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경기도753

지방문화재와 함께 조성한 자연형 근린공원, 분당 중앙공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위치한 분당 중앙공원은 영장산(靈長山) 자락에 위치하여 기존의 지형과 수림대를 최대로 보존하여 조성한 자연형 근린공원으로 1994년 7월에 개원하였다. 분당중앙공원은 능선을 따라 등산로를 개설하고 분당천변에 산책로를 조성하여 산책 위주로 즐길 수 있는 공원이며, 각종 문화행사를 할 수 있는 야외공연장과 대규모 잔디광장도 조성되어 있다.  중앙공원 한복판에 자리한 분당호는 공원을 가로지르며 흐르는 분당천을 끌어들여 조성한 연못이며, 약 1만 2,500m² 규모이며 경주 안압지를 원형으로 하여 만들었다고 한다. 분당호는 2개의 섬을 3개의 돌다리로 연결하고 있으며, 경복궁 경회루와 창덕궁 애련정을 원형으로 하여 지은 돌마각(突馬閣)과 수내정(籔內亭)도 조성되어 있디.   중앙공.. 2025. 4. 3.
전통문화를 현대에 계승시키는 평생교육의 요람, 설봉서원(雪峯書院) 경기도 이천시 관고동에 자리한 설봉서원(雪峯書院)은 1564년(명종 19년)에 안흥지(安興池) 주변에 향현사를 창건하고 장위공(章威公) 서희(徐熙)을 봉향하였으며, 이후 이관의(李寬義)ㆍ김안국(金安國)을 추배하고 삼현사(三賢祠)라 칭하였다. 설봉서원은 현재 강의실인 명교당(明敎堂)을 비롯하여 이천의 사표(師表)가 될 4현(賢)의 위패(位牌)를 모신 사당인 상현사(尙賢祠), 제기(祭器) 등을 보관하는 전사청(典祀廳),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관리사무실인 양사재(養士齋), 그리고 양현문ㆍ내삼문ㆍ협문 등 9개 동의 건물이 있다.  설봉서원의 원래 위치는 이천시 안흥지(安興池) 주변이었으나 임진왜란 전 설봉산 아래로 옮기면서 설봉서원(雪峯書院)으로 명명되었으며, 1593년(선조 26년)에.. 2025. 4. 1.
호숫가 산책과 인공폭포 등 다양한 볼거리, 이천 설봉공원 경기도 이천시 관고동의 설봉산 자락에 위치한 설봉공원(雪峯公園)은 설봉저수지(설봉호)ㆍ관고저수지로도 불리며, 중앙의 넓은 호숫가를 따라 조성된 산책로에서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경기도 이천의 대표적 공원시설이다. 설봉공원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설봉저수지(설봉호)는 99,174㎡ 규모에 둘레 1.05km 수심 12m라고 하며, 관개 및 관광개발을 목적으로 1969년 농림부 및 경기도의 저수지 조성 승인을 받아 1970년에 완공되었다고 한다.  설봉공원에서는 매년 이천도자기축제을 비롯하여 이천쌀문화축제ㆍ세계도자기비엔날레 등 다양한 축제를 개최하는 공원이며, 이천 9경 중 하나로 시민의 편안한 휴식처로 자리 잡고 있다. 설봉공원 내에는 이천시립박물관과 미술관ㆍ세계도자센터가 함께하고 있으며, 관고리 오층석탑과 .. 2025. 3. 31.
독특한 석화(石畫)가 있는 책 테마파크도서관, 성남 율동공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위치한 율동공원은 분당저수지 주변에 조성한 자연호수공원으로, 책 테마파크도서관을 비롯하여 수변산책로ㆍ야외조각전시장 등이 조성되어 있는 시민휴식공간이다. 율동공원 내에 자리한 책 테마파크도서관은 우리나라 최초로 책을 테마로 하여 지난 2006년 4월에 최초 개관한 도서관으로, 기존의 도서관과는 차원이 다른 공간이라고 한다.  책 테마파크도서관은 바람의 책(소리)ㆍ시간의 책(미로)ㆍ한글의 책ㆍ공간의 책(북 카페)ㆍ음악의 책ㆍ하늘의 책(야외공연장)ㆍ물의 책(만파식적)ㆍ신 8언시 천자문의 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서 현황으로는 일반도서 4,026권과 아동도서 5,181권 등 총 9,207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신문ㆍ잡지 등 연속 간행물도 7건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책 테마.. 2025. 3. 28.
