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양주35

경기도 남양주의 역사와 문화유산, 남양주시립박물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로에 위치한 남양주시립박물관은 남양주의 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지역 문화 중심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된 박물관이라고 한다. 남양주시립박물관은 2개의 상설 전시관과 함께 지역 주민과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전시와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상설 전시관은 2층의 금석문실과 1층의 역사문화실로 나누어 전시하고 있으며, 금석문실은 금석문 배우기, 시간 여행, 남양주의 금석문을 찾아서, 금석문 체험하기 등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문화실은 남양주의 역사와 생활상을 재구성한 전시실이며 남양주의 길을 묻다, 남양주에 들어서서, 남양주 역사 한눈에 보기, 선사시대 이야기, 왕실과 학문의 고장, 생활이야기라는 주제로 전시되고 있다. 경기도 남양주는 남한강.. 2023. 7. 5.
한강변의 습지 휴식공원, 물의 정원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진중리에 위치한 물의 정원은 자연과 소통하는 한강변의 습지공원으로, 운길산역 건너편 북한강변의 들머리에 자리하고 있다. 물의 정원에는 자전거도로ㆍ강변 산책길ㆍ물향기길ㆍ물마음길ㆍ물빛길 등의 꽃밭 산책로와 전망 데크 등 휴식 공간이 곳곳에 설치되어 있어 북한강의 아름다운 풍경을 여유롭게 즐길 수 있다. 물의 정원의 강변 산책길에는 대단위 초화단지가 조성되어 봄에는 화려한 개양귀비와 가을에는 하늘거리는 코스모스를 만끽할 수 있는 자연 속에서 몸과 마음을 정화하고 치유하는 자연친화적 휴식공간이라 할 수 있다. 봄날의 황홀한 양귀비꽃은 대부분 시들었지만 강변산책길 어느 곳에서 사진을 찍어도 멋진 풍경을 담을 수 있는 곳으로, 아름다운 북한강변을 따라 여유롭고 편안하게 산책할 수 있는 산책길.. 2023. 7. 3.
다산유적지의 다산기념관과 다산문화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위치한 다산유적지는 조선의 대표적 실학자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선생의 생가 여유당과 묘, 그리고 다산기념관ㆍ다산문화관 등이 있다. 정약용 선생은 전남 강진에서의 유배생활을 하는 동안 목민심서ㆍ경세유표ㆍ흠흠심서 등 실학을 집대성한 5백여 권의 주옥같은 수많은 저서를 남겼다. 다산기념관에는 다산 정약용 선생의 일대기 설명을 비롯하여 선생의 친필 서찰ㆍ산수도ㆍ목민심서ㆍ경세유표ㆍ흠흠신서 등 총 59종 308여점의 물품이 전시되어 있다. 정약용 선생은 전남 강진의 유배생활을 끝내고 이곳 마재로 돌아와 보속하는 뜻에서 기도와 고행의 삶을 살다 중국인 유방제 신부에게 병자 성사를 받고 75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다산문화관은 정약용 선생을 현대적 시각으로 재조명해 보는 공간으.. 2023. 4. 11.
다산생태공원의 화사한 봄꽃 향연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위치한 다산생태공원은 두물머리에서 한강으로 이어지는 팔당호를 따라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강변에 16만 7천㎡ 규모로 조성한 수변공원이다 다산생태공원은 연못과 실개울을 따라 수변ㆍ수생식물과 다양한 초화가 조성되어 있어 목련ㆍ산수유꽃ㆍ매화ㆍ미선나무꽃 등 화사한 봄꽃들과 종지나물꽃 등이 초록 잎새와 함께 상큼한 봄을 연출하고 있다. 종지나물은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귀화식물이며 미국제비꽃ㆍ종지제비꽃이라고도 한다. 종지나물꽃은 뿌리에서 나오는 화경에서 4~6월에 길이 2cm 정도로 1개씩 달려 피며, 자색ㆍ흰색ㆍ황록색 등이 섞여 있으며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장이다. 목련(木蓮)은 잎이 나기 전에 4월 중순부터 길이 5~8cm 정도의 긴 타원형의 하.. 2023. 4. 10.
