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향기.식물321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온실, 창경궁 대온실(大溫室) 서울 종로구 와룡동에 위치한 창경궁(昌慶宮)내에 자리한 대온실(大溫室)은 철골구조와 목조가 혼합된 구조체를 유리로 둘러싼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온실이다. 대온실(大溫室)은 창덕궁에 거처하는 순종 황제를 위로한다는 명목으로 1909년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창덕궁에 인접한 창경궁내에 동물원과 함께 지었다고 한다. 독도왕해국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독도의 바닷가 바위틈이 원산지이며, 꽃은 7~11월에 지름 3.5~4cm 정도로 연보라 또는 흰색 꽃이 핀다. 해국(海菊)이라는 이름은 바닷가에 자라는 국화라서 붙여진 이름이며, 바닷바람 때문에 키가 크지 못하고 줄기는 30~60cm정도 비스듬히 자라며 낮게 엎드려 꽃을 피운다. 개모밀덩굴은 마디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써 높이 10~15㎝ 정도.. 2024. 12. 17. 열대 및 온대식물의 만남, 선유도공원 온실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에 위치한 선유도(仙遊島)는 1962년에 양화대교가 건설되면서 원래 선유봉이 있던 자리에 모래밭 섬이 생기면서 선유도가 되었으며, 서울 서남부 지역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정수장이었다. 선유도는 정수장 시설물의 일부를 남겨놓은 상태에서 2002년에 정수장 시설을 재활용하여 휴식과 예술이 공존하는 자연친화적 생태공원인 선유도공원으로 조성하였다. 자운두견은 쥐꼬리망초과 관목으로 말레이시아ㆍ아프리카ㆍ브라질이 원산지이고, 보라색 꽃이 늦은 봄에서 이른 여름까지 핀다. 자운두견이라는 이름은 꽃이 진달래꽃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며,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꽃대가 나와 별 모양의 꽃이 핀다. 선유도공원 온실(Glass house)은 2002년 공원 조성 당시 연면적 350.6㎡ 규모로 .. 2024. 11. 21. 일산호수공원 장미원의 황홀한 가을장미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에 위치한 일산호수공원은 우리나라 최대의 인공호수이며, 100여 종의 야생화와 20만여 그루의 나무들과 다양한 야생화들이 식재되어 있다고 한다. 일산호수공원에는 황홀한 장미꽃으로 가득한 장미원을 비롯하여 전통정원ㆍ텃밭정원ㆍ자연학습원장미원ㆍ수변광장, 그리고 자전거 전용도로와 산책로 등이 조성되어 있다. 일산호수공원 내에 있는 장미원은 고양시의 시화(市花)인 장미를 주제로 총 면적 9,550㎡ 규모에 꽃과 인간의 만남의 장소가 되도록 꾸민 장미정원이라고 한다. 장미원에는 장미란도라ㆍ장미메모이레ㆍ장미핑크피스ㆍ장미울리치브르너필즈ㆍ장미루지메이앙 등 이름마저 생소한 다양한 품종의 흰색ㆍ분홍ㆍ노랑ㆍ빨강ㆍ보라 등 여러 빛깔의 장미가 식재되어 있다. '장미란도라'는 독일에서 육성된 장.. 2024. 10. 16. 장자호수공원 장미원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에 위치한 장자호수공원(長者湖水公園)은 상류의 근린공원과 하류의 생태호수공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연생태 호수공원으로, 107,385m² 면적에 평균수심 2.2m라고 한다. 장자호수공원은 생태공원조성사업으로 조성한 공원으로 화려한 장미꽃이 만발한 장미원을 비롯하여 생태체험관ㆍ연꽃습지원ㆍ조각공원ㆍ수변관찰데크 등이 조성되어 있으며 3.6km에 이르는 산책로도 마련되어 있다. 장자호수공원 장미원은 1,050㎡ 규모에 핑키ㆍ고사이ㆍ골드메리ㆍ블루문 등 수 만여 송이의 장미꽃이 식재되어 있으며, 화려하게 개화하였던 오월의 장미만은 못하지만 아쉬움과 함께 아직도 여운을 남기고 있다. 호수주변에는 장미원뿐만 아니라 수십 종의 수생식물과 나무, 그리고 잔디광장 등이 잘 조성되어 있으며, 공원 곳곳에는.. 2024. 10. 3. 