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강86

눈이 부시도록 새하얀 조팝나무꽃, 여의도 한강공원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위치하고 있는 여의도 한강공원은 밤섬ㆍ여의도 샛강 등이 비교적 자연그대로 보존되어 있어서 생태학습장과 자연친화적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 여의도 한강공원에는 너른 들판ㆍ멀티 플라자ㆍ여의마당ㆍ버들광장ㆍ민속마당ㆍ잔디마당 등의 광장과 4km의 자전거도로와 산책로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공원 곳곳에는 눈꽃처럼 새하얀 조팝나무꽃을 비롯하여 벚꽃 등 다양한 봄꽃들이 즐비하게 피어 있다. 조팝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떨기나무이며, 산기슭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고 추위에도 잘 견디기 때문에 정원ㆍ도로변ㆍ공원 등 우리주변에 관상용으로 주로 심기도 하고 향기가 있어 정원의 생울타리용으로도 많이 활용한다. 조팝나무꽃은 줄기의 끝과 겨드랑이에서 흰색의 꽃이 4월 초순에 촘촘한 우산살 모양으로 무리.. 2025. 4. 22.
가족애가 돋보이는 공포 코믹영화, 괴물 영화 ‘괴물’은 한강에 나타난 돌연변이 기형(畸形) 물고기 괴물이라는 볼거리와 조금은 모자란 듯한 행동에 오히려 친근감과 웃음을 유발하게 하는 주인공 캐릭터, 그리고 가족애(家族愛)라는 끈끈한 감동이 한데 어우러져 공포영화라기보다는 코믹과 볼거리 재미를 주는 영화라 할 수 있다. SF공포 괴물영화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1987년의 ‘에이리언(Alien)’에서부터 괴물이 등장하는 영화는 우선 기본적으로 짜릿한 흥분을 자극하는 볼거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관객들로부터 꾸준한 사랑을 받아 왔던 것 같다. 영화의 재미는 보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각각 다를 수 있고 액션이나 코믹 등의 볼거리로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겠지만, 영화가 영상을 통해 보여준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영화에서의 볼거리는 빼놓을 수 없는 가장 재미.. 2025. 4. 5.
무지개 모양의 아치형 구름다리, 선유교(仙遊橋)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에 자리한  선유교(仙遊橋)는 양화한강공원과 한강의 작은 섬 선유도공원을 연결해주는 보행전용 무지개 모양의 아치형 구름다리이며, 전체 길이 469m 중 아치형 다리는 120m이다. 선유교는 성산대교와 양화대교 중간에 자리하고 있으며, 선유교 중간에서 한강 양쪽으로 양화대교와 성산대교를 바라볼 수 있어 탁 트인 시야로 한강을 바라볼 수 있다.  선유교는 2002년에 한국ㆍ프랑스 수교 100주년을 기념해 만들어진 다리라고 하며, 난간에 발광다이오드(LED) 조명등을 달아 야경이 더욱 아름다운 다리이기도 하다 선유교는 전국 관광명소에 건설된 출렁다리처럼 흔들리게 설계되었다고는 하지만, 대부분의 출렁다리처럼 느껴질 만큼 출렁거리지는 않는다.   한강에는 한강을 가로지르는 대형 한강대교들이 수.. 2024. 11. 12.
나무숲과 초록의 잔디밭 공원, 양화한강공원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에 위치한 양화한강공원은 여의도 샛강 하구에서 강서구 가양대교까지 한강남단에 조성된 한강공원으로, 둔치에 넓게 조성된 잔디밭과 나무숲으로 조성되어 있다. 양화한강공원의 규모는 361,628㎡ 면적에 길이 5.9㎞이며, 주요시설로는 축구장ㆍ배구장ㆍ농구장 등 체육시설과 체력단련장, 그리고 무지개 아치교인 보행전용 선유교와 자전거 대여소ㆍ양화대교 전망대 등이 있다.  한강공원(漢江公園)은 한강을 옛날과 같이 깨끗한 강으로 되살리자는 목표로 만들어진 공원으로, 강변을 따라 시민 휴식공간과 각종 체육시설 등 다양한 오락·휴양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조성한 공원이다. 한강공원은 한강변을 따라 강서ㆍ난지ㆍ망원 등 12개의 공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공원 각각에는 고유한 테마를 지닌 생태공간이면서 자연.. 2024. 11. 11.
