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경기도

율곡 이이 유적지에 자리한 자운서원(紫雲書院)

by kangdante 2023. 5. 24.
728x90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동문리의 율곡 이이 유적지 내에 위치한 자운서원(紫雲書院)

1615(광해군 7)에 율곡 이이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신 사액서원(賜額書院)이다.

 

자운서원은 1650(효종 1)에 효종의 친필로 자운(紫雲)이라고 사액되었으며,

그 뒤 김장생(金長生)과 박세채(朴世采)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고 한다.

 

 

자운서원은 1868(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며,

위패는 매안(埋安)하고 서원 터에 설단(設壇)하여 향사를 지내오다

1969년에 지방유림의 기금과 국비보조로 복원하고 1975년과 1976년에 걸쳐 보수하였다고 한다.

 

자운서원 내의 건물로는 이이를 중앙에 봉안하고 좌우에 김장생과 박세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는 문성사(文成祠),

그리고 강인당(講仁堂)입지재(立志齋)수양재(修養齋)신문(神門)동서 협문(夾門) 등이 있다.

 

728x90

 

수양재(修養齋)는 자원서원의 서재(西齋)1997년에 신축하였으며 정면 3칸 측면 1칸 반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입지재(立志齋)는 유생들이 기거하던 동재(東齋) 기숙사이며

1997년에 신축한 정면 3칸 측면 1칸 반 규모의 맞배지붕 건물로 신사임당 영당(申師任堂 影堂)이 함께 있다.

 

강인당(講仁堂)은 유생들의 강학 장소로 서원의 중심건물이다.

 

 

자운서원 묘정비(紫雲書院 廟庭碑)1683(숙종 9)에 건립한 총 높이 387의 비()이며,

이이(李珥)의 학덕을 기리고 자운서원 건립 내력을 상세하게 기록하였으며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재 제77호이다.

 

장방형인 지대석(地臺石) 위에 비몸을 세우고 그 위에 팔작지붕 모양의 개석(蓋石)을 올렸으며,

비문(碑文)은 송시열(宋時烈)이 짓고 글씨는 김수증(金壽增)이 썼으며 머리글은 김수항(金壽恒) 썼다고 한다.

 

문성사(文成祠)에는 이이(李珥)를 중앙에 봉안하고 좌우에 김장생과 박세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율곡 이이 유적지(栗谷 李珥 遺蹟地)는 조선 중기의 대학자이며 경세가(經世家)인 율곡 이이(栗谷 李珥)의 유적지로,

가족 묘역과 함께 위패를 모신 자운서원이 있는 곳이다.

 

유적지 내에는 드넓은 잔디광장연못 등과 함께 이이의 일대기를 기록한 이이선생 신도비(李珥先生 神道碑),

이이와 신사임당의 동상, 그리고 이이의 유품 및 일대기를 전시한 율곡기념관 등이 있다.

 

 

신사임당(申師任堂)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여류 예술가로 일찍부터 예술가의 재능을 보였으며,

그의 주된 그림소재는 풀벌레화조매화난초산수 등으로 마치 생동하는 듯한 섬세한 사실화였다.

 

율곡 이이(栗谷 李珥)는 조선 중기의 대표적 학자이며 경세가로,

현실적 문제해결을 중시하는 실천적 학문으로 이황(李滉)과 함께 쌍벽을 이루며 기호학파(畿湖學派)를 주도하였다.

 

파주 이이 유적지 관람시간은 09:00~18:00까지이고 매주 월요일은 휴장한다.

관람료는 대인 1,000원 소인 500원 군500원 경로국가유공자 등은 무료이고 주차장은 무료 이용할 수 있다.

 

 

여현문(如見聞)은 율곡선생신사임당(申師任堂) 묘를 비롯하여 가족묘가 안장되어 있는 묘소로 들어서는 문이며,

가족묘는 조상의 묘보다 자신을 제일 높은 곳에 안치한 독특한 역묘(逆墓) 형태이다.

 

중심 묘역에는 맨 위에 이이(李珥)와 부인 곡산 노씨의 묘가 자리 잡고 있고,

그 아래에 이이의 맏형 李璿(이선)과 부인 곽씨의 합장묘

그 아래로 이이의 부모인 이원수(李元秀)와 신사임당(申師任堂)의 합장묘,

그리고 맨 아래에 맏아들 이경림(李景臨)의 묘가 위치하고 있다.

 

 

이이선생 신도비(李珥先生 神道碑)는 높이 223cm 109cm 두께 39cm 규모의 대리석 비석으로

앞뒷면에 율곡선생의 일대기가 기록되어 있다.

 

신도비(神道碑)1631(인조 9)에 건립되었고 이항복(李恒福)이 비문을 짓고 신익성(申翊聖)이 썼으며

전액(篆額)은 김상용(金尙容)이 썼다고 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