황학산수목원 난대식물원 온실 경기도 여주시 매룡동에 위치한 황학산수목원은 멸종위기에 처한 식물에 대한 보전ㆍ복원과 산림문화ㆍ휴양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이며, 자연과 인간이 교감할 수 있는 휴식공간이라고 한다. 황학산수목원은 식물의 생태와 기능에 따라 특색화한 15개의 테마정원으로 특화된 수목원으로, 272,704㎡ 규모에 2,740여종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황학산수목원 난대식물원은 2015년에 ‘경기 북동부 경제특화발전사업'에 선정되어 2018년 12월에 개원하였으며, 우리나라 난대식물 자원의 보전과 연구, 그리고 난대림 식생에 대한 교육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전문 온실이라고 한다. 황학산수목원 난대식물원의 전시 온실에는 우리나라 난대림을 대표할 수 있는 주요 식생과 다양한 희귀ㆍ특산식물이 식재되어 있으며, 1,214㎡ 규.. 2024. 9. 27. 황학산수목원에서 만나는 다양한 꽃 경기도 여주시 매룡동에 위치한 황학산수목원은 식물의 생태와 기능에 따라 특색화한 습지원ㆍ석정원ㆍ산열매원ㆍ항아리정원ㆍ풀향기정원 등 15개의 테마정원과 청정한 숲으로 이루어져 있다. 황학산수목원은 목본 833종류 초본1,261종류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고 하며, 수목원 곳곳에서는 뻐꾹나리ㆍ꽃범의꼬리ㆍ천일홍 등 다양한 꽃들을 만날 수 있다. 뻐꾹나리는 산지의 숲속에서 자생하는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며, 흰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있는 꽃이 아름답고 독특하여 화단이나 돌 틈에 관상용으로도 심는다. 뻐꾹나리 꽃은 7~9월에 지름 3cm 정도의 연한 자색의 꽃이 줄기 끝에 상부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에 2~3개씩 무리지어 피고, 꽃자루의 길이가 위로 갈수록 짧아져 꽃대 끝이 거의 같은 높이를 갖는다. .. 2024. 9. 18. 황학산수목원의 솔채꽃과 부추꽃 경기도 여주시 매룡동에 위치한 황학산수목원은 식물의 생태와 기능에 따라 특색화한 15개의 테마정원과 청정한 숲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목본 833종류 초본1,261종류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황학산수목원의 습지원ㆍ석정원ㆍ산열매원ㆍ항아리정원ㆍ풀향기정원 등 테마정원과 숲속 산책로 곳곳에서는 솔채꽃ㆍ부추꽃 등 다양한 꽃들을 만날 수 있다. 솔체꽃은 산토끼꽃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이며, 습기가 많은 반그늘이나 산기슭의 경사지 혹은 풀숲 등에 자라며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고 하며 ‘솔체’라는 꽃 이름이 외국어 같지만 순우리말이라고 한다. 솔채꽃은 7~9월에 가지와 줄기 끝에 하늘색의 꽃이 머리모양꽃차례로 달리며, 주변부의 꽃은 5개로 갈라지고 외측열편이 가장 크고 중앙부의 꽃은 통상화로 4개로 갈라진다... 2024. 9. 17. 사계절 내내 꽃을 만나는 온실, 더그림 식물체험관 유리 온실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에 위치한 '더그림(THE GREEM)'은 유럽풍 건물과 다양한 수목들이 어우러진 정원으로 몸과 마음을 힐링 할 수 있는 정원이다. 더그림에는 다양한 식물들을 만날 수 있는 식물체험관 유리온실을 비롯하여 풍경화 건물ㆍ산수화 건물ㆍ수채화 건물ㆍ스케치 건물 등 멋진 건물들과 함께 카페에서는 입장권으로 교환한 커피와 음료를 마시는 여유로움과 생활용품 쇼핑 등을 즐길 수 있다. 더그림의 식물체험관 유리 온실은 사계절 내내 변함없이 아름답고 싱그러운 식물들을 체험하고 힐링할 수 있도록 조성한 온실이라고 한다. 이곳에서는 식물들에 대한 지식정보를 살펴보고 유럽풍경의 벽 화면을 배경으로 멋진 사진도 찍을 수 있는 등 날씨와 상관없이 멋과 미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 2024. 9. 6. 상동호수공원의 부천호수식물원 수피아 온실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동에 위치한 상동호수공원 내에 자리한 부천호수식물원 수피아는 연면적 2,969㎡ 규모의 온실이며, 열대 및 아열대 지방의 특별한 수종 430여종의 28,000본의 식물을 만날 수 있다. 