여의도 한강공원의 갈매기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위치한 여의도 한강공원은 한강변에 조성된 12개 한강공원 중 하나로, 밤섬ㆍ여의도 샛강 등이 비교적 자연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 생태학습장 및 자연친화형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 여의도 한강공원은 한강르네상스 특화사업으로 물빛광장ㆍ수상무대 및 수상분수ㆍ빛의 폭포ㆍ피아노물길ㆍ요트마리나 등의 시설물들이 조성되어 있어 일반시민들이 즐겨 찾는 휴식공원이기도 하다.  갈매기가 떠오르는 대표적인 지역이라면 제일 먼저 바다의 해안ㆍ항만ㆍ하구ㆍ바위 해안 등을 생각할 수 있으며, 바다의 아름다운 자연풍광과 더불어 우리의 시가(詩歌) 속에도 자주 등장한다. 이처럼 바다에서나 볼 수 있는 갈매기 떼들이 여의도 한강공원 강가에서도 이제는 볼 수 있는 이색적인 풍경을 만날 수 있으며, 이는 아무래도 사람.. 2024. 5. 13.
싱그러운 연초록 나뭇가지와 봄꽃, 여의도 봄꽃축제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의 여의도 한강공원 일원에서는 지난 2024. 3. 29(금)부터 2024. 4. 2(화)까지 싱그러운 연초록의 나뭇가지와 다양한 봄꽃들을 즐길 수 있는 ‘제18회 여의도 봄꽃축제’가 있었다. 예년보다 일찍 벚꽃이 개화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대부분의 벚꽃들이 화사하게 만개하지는 않았지만 노란 개나리꽃ㆍ산수유꽃 등이 화사하게 피었고, 축제 주 무대에서는 다양한 공연과 함께 다채로운 행사도 있었다. 봄꽃축제장은 봄꽃 스테이지ㆍ아트큐브ㆍ이벤트 체험존 등으로 구성하여 먹거리와 함께 다양한 행사가 있었으며, 봄꽃 스테이지에서는 향기로운 음악과 함께 피크닉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아트큐브는 전시부터 체험까지 오감으로 즐기는 예술공간으로 아트큐브 참여작가전ㆍ현대작가 야외초대전ㆍ봄꽃 사진전.. 2024. 4. 4.
블랙이글스 에어쇼, 여의도 봄꽃축제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의 여의도 한강공원 일원에서는 지난 2024. 3. 29(금)부터 2024. 4. 2(화)까지 ‘제18회 여의도 봄꽃축제’가 있었다. 그동안의 꽃샘추위로 인해 대부분의 벚꽃들이 화사하게 피지는 않았지만 노란 개나리꽃ㆍ산수유꽃등이 화사하게 피었고, 축제 주 무대에서는 다양한 공연과 함께 다채로운 행사도 있었다. 여의도 한강공원 한강둔치 상공에서는 특히 지난 2024. 3. 31(일)에 대한민국 공군의 곡예비행 전대(戰隊)인 블랙 이글스(Black Eagles)의 환상적인 에어쇼가 펼쳐졌다. 한강대교 방향에서 13:58에 오색 연기를 뿜으며 등장하여 여의도공원 한강 상공에서 14:08까지 약 10여분의 짧은 비행이었지만, 다양한 곡예비행과 태극기 등을 그리며 환상적인 에어쇼를 펼쳤다. .. 2024. 4. 3.
한강 전망이 좋은 봉우리, 응봉산(鷹峰山) 서울 성동구 응봉동에 위치하고 있는 응봉산(鷹峰山)은 남산에서 갈라져 나온 산으로, 남산의 줄기에 붙어서 성동구 응봉동에 우뚝하게 솟아 있는 봉우리이다. 옛날의 응봉산은 남산의 줄기에 붙어서 한남동ㆍ옥수동ㆍ신당동ㆍ행당동ㆍ금호동ㆍ응봉동 등을 모두 아우르는 거대한 산세(山勢)였다고 한다. 현재의 성동구 서부는 거의 응봉산 자락이었다고 볼 수 있으나, 도시화 과정에서 응봉산이 여러 갈래로 찢겨져 나가고 현재는 독서당로 이남과 금호로 이동의 지역에 있는 봉우리만을 응봉산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응봉산 이름은 산의 모양이 매처럼 보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며, 또는 조선시대 태종ㆍ성종 등 왕들이 매 사냥을 즐겼던 곳이어서 매의 한자인 ‘응(鷹)’자를 써서 응봉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도 전해진다. 응봉산은 예.. 2023. 11. 8.
