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17 서울대공원 자연생태정원, 꽃의 언덕 경기도 과천시 막계동에 위치한 서울대공원은 총 부지 면적은 약 913만㎡의 드넓은 공원이며, 국내 최대 규모의 동물원뿐만 아니라 전시온실ㆍ식물주제원ㆍ식물표본전시관의 식물원 등 다양한 식물도 만날 수 있는 종합 테마공원이다. 서울대공원 식물원은 1,262종의 다양한 식물이 전시되고 있으며, 전시온실에는 기묘한 형태와 다양한 꽃을 피우는 선인장부터 각국의 관엽식물, 그리고 야외식물원 꽃의 언덕에는 각양각색의 초화 등이 전시되어 있다. 서울대공원 식물원의 꽃의 언덕은 다양한 초화류가 혼합 식재되어 사계절 꽃과 더불어 나비ㆍ곤충ㆍ새를 함께 볼 수 있는 자연생태정원이라고 한다. 꽃의 언덕에는 나무수국ㆍ털수염풀ㆍ큰꿩의비름 등 계절에 따라 잎의 색이 변하는 60여 종의 식물들도 만날 수 있다고 한다. 능소화(.. 2024. 7. 22. 국내 최대 규모의 종합 테마공원, 서울대공원 경기도 과천시 막계동에 위치한 서울대공원은 국내 최대 규모의 동물원을 비롯하여 아름다운 장미원과 귀여운 어린이동물원이 함께하는 테마가든, 놀이동산인 서울랜드, 그리고 전시온실ㆍ식물주제원ㆍ식물표본전시관의 식물원 등으로 구성된 종합 테마공원이다. 서울대공원의 총 부지 면적은 약 913만㎡의 드넓은 공원이며, 공원을 편안하게 구경할 수 있는 이동수단으로 코끼리열차ㆍ스카이 리프트ㆍ동물원 무료순환 버스 등을 활용할 수도 있다. 서울동물원은 서울대공원의 직속기관으로 1984년 5월에 개장한 이래 동물원의 기능인 전시ㆍ보전ㆍ교육ㆍ연구에 힘쓰고 있다고 한다. 동물원은 홍학사를 비롯하여 아프리카관ㆍ유인원관ㆍ대동물관ㆍ호주관ㆍ큰물새장ㆍ낙타사ㆍ동양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유류ㆍ조류ㆍ파충류ㆍ양서류/곤충ㆍ멸종위기 관리동물.. 2024. 7. 19. 서울대공원 동물원의 크고 작은 동물들 경기도 과천시 막계동에 위치한 서울대공원 동물원은 세계적 희귀종을 비롯하여 포유류ㆍ조류ㆍ파충류 등과 세계 곳곳에서 수집한 다양한 동물들을 아프리카관ㆍ대동물관ㆍ해양동물관ㆍ아메리카관ㆍ동양관ㆍ큰 물새장 등 75개의 동물사에서 사육ㆍ전시ㆍ관리하고 있다. 서울대공원 동물원은 서울대공원 직속기관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동물원이 세워졌던 창경궁의 동물들을 서울대공원 완공과 더불어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고 한다. 서울대공원 동물원에는 포유류 가운데 키가 가장 큰 기린을 비롯하여 흰코뿔소ㆍ아시아 물소ㆍ스라소니 등 덩치가 큰 동물들도 많지만, 사막의 파숫꾼 미어캣(Meerkat), 초원의 개라 불리는 검은꼬리프레리독(Black-tailed Prairie Dog) 등 귀엽고 작은 동물들도 만날 수 있다 미어캣(Meerkat.. 2024. 7. 16. [한장의 사진] 질주 경기도 과천시 주암동에 위치한 렛츠런 파크(Let's Run Park)에는 휴일마다 경마(競馬)를 즐기기 위한 사람들로 인산인해를 이루지만, 질주하는 경마를 패닝 샷(Panning shot)으로 즐기는 진사들도 진지하다. 패닝 샷(Panning shot)은 움직이는 피사체를 따라가며 연속으로 촬영하는 기법으로, 셔터우선 모드(Tv)나 수동노출 모드(M)에서 셔터속도를 1/40~1/50초로 설정하고 좌로부터 45° 각도에서 시작하여 우로 45° 각도까지 피사체를 따라가며 연속 촬영한다. 2023. 3. 12. [한장의 사진] 질주 경기도 과천시 주암동에 위치한 ‘렛츠런 파크’에는 대부분이 경마를 즐기는 사람들로 인산인해를 이루지만 질주하는 경마들의 패닝 샷(Panning shot)을 즐기는 진사들도 많다 패닝 샷(Panning shot)은 움직이는 피사체의 속도감을 표현할 때 주로 사용하는 촬영기법으로, 카메라를 셔터속도 우선(1/50초 정도)으로 설정하고 연속촬영으로 움직이는 피사체를 따라가며 찍는 기법이다. 2022. 11. 20. [한장의 사진] 질주 경기도 과천에 위치한 렛츠런 파크 서울(Let's Run Park Seoul)에는 언제나 경마(競馬)를 즐기는 사람들로 인산인해를 이루지만 진사의 패닝 샷(Panning shot) 놀이는 경마이상의 또 다른 즐거움이다. 패닝 샷(Panning shot)은 달리는 말 등 움직이는 피사체를 따라 역동감을 표현하고 배경은 흘러가는 모습으로 처리하는 촬영기법이다. 2022. 9. 25. [한장의 사진] 질주 경기도 과천시에 위치한 렛츠런 파크 서울(Let's Run Park Seoul)에서의 경마(競馬)를 그동안 코로나 인해 찾지 못했지만 시원하게 질주하는 말들의 패닝 샷(Panning shot) 촬영을 하루빨리 다시 즐기고 싶다. 2022. 5. 1. 추사 김정희의 모든 것을 볼 수 있는 추사박물관(秋史博物館) 경기도 과천시 주암동에 위치한 추사박물관(秋史博物館)은 추사 김정희의 모든 것을 살펴볼 수 있는 박물관으로, 추사를 종합적으로 연구ㆍ전시ㆍ체험할 수 있고 다채로운 프로그램들과 흥미로운 체험도 마련되어 있다. 