다양한 조각 작품이 전시된 율동공원 야외조각전시장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위치한 율동공원은 호숫가 산책로 중간에 조성된 야외조각전시장을 비롯하여 2.5km의 산책로와 책 테마파크 등이 마련되어 있는 자연호수공원이다. 율동공원은 분당저수지 주변 자연의 아름다움과 멋을 최대한 살리면서 다양한 놀이시설과 볼거리를 적절히 배합한 공원이라고 할 수 있다.   율동공원 야외조각전시장에는 ‘작곡가 박태현 노래비’를 비롯하여 숲속의 합창ㆍ비너스ㆍ기다림 등 24개 조각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어 또 다른 볼거리를 제공한다. 야외조각전시장 옆에는 책을 테마로 만든 책테마파크와 함께 경기도 문화유산자료인 청주 한씨 문정공파 묘역과 신도비(神道碑)가 자리하고 있다. 2025. 3. 27.
물새들이 호수에서 여유롭게 노니는 율동공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위치한 율동공원은 자연의 아름다움과 멋을 최대한 살린 자연호수공원으로, 분당저수지를 끼고 있는 현대적 개념의 시민휴식공간이라고 한다. 율동공원은 호수 주변을 따라 자연과 함께 산책할 수 있는 2.5km의 수변산책로를 비롯하여 대규모의 잔디광장에 마련된 조각공원, 그리고 책 읽기를 유도하는 책테마파크 등이 자리하고 있다.  율동공원에는 백세 건강을 위한 맨발 황톳길이 조성되어 있으며,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점은 황톳길이 비닐하우스 칸막이로 되어 있는 점이라 할 수 있다. 황톳길 마무리 장소에는 세족장과 함께 발판을 깔고 슬리퍼도 비치되어 있으며, 맨발황톳길 운영기간은 3월~11월까지이고 운영시간은 07:00~19:00까지이다.   율동공원은 특히, TV예능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 2025. 3. 26.
다양한 아열대 식물의 정원, 영흥수목원 온실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에 위치한 영흥수목원은 생활 속 고품격 정원문화를 창출하는 수목원으로 146,000㎡ 규모에 총 1,084종 42,734주 118,603본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는 수목원이다. 영흥수목원은 다양한 아열대 식물이 전시된 온실을 비롯하여 수연지ㆍ숙근초원ㆍ계절초화원ㆍ수국원ㆍ무궁화원ㆍ암석원ㆍ시크릿가든ㆍ그라스원ㆍ잔디마당 등 다양한 들풀 전시원이 마련되어 있다.  영흥수목원 온실은 다양한 아열대 식물로 만든 정원을 배경으로 세계 각국의 꽃들을 전시하고 있는 정원이며, 지상 2층에 연면적 1,886㎡ 규모로 조성되어 있다. 영흥수목원 온실의 여름철에는 특히 세계 각국의 특이한 수련과 연꽃을 전시한다며 하며, 요즘에는 부겐빌레아ㆍ토치진저ㆍ칼리안드라ㆍ주병야자 ㆍ 베고니아 등 다양한 아열대 식물들.. 2025. 3. 24.
자연과 함께 만들어 가는 고품격 정원, 영흥수목원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에 위치한 영흥수목원은 살아있는 자연을 시민참여와 함께 우리의 일상 속으로 만들어 가는 생활 속 고품격 정원문화를 창출하는 수목원이라고 한다. 영흥수목원은 수원시의 식물연구 전통을 계승하고 정원문화 유산을 홍보하며 정원 전문가 양성기관과 생활 속 정원문화센터, 그리고 지역 정원산업 육성과 활성화의 촉매를 통해 정원 도시로 향한 전진기지가 목표라고 한다.  영흥수목원은 2020년 8월에 공사를 착공하여 2023년 2월에 임시 개원을 거쳐 2023년 5월에 정식으로 개원하였으며, 영흥수목원과 영흥숲으로 나누어져 있다. 영흥수목원은 면적146,000㎡ 규모에 총 1,084종 42,724주 118,603본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시설로는 들풀전시원을 비롯하여 온실ㆍ정조효원ㆍ암석.. 2025. 3. 21.
