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위치한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유적지에는
정약용선생이 태어나고 생활하였던 여유당(與猶堂) 생가와 더불어 오른쪽을 돌아 뒷동산 언덕위에는 그의 묘소가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생가 왼쪽에는 선생의 동상과 그 뒤에는 정약용의 영정이 있는 사당인 문도사(文度祠)가 있으며,
주변에는 다산기념관ㆍ다산문화관ㆍ실학 박물관 등이 있어 정약용선생의 삶과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유적지 입구 정면에 위치한 여유당 생가는 1925년 을축년 대홍수로 유실된 것을 1986년에 복원하여
고졸(古拙)한 자태로 자리 잡고 있다.
여유당 앞에는 내(川)가 흐르고 집 뒤에는 낮은 언덕이 있는 지형에 자리 잡고 있어 수각(水閣)이라 표현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정약용(丁若鏞)은 반계 유형원(磻溪 柳馨遠)ㆍ성호 이익(星湖 李瀷) 선생의 뒤를 이어 조선시대 실학사상을 집대성하였으며,
조선후기 개화사상가에게도 큰 영향을 주었고 문도공(文度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1800년(정조 24년) 봄에 모든 관직을 버리고 이곳 고향 마현으로 낙향하여
집의 문미(門楣)에 여유당(與猶堂)이라는 현판을 붙이고 서울에서의 관직생활과 전남 강진의 유배생활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이곳에서 생활하였다고 한다.
다산 정약용은 경기도 광주군 초부면 마현리에서 세상을 떠나신 후 여유당 뒷산에 묻혀있는데,
소박한 호석(護石)의 보호아래 한강의 여유로운 흐름을 관망하면서 부인 풍산 홍씨와 함께 여유당을 바라보고 있다.
정약용의 영정이 있는 사당인 문도사(文度祠)
'국내여행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한강변에 자리한 여주 신륵사(神勒寺) (42) | 2018.12.17 |
---|---|
보물(寶物)들로 가득한 여주 신륵사(神勒寺) (37) | 2018.12.14 |
다산 정약용의 생가(生家), 여유당(與猶堂) (44) | 2018.12.07 |
갯벌과 염전이 있는 생태공원, 갯골생태공원 (49) | 2018.11.29 |
황금보기를 돌 같이 하라, 고려 최영장군(崔瑩將軍) 묘 (46) | 2018.11.28 |
비운(悲運)의 왕과 왕후들의 능(陵), 파주 삼릉(三陵) (42) | 2018.11.27 |
잘 관리 된 모습이군요.
구경 잘 하고 가요^^
답글
다산 정약용의 생가가 남양주에 있군요.
고졸(古拙)하다는 단어가 생소해서 사전적 의미까지 찾아보게 되었습니다...ㅎ
여유당...마음까지 편안해 지는 느낌이 드는데요 ? ㅎㅎ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답글
남양주 살면서 저기 여러번 갔어는데
생가는 문이 닫혀 있어서 못봤었는데~~~
저런 모습이었군요 ㅜㅜ
음 담에는 꼭 직접 보러 가야겠네요 ^^
오늘도 행복하세요 ^6
답글
와~ 역시... 집이 어마어마 하네요.
여유당 뿐만 아니라 근처에 유적지와 문화관도 있어서 두루두루 구경하고 오기 좋을 것 같아요.
답글
잘관리되고 보존되서 넘 좋네요 ㅎㅎㅎㅎ 구경하러가기 정말 좋겠어요^^
답글
여기 근처에 꽤 유명한 닭백숙집이 있다죠.
답글
한번 가보고 싶어지는 곳이네요..
다산 정약용 정말 대단한 인물이죠.
아이들과 함께 가면 교육에 도움이 되겠어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답글
남양주에 정약용 생가가 있었네요..
복원하였다니 다행이고 관리도 잘 되어 있는것 같아
흐믓해요~^^
덕분에 또 한 곳 알게 되었네요..
행복한 하루 보내세여~^^
답글
정약용 하면 강진이 먼저 떠올라서. 맞네요 그의 유배 이후의 삶만 봤지 태어난 곳은 잊고 있었네요. 여유당 잘 보고 갑니다.
답글
저두 여기 들러봤습니다
산책하면서 구경하기 좋더라구요
사진으로는 더 예쁘게 담으셨네요
답글
오오 생가라하니 괜히 한번더 집중하게 되네요..ㅋㅋㅋㅋ
차분한 분위기가 요즘 너무 좋습니다ㅜ
답글
와.. 여기는 진짜 꼭 한번 가보고 싶네요. 아이들과 가볼 곳으로 찜해봅니다!ㅎㅎ
답글
저도 오래전에 갔던 곳인데, 이렇게 사진으로 다시 보니 무척 반갑네요.
그때보다 달라진 듯 싶으니, 기회가 되면 다시 가봐야겠습니다.ㅎㅎ
답글
정조대왕의 최측근이면서 위대한 사상가입니다.
행복하세요^^
답글
블로그도 방문하고 정약용에 대해서도 알아 보고 유익한 시간이내요^^
답글
지나가면서 본듯합니다 ㅎㅎ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답글
아주 멋진 한국미가 담겨진 한국건축을 보면 향수를 불러일으키네요. 멋집니다. 오래도록 보존했으면 합니다.
답글
이곳에 가 보고 정약용 선생의 진짜(!) 호는 '열수, 사암'라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열수는 마재마을 앞을 흐르는 한강. 쓰라린 아픔이 배어 있는 유배지 강진에서 유래된 '다산'이라는 호를 과연 선생께서 좋아하실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답글
정양용의 생가가 가까운 곳에 있었는데,, 이제서야 알다니..
기회되면 꼭 한번 다녀와야겠습니다~^^
답글
다산의 생가가 여유당이군요. 여유당. 꼭 외워놓고 들러봐야겠습니다. 배울 점이 많겠어요.^^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