연경의 우정, 실학박물관 기획전시 경기도 남양주시 능내리에 위치한 실학박물관은 실학관련 유물과 자료를 수집ㆍ보존하며, 이를 연구ㆍ전시하고 있는 ‘실학’을 주제로 한 국내 유일의 박물관이라고 한다. ‘실학(實學)’은 조선 후기의 개혁적ㆍ실천적 학풍을 가리키며 공리공론이 아닌 실용적 지식에 관심이 있었으며 교조적 이념이 아닌 실사구시를 추구하였으며 도덕만 외치지 않고 민생에 실제적인 도움이 되는 방안을 강구하였던 학문이다. 실학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는 한중수교 30주년을 기념하여 한중지식인들의 국경을 뛰어 넘는 우정을 주제로 한 실학박물관 특별기획전 ‘연경의 우정’을 전시하였다. 이번 특별기획전 ‘연경의 우정’은 조선 후기 민간차원에서 이루어진 한중 지식인들 간의 현실 인식과 우정을 통한 문화적 소통을 배움으로써 시대와 공간을 뛰어넘는 21세.. 2023. 4. 4.
강변 따라 산책하기 좋은 다산생태공원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위치한 다산생태공원은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강변 16만 7천㎡ 규모에 물환경 생태공원을 조성한 수변공원이다 다산생태공원은 생태ㆍ역사ㆍ문화가 어우러져 자연과 교감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수변 생태공원이며, 공원 내에 서식하고 있는 다양한 식물에 대한 정보와 다산 정약용선생의 생애 이야기를 만나는 곳이기도 하다. 다산생태공원은 2012년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생태복원을 위한 4대강 한강살리기사업과 경기도 팔당수질개선본부의 팔당 수질개선사업 일환으로 추진되었다고 한다. 다산생태공원은 두물머리에서 한강으로 이어지는 팔당호를 따라 조성되었으며, 소내 나루전망대를 비롯해 수생식물원ㆍ연꽃단지ㆍ생태습지ㆍ생태연못ㆍ수변쉼터ㆍ소내데크 등 다양한 휴식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다산생태공원에는 천혜.. 2023. 4. 3.
다산유적지의 정약용 생가, 여유당(與猶堂)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위치한 다산유적지는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선생이 태어나 생활하고 묻힌 곳으로, 사당ㆍ기념관ㆍ묘소ㆍ생가 등이 그대로 보존ㆍ복원되어 있다. 정약용은 서울에서의 관직생활과 전남 강진의 유배생활을 제외하고는 이곳 여유당(與猶堂) 생가에서 지냈다고 하며, 여유당 언덕 위에는 다산의 묘소도 있다. 정약용 선생은 1800년(정조 24년) 봄에 모든 관직을 버리고 이곳 고향 마현으로 낙향하여 집의 문미(門楣)에 여유당(與猶堂)이라는 현판을 붙이고 생활하였다고 한다. 여유당(與猶堂)이라는 이름은 “여(與)여!~ 겨울의 냇물을 건너는 듯하고, 유(猶)여!~ 사방을 두려워하는 듯 하라.” 라는 노자(老子)의 구절에서 따온 말이라고 한다. 여유당 생가(生家)는 1925년 을축년(乙丑年) .. 2023. 3. 31.
모란미술관의 화려한 가을단풍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월산리에 자리한 모란미술관은 조각전문미술관으로 출발하여 현재에는 조각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동시대 미술을 소개하는 비영리기관 미술관이라 한다. 모란미술관은 기획전시ㆍ상설전시ㆍ작가지원ㆍ청소년 교육ㆍ출판ㆍ작품수집 및 보존ㆍ연구 등을 주요사업으로 문화예술의 아름다움을 만인에게 알리는데 설립목적이 있으며, 1990년에 개관하였다고 한다. 모란미술관은 현재 실내전시실 내부공사로 인하여 야외전시만 관람이 가능하며, 야외전시 광장에서는 아름답게 물든 가을 단풍을 즐길 수 있다. 모란미술관의 야외전시장은 8,600여 평에 이르는 넓은 공간으로, 국내외 유명 조각가들의 작품이 자연과 함께 어우러져 있으며 작품 감상과 함께 다양한 문화행사가 열리는 공간이라고 한다. 2021. 11. 9.