고랑포구 역사를 AR과 VR체험으로 접목시킨 고랑포구 역사공원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고랑포리에 위치한 고랑포구 역사공원은 연천 고랑포구(高浪浦口)에 새겨진 역사와 지리적 특성을 생생하게 알리기 위하여 구현ㆍ재현한 역사공원이라고 한다. 고랑포구는 서해안을 따라 임진강을 거슬러 생선ㆍ새우젓 배ㆍ소금 배가 올라오기도 했으며, 1968년 북한의 김신조 일당 무장공비가 남방 한계선을 넘어 침투한 1.21 무장공비 침투로이기도 하다.  고랑포구 역사공원의 구성은 만남의 찰나(로비)ㆍ삶의 찰나(전시관)ㆍ역사와 문화의 찰나(체험관)ㆍ오감의 찰나(어린이 놀이터) 등 총 4개로 테마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만남의 찰나 공간은 역사공원의 로비이며, 1930년대의 고랑포구 전경 디오라마 전시 및 매표소로 구성되어 있다.   임진강 황포돛배는 조선시대 서민들이 한강 마포나루에서 고랑포나루.. 2025. 3. 13.
임진강 유역의 고구려 성(城), 연천 호로고루성(瓠蘆古壘城)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에 위치한 호로고루성(瓠蘆古壘城)은 임진강 북안(北岸)의 얕은 구릉(丘陵) 위에 축조된 성으로, 삼각형을 이루는 지형의 한쪽에만 지상성벽을 쌓아 구축하였다고 한다. 호로고루성 둘레 규모는 401m로 크지 않으며, 평야로 이어지는 동쪽에만 너비 40m 높이 10m 길이 90m 정도의 성벽을 쌓아 삼각형 모양의 성을 만들었으며, 남한지역에서는 얼마 되지 않는 고구려 유적이라고 한다.  호로고루성은 임진강 유역의 천혜의 요충지라 할 수 있으며, 고구려가 남진을 위해 육로로 내려오는 최단 코스로 남진의 교두보 역할을 하였다고 한다. 임진강 유역은 강가 절벽이 높이 10~15m 정도의 수직절벽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성벽을 쌓지 않고 강가 절벽의 구릉에 성을 축조하였으며, 남쪽과 북쪽은 .. 2025. 3. 12.
한탄강 화강암의 절경, 화적연(禾積淵)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자일리에 위치한 화적연(禾積淵)은 한탄강 강물이 휘돌아가며 생긴 깊은 연못과 수면으로 솟아오른 13m에 이르는 거대한 화강암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화적연은 푸른 강물과 짙은 색의 현무암 절벽과 밝은 색의 화강암 등이 조화를 이루며 비경을 만들고 있고, 못의 가장자리에서 상류 쪽으로는 강물에 실려 온 흰 모래가 백사장을 이루고 있고 그 아래로는 자갈밭으로 이어지는 여울이 있다.   강원도 철원에서 흘러 내려오는 한탄강은 포천시 영북면을 지나면서 S자 모양으로 굽이치며 흐르고 있으며, 곡류하는 가운데 하천의 마식작용으로 인해 바위를 깎으면서 화적연 바위가 만들어졌으며 그 바위 앞쪽으로 커다란 못이 형성되어 있다. 화적연 이름은 바위가 벼(禾)를 쌓은(積) 듯한 모습을 하고 있어 ‘볏가.. 2025. 3. 7.
다양한 두루미 조형물이 전시되어 있는 연천 두루미 테마파크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 선곡리에 위치한 두루미 테마파크는 평화를 상징하는 두루미가 들려주는 평화와 사랑이야기를 주제로 스토리텔링한 테마파크이며, 트래킹 코스 및 관광지로 각광받고 있다고 한다. 두루미 테마파크는 평화의 북ㆍ소원나무ㆍ두루미 조형물 등 다양한 시설물과 두루미 대체 서식지ㆍ어도생태원ㆍ생태습지 등의 환경영향 저감 시설들이 조성되어 있으며, 군남 홍수조절댐의 진입 관문에 자리하고 있다.  연천군 임진강 상류는 대표적인 겨울 철새이면서 세계적인 보호 조류인 두루미가 매년 겨울에 최대 1,000여 마리 이상이 월동하는 대표적인 곳으로 천혜의 자연생태지역이라고 한다. 두루미 월동지로 우리나라에는 10월 중순에 날아와 다음해 3월 중순까지 연천 임진강 유역과 철원평야에서 1,000여 마리가 겨울을 나는 것.. 2025.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