로는 오얏꽃무늬 커피 잔ㆍ인삼커피ㆍC-레이션 커피 등 60여 점이 전시되고 있다. 이번 전시는 세계에서도 커피를 꽤 많이 마시는 나라로 유명한 커피 공화국인 한국.. 2024. 11. 5. 서울 암사동 유적의 선사유적박물관 서울 강동구 암사동에 위치한 서울 암사동 유적은 한강변 제방 위에 대규모 주거지가 발견되고, 어로 생활을 하던 신석기시대의 원형 움집자리 여러 채가 발견되어 대규모 마을이 형성되었던 곳이었음을 보여준다. 서울 암사동 유적 내에 있는 선사유적박물관은 신석기시대 빗살무늬토기 사람들의 삶의 흔적을 살펴볼 수 있는 곳으로, 상설전시실과 신석기 체험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 암사동 유적의 선사유적박물관 선사시대 생활모습 선사유적박물관 상설전시실은 빗살무늬 토기, 따뜻한 시대로의 변화, 신석기 시대 한강의 생태 환경, 암사동 신석기 마을로의 초대, 새로운 기술과 도구, 신석기 시대 토기 문화, 암사동 유적 빗살무늬 토기, 암사동 유적 발굴사 등으로 꾸며져 있다. 신석기 시대 토기 문화 전시실은 국내ㆍ외 다.. 2024. 10. 8. 그대는 아직도 여기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특별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에 위치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우리나라 근ㆍ현대사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고, 대한민국의 탄생과 발전을 이끌어온 우리 국민들의 다양한 역사적 경험을 함께 나누고 공감하는 역사문화공간이라고 한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3층 주제관에서는 지난 2024. 7. 27(토)부터 오는 2024. 10. 27(일)까지 유엔군 참전의 날 기념 특별전으로 ‘그대는 아직도 여기에’를 특별전시하고 있다. 이번 특별전시는 1953년 7월 27일에 6·25전쟁을 잠시 멈추기로 정전협정을 맺은 날을 ‘유엔군 참전의 날’로 지정하여 매해 참전용사의 공헌을 기리고 있으며, 우리가 누리고 있는 현재가 그들의 고귀한 희생으로 인한 값진 선물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생각할 수 있는 전시라고 한다. 이번 특별전 전시내용은 ‘U.. 2024. 10. 4. 제1회 서울시 유리지공예상 기념전, 서울공예박물관 기획전시 서울 종로구 안국동에 위치한 서울공예박물관은 전통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시대와 분야를 아우르는 공예품과 공예자료를 수집ㆍ보유하고 있는 한국 최초의 공립 공예박물관이라고 한다. 서울공예박물관 전시1동에서는 지난 2024. 8. 27(화)부터 오는 2024. 10. 3(목)까지 ‘2024 제1회 서울시 유리지공예상 기념전’을 기획전시하고 있다. 이번 ‘제1회 서울시 유리지공예상’은 공예 작가들의 활동을 지원하는 첫걸음으로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까지 접수 받은 157건의 작품 중 전문가들의 심사를 거쳐 엄선한 결선 진출작 20건을 기념전에서 선보이고 있다. 결선 진출작의 전시 소재는 동시대 한국 공예의 다채로움을 증명하듯 금속 8건, 도자 4건, 유리 4건, 목 3건, 섬유 1건 등 다양한 분야로 구.. 2024. 9. 20. 지역과 함께하는 <석탄시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특별전시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에 위치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대한민국의 탄생과 발전을 이끌어온 우리 국민들의 다양한 역사적 경험을 함께 나누고 공감하는 역사문화공간이라고 한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는 지난 2024. 4. 26(금)부터 오는 2024. 9. 22(일)까지 ‘지역과 함께하는 석탄시대>’ 특별전시를 하고 있다. 이번 특별전시는 국내 최대 규모의 탄광 장성광업소와 도계광업소가 올해와 내년에 차례로 문을 닫게 되어 문경ㆍ보령ㆍ태백석탄박물관과 함께 찬란했던 대한민국의 석탄시대를 돌아보고자 기획하였다고 한다. 자원이 많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석탄은 유일하게 경제적 이용이 가능한 화석연료였으며, 산업 발전의 소중한 동력원인 석탄 생산을 큰 폭으로 늘리는 것이 매우 중요했으며 이제 산업 성장의 동력이면.. 2024. 9. 19. 이전 1 2 3 4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