흥선대원군의 묘 흥원(興園)과 흥친왕(興親王)의 묘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에 자리하고 있는 흥원(興園)은 대한제국 1대 황제인 고종의 부친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이하응(李昰應)이 안장된 묘소로, 이곳은 세 번째로 이장된 묘역으로 국태공원소(國太公園所)로 불리기도 한다. 흥선대원군은 1898년(광무 2년)에 세상을 떠나자 아소정(我笑亭)에 안장하였으며, 1906년에 고종의 황명으로 파주시 대덕리로 이장(移葬)하였다가 1966년에 현재의 국태공원소로 옮겨졌다. 흥원(興園)의 묘제(墓祭)는 조선의 능(陵)ㆍ원(園)ㆍ묘(墓) 제도를 따라 간략하게 조성되어 상하 2단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봉분 주위에 석양ㆍ석호가 놓여있고 그 앞에는 장명등을 비롯해 망주석ㆍ문인석ㆍ석마 등이 배치되어 있다. 흥선대원군은 대한제국 수립 후 흥선헌의대원왕(興宣獻懿大院王)으로 추.. 2021. 11. 4.
부르심의 땅 성가정, 마제 성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위치한 마재 성지는 순교자 정약종(丁若鍾)을 비롯하여 4형제의 생가 터에 마재 성지를 새로 조성한 것이라고 한다. 마재 성지는 자연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하느님이 하나로 합쳐져 구원의 큰 강을 이루는 거룩한 부르심의 땅이며, 이곳에 머무는 이는 신앙 안에서 한 가족으로 성가정을 이룬다고 한다. 마재는 정약현ㆍ정약전ㆍ정약종ㆍ정약용 등 4형제와 그들의 누이 3명의 고향으로 한국 천주교 요람지의 하나라고 하며, 마재가 한국 천주교사와 관련된 시기는 1784년 한국천주교회 공동체 설립 이전부터라고 한다. 정씨 형제 중에 특히 초기 교회와 관련해서 주목되는 사람은 정약종 일가이며, 정약종은 교리 지식에 해박하였으며 주문모(周文謨) 신부에 의해 명도회(明道會) 회장에 임명되기도 하였.. 2021. 9. 2.
폐역이 되어 쉼터로 활용하고 있는 능내역(陵內驛) 경기도 남양주시 능내리에 위치한 능내역(陵內驛)은 중앙선 광역전철의 운행구간이 국수역까지 연장되면서 선로가 이설되면서 능내역을 지나가지 않게 되자 자연스럽게 2008년 12월에 폐역(廢驛)이 된 역이다. 폐역이 된 능내역을 대신하여 3.5km 떨어진 인근에 운길산역이 신설되었으며, 능내역은 현재 기념물로만 남아있고 일부 철길도 보존되어 있다. 능내역은 1956년에 역무원이 없는 무배치 간이역으로 운영하다 1967년에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나, 1993년에 역무원이 배치된 간이역으로 격하되고 2001년에는 신호장(信號場)으로 변경되었다. 능내역사(陵內驛)舍)는 현재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관광용 및 쉼터로 활용 중에 있으며, 철로는 대부분 자전거도로가 되었고 능내역 끝에는 무궁화호 대수선 열차를 개조해 만든 열.. 2021. 9. 1.
자연생태와 역사문화가 어우러진 다산생태공원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위치한 다산생태공원은 생태ㆍ역사ㆍ문화가 어우러져 자연과 교감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수변 생태공원이라 할 수 있다. 다산생태공원은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강변 16만 7천㎡ 규모에 물환경 생태공원을 조성한 곳으로, 공원 내에 서식하고 있는 다양한 식물에 대한 정보와 다산 정약용선생의 생애 이야기를 만나는 곳이다. 다산생태공원은 2012년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생태복원을 위한 4대강 한강살리기 사업과 경기도 팔당수질개선본부의 팔당 수질개선사업 일환으로 추진되었다고 한다. 다산생태공원은 두물머리에서 한강으로 이어지는 팔당호를 따라 조성되었으며, 소내나루전망대를 비롯해 수생식물원ㆍ연꽃단지ㆍ생태습지ㆍ생태연못ㆍ수변쉼터ㆍ소내데크 등 다양한 휴식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다산생태공원에는 천.. 2021. 8.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