여의도 한강공원 밤하늘의 화려한 불꽃, 서울세계불꽃축제2023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에서는 지난 2023. 10. 7(토) 18:30~20:30까지 ‘서울세계불꽃축제2023’ 행사가 있었으며 황홀한 불꽃을 여의도 밤하늘에 화려하게 수놓았다. 이번 서울세계불꽃축제는 '다채로운 색깔로 내일의 세상을 환하게 비추는 밝은 미래'를 주제로 한국ㆍ중국ㆍ폴란드 등 3개국이 참여할 예정이었으나 폴란드 'SUREX'팀은 아쉽게도 발사 시도에 실패하여 취소되었다고 한다. 중국 'Sunny' 팀은 '현실로 이뤄지는 꿈', '희망찬 내일'이라는 메시지가 담긴 'A Dream Comes True'라는 작품을 음악에 맞춰 형형색색의 불꽃으로 한강의 밤하늘을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한국의 '㈜한화' 팀은 'Moonlight-달빛 속으로'라는 테마로 다양한 노래에 맞춰 30분간 불꽃쇼를 선보이며 .. 2023. 10. 9.
우리나라 최초의 생태공원, 여의도 샛강생태공원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위치한 여의도 샛강생태공원은 여의도 남쪽으로 흐르는 샛강으로, 갈대와 물억새가 무성하게 자라는 우리나라 최초의 생태공원이라고 한다. 여의도 샛강생태공원에는 4.6km의 숲속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으며, 천연기념물 제 323호인 황조롱이를 비롯하여 흰뺨검둥오리ㆍ왜가리ㆍ제비꽃ㆍ말즘ㆍ버들치 등 희귀 동ㆍ식물이 살고 있다고 한다. 여의도 샛강은 한강에서 갈라져 나오는 강으로 1997년에 습지공원으로 조성되었으며, 주변에는 샛강생태공원으로 내려갈 수 있는 샛강문화다리를 비롯하여 여의교ㆍ서울교ㆍ여의2교 등이 있다. 샛강생태공원에는 자연을 해치지 않기 위해 벤치와 매점 등 휴식공간이 없으며, 동ㆍ식물들의 휴식과 수면을 위해 가로등도 설치되어 있지 않다. 여의도를 처음 개발할 때 샛강은 개발대상.. 2023. 9. 20.
두물머리의 연꽃 생태정원, 세미원(洗美苑)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에 위치한 세미원(洗美苑)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한강 상류 두물머리 주변의 늪지에 연꽃 등 수생식물을 주로 식재하여 꾸민 물과 연꽃의 생태정원이다. 세미원은 207,587㎡ 규모에 우아한 연꽃뿐만 아니라 수생식물 약 70여종을 비롯하여 초본식물ㆍ목본식물 등 총 270여종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불이문(不二門)은 세미원으로 들어가는 입구로써 하늘과 땅, 자연과 사람, 너와 내가 둘이면서 둘이 아니라는 의미를 담아 그 상징성을 태극문양으로 나타내었다고 한다. 불이문(不二門)에 들어서면 한반도의 형상을 본뜬 국사원(國思圓) 연못과 장독대분수를 만날 수 있으며, 장독대분수는 맑고 아름다운 풍요로운 한강과 더불어 나라와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는 분수로 한강에서 끌어온 물은 .. 2023. 8. 8.
세미원의 황홀한 수련(睡蓮)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에 위치한 세미원(洗美苑)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 주변의 늪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질 정화 기능이 뛰어난 연꽃을 주로 식재한 생태정원이다. 세미원에서는 봄ㆍ여름ㆍ가을ㆍ겨울 각 계절에 맞게 정원을 꾸며 다채로운 행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지난 2023. 7. 1(토)부터 오는 8. 15(화)까지 ‘연꽃문화제’가 진행되고 있다. 수련(睡蓮)은 여러해살이 초본의 부엽성 수생식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하고, 늪이나 연못에서 6~7월에 개화하며 약용이나 관상용으로 많이 이용된다고 한다. 수련은 열대지방과 온대지방에 40여 종(種)이 있다고 하며, 흙탕물을 정화시키고 시든 꽃은 물속으로 모습을 감추고 열매도 물속에서 맺어 추한 모습을 결코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수련 꽃은 백.. 2023. 8.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