부천호수식물원 수피아 온실은 관엽원ㆍ수생원ㆍ야자원ㆍ향기원ㆍ고사리원ㆍ바오밥원ㆍ화목원ㆍ유실수원ㆍ식충식물원 등 9개 테마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칼리안드라(Calliandra)는 콩과에 속하는 상록활엽 관목으로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열대지방 또는 건조 산림지대에서 잘 자라는 나무로 보통 1~5m정도 자란다. 꽃은 봄부터 여름까지 길고 머리 같은 수많은 수술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형꽃차례로 달리는 붉은색 꽃송이는 꽃부리 밖으로 나온 부드러운 수술들이 모인 것이라고 한다. 칼리안드라의 어원은 아름다.. 2024. 8. 9. 열대ㆍ아열대의 진기한 식물을 볼 수 있는 부천호수식물원 수피아 온실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동에 위치한 부천 상동호수공원은 호숫가를 가로지르는 수변 데크와 산책로, 그리고 연면적 2,969㎡ 규모의 부천호수식물원 수피아 온실이 조성되어 있다. 부천호수식물원 수피아 온실은 9개의 테마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기한 열대 및 아열대 지방의 특별한 수종 430여종의 28,000본의 식물을 만날 수 있다. 거미백합(Spider Lily)은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이며, 대부분 열대 지역의 늪이나 강가ㆍ해변 등 습한 장소에 서식하며 일부 종은 관상용으로 재배한다고 한다. 거미백합은 꽃잎이 매우 긴 독특한 모양의 하얀 꽃이 피며, 얇고 긴 꽃잎이 거미를 연상시켜 거미백합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거미백합 꽃은 흰색이며 꽃대 끝에서 약 6~12 송이가 .. 2024. 8. 8. 우아하고 아름다운 홍련(紅蓮), 세미원(洗美苑)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에 위치한 세미원(洗美苑)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한강 두물머리 주변의 늪지 207,587㎡ 규모에 수질 정화 기능이 뛰어난 연꽃 등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꾸민 물과 연꽃의 생태정원이다. 세미원에는 아름답고 화려한 수련과 연꽃뿐만 아니라 수생식물 약 70여종을 비롯하여 초본식물ㆍ목본식물 등 총 270여종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세미원에서는 지난 2024. 6. 28(금)부터 오는 8. 15(목)까지 ‘2024 연꽃, 수련문화제’가 진행되고 있으며, 개장시간도 09:00~21:00까지 연장 운영하고 관람요금은 일반 5,000원 어린이ㆍ청소년ㆍ경노 등은 3,000원이다. 세미원(洗美苑)이라는 이름은 '물을 보면 마음을 씻고 꽃을 보면 마음을 아름답게 하라(觀水洗心 觀.. 2024. 8. 2. 세미원(洗美苑)의 아름답고 황홀한 수련(睡蓮)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에 위치한 세미원(洗美苑)은 한강 상류 두물머리 주변의 늪지에 수질 정화 기능이 뛰어난 연꽃 등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꾸민 물과 연꽃의 생태정원이다. 세미원에는 화려한 수련과 연꽃뿐만 아니라 수생식물 약 70여종을 비롯하여 초본식물ㆍ목본식물 등 총 270여종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세미원(洗美苑)이라는 이름은 '물을 보면 마음을 씻고 꽃을 보면 마음을 아름답게 하라(觀水洗心 觀花美心)' 라는 글에서 따온 이름이라고 한다. 세미원에서는 지난 2024. 6. 28(금)부터 오는 8. 15(목)까지 ‘2024 연꽃-수련문화제’가 진행되고 있으며, 개장시간도 09:00~21:00까지 연장 운영하고 관람요금은 일반 5,000원 어린이ㆍ청소년ㆍ경노 등은 3,000원이다. 수.. 2024. 8. 1. 이전 1 2 3 4 ···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