추사박물관 전시실은 추사의 생애ㆍ추사의 학예ㆍ후지츠카 기증실ㆍ기획전시실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후지츠카 기증실은 후지츠카 부자의 학문적 성취와 추사자료의 기증을 기념하는 전시공간이다.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는 19세기 전반 실사구시설을 제창하고 청나라 고증학의 정수를 가장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였던 학자이며, 가학(家學)과 모든 서가(書架)의 장점을 취해 독창적인 추사체를 창안한 서예가이기도 하다. 추사박물관이 자리한 과천(果川)은 추사 김정희가 말년에 4년간 과지초당(瓜地草堂)에 지내면서 .. 2022. 4. 5. 추사 김정희가 기거하였던 과지초당(瓜地草堂) 경기도 과천시 주암동에 자리한 과지초당(瓜地草堂)은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가 13년 동안 기거하였던 곳으로, 과천시의 개발로 인해 훼손되었다가 2007년에 복원하였다. 과지초당은 2,055㎡ 부지에 한옥 2동 규모이며, 초당 인근에 있던 항아리로 만든 독우물을 배치하고 소규모 공원도 함께 조성하였다. 과지초당은 김정희의 생부인 김노경(金魯敬)이 한성판윤을 지내던 1824년에 마련한 별서(別墅)라고 하며, 안채에 걸려 있는 과지초당(瓜地草堂) 휘호는 가산 최영환이 썼다고 한다. 김노경(金魯敬)이 별세하자 추사는 부친의 묘역을 과지초당 인근 옥녀봉(玉女峰) 중턱 검단에 모시고 과지초당에서 3년상을 치루었으며, 그 후 과천을 자주 찾아 과지초당에서 지낸 날들이 많았다고 한다. 과지초당은 경관이 빼어난 정.. 2022. 4. 1. 서울대공원 동물원의 다양한 동물들 경기도 과천시 막계동에 위치한 서울대공원 동물원은 세계적 희귀종을 비롯하여 포유류ㆍ조류ㆍ파충류 등과 세계 곳곳에서 수집한 다양한 동물들을 아프리카관ㆍ대동물관ㆍ해양동물관ㆍ아메리카관ㆍ동양관ㆍ큰 물새장 등 75개의 동물사에서 사육ㆍ전시ㆍ관리하고 있다. 서울대공원 동물원은 서울대공원 직속기관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동물원이 세워졌던 창경원(창경궁)의 동물들을 서울대공원 완공과 더불어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고 한다. 기린은 포유류 가운데 키가 가장 큰 동물로 최대 6m까지 키가 자라고 갓 태어난 새끼도 무려 1.8m나 된다고 하며, 몸은 비교적 작고 다리와 목은 매우 길다. 기린은 사하라 사막 남부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열대ㆍ아열대의 대초원(사바나)과 훤히 트인 관목지대에서 무리를 지어 주로 아카시아 잎을 먹으며 .. 2021. 5. 27. 우리나라 최대의 동ㆍ식물원 종합 테마공원, 서울대공원 경기도 과천시 막계동에 위치한 서울대공원은 국내 최대 규모의 동물원을 비롯하여 형형색색의 장미들과 귀여운 어린이동물원이 함께하는 테마가든, 놀이동산인 서울랜드, 그리고 전시온실ㆍ식물주제원ㆍ식물표본전시관의 식물원 등으로 구성된 종합 테마공원이다. 서울대공원의 총 부지 면적은 약 913만㎡로 드넓은 공원이기에 공원을 편안하게 구경할 수 있는 이동수단으로 코끼리열차ㆍ스카이 리프트ㆍ동물원 무료순환 버스 등을 활용할 수도 있다. 동물원은 홍학사를 비롯하여 아프리카관ㆍ유인원관ㆍ대동물관ㆍ호주관ㆍ큰물새장ㆍ낙타사ㆍ동양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유류ㆍ조류ㆍ파충류ㆍ양서류/곤충ㆍ멸종위기 관리동물ㆍ천연기념물 등 다수를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식물원은 1,262종의 다양한 식물이 전시되고 있으며, 전시온실에는 기묘한 형태와 .. 2021. 5. 26. 서울대공원 동물원의 작은 동물 경기도 과천시 막계동에 위치한 서울대공원 동물원은 포유류ㆍ조류ㆍ파충류ㆍ양서류/곤충 등과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물 등 다양한 동물들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서울대공원 동물원에는 호랑이ㆍ사자ㆍ표범 등 맹수들도 많지만, 자그마한 용사 검은꼬리프레리독(Black-tailed Prairie Dog), 밤이 편한 사막여우(Fennec Fox), 사막의 파숫꾼 미어캣(Meerkat) 등 작은 동물들도 만날 수 있다. 검은꼬리프레리독(Black-tailed Prairie Dog)은 다람쥐과 동물로 북아메리카 초원에서 땅굴을 파고 무리를 지어 사는 땅굴파기 선수라 할 수 있으며, 미로처럼 파놓은 땅속 굴에는 잠자는 방ㆍ먹이를 저장하는 방ㆍ화장실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고 한다. 검은꼬리프레리독의 서식지는 초원이며 크기는 .. 2021. 5. 2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