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복궁27

조선시대 궁궐 중 정궁(正宮), 경복궁(景福宮) 서울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한 경복궁(景福宮)은 조선시대 5대 궁궐 중 정궁(正宮)에 해당하며 북쪽에 자리하고 있어 북궐(北闕)이라고도 불렸으며, 다른 궁궐에 비해 전체모습이 정연한 배치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한다. 경복궁(景福宮)이라는 이름은 ‘왕조의 큰 복을 빈다.’는 의미로 5대 궁궐 중 가장 먼저 지어졌으나, 1405년(태종 5년)에 지어진 창덕궁(昌德宮)에 비해 임금이 거주한 기간은 길지 않았다고 한다. 경복궁은 여러 차례 화재 피해를 겪어 이에 대한 복구가 거듭되었으며, 임진왜란으로 인해 모든 건물이 불탄 후 270여 년간 폐허상태로 있다가 1865년(고종 2년)에 대규모 재건공사를 하기도 하였다. 현재 경복궁 내에는 근정전ㆍ경회루 등 국보(國寶)와 자경전ㆍ근정문 등 보물(寶物)을 비롯하여, 수정.. 2019. 1. 7.
정겨운 과거 시간으로의 여행 경복궁 주변에는 우리나라 60년대 서울의 생활모습을 재현한 거리가 조성되어 있다.. 1960년대 서울의 대표적 대중교통수단이었던 전차(電車)을 비롯하여, 다방, 포목점, 건재당 약방, 이발관, 만화가게 등 지금은 다소 낯설기만 한 거리풍경이지만 추억의 거리를 보는 듯 같아 정겹기 그지없다.... 특히, 이라든지, 영화 포스터는 정말 이채롭다.. 2009. 9. 28.
웅장하면서도 아름다운 경회루(慶會樓) 경회루(慶會樓)는 왕이 신하들과 규모가 큰 연회를 주재하거나 외국 사신을 접대하던 곳이다... 연못에서 뱃놀이를 즐기고 경회루에 올라 인왕산과 궁궐의 장엄한 경관을 감상하는 왕실 정원이다. 경회루는 정면 7칸, 측면 5칸의 중층이며 넓이 931㎡의 대규모 목조건물이며, 창건 당시에는 작은 누각이었던 경회루는 1412년(태종 12년)에 연못을 크게 확장하고 누각도 큰 규모로 새로 지었다. 임진왜란으로 불타 돌 기둥만 남은 것을 1867년에 재건하기도 하였다. 1층은 48개의 높은 돌기둥들만 세우고 비웠으며, 2층에 마루를 깔아 연회장으로 이용하였다..중앙으로 갈수록 높은 품계의 관료들이 앉았다고 한다. 경회루는 주역(周易)의 원리에 기초하여 지었다는 옛 기록이 있다. 중앙의 3칸은 천지인(天地人)을, 12.. 2009. 9.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