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양주42

세조(世祖)와 정희왕후(貞熹王后)의 능, 남양주 광릉(光陵)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주엽산 자락의 아름다운 자연 숲에 자리한 광릉(光陵)은 조선 세조(世祖)와 정희왕후(貞熹王后) 윤씨(尹氏)의 능이다. 광릉은 중앙에 정자각이 있고 그 뒤 좌우 언덕에 능이 있는 동원이강(同原異岡)형식으로 이러한 형식은 광릉이 최초라고 하며, 다른 능과는 달리 참도(參道)와 배위(拜位)가 없는 것도 광릉이 유일하다고 한다. 광릉은 세조의 유언에 따라 석실(石室) 대신 왕릉을 만드는 비용과 인원을 줄이는 회격(灰隔)으로 현궁(玄宮)을 만들고 병풍석을 생략하는 등 검소하게 조성하였다. 조선 전기의 왕실의례를 정리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는 조선 초 왕릉의 석실(石室) 조성과정이 기록되어 있으며, 조선 후기 장례예절을 정리한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에는 현재의 시멘트와 비슷한 회격(灰.. 2019. 10. 22.
선왕(세조)을 받든다는 의미를 지닌 남양주 봉선사(奉先寺)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에 위치한 봉선사(奉先寺)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이며 969년(고려 광종20년)에 법인국사(法印國師) 탄문(坦文)이 운악산 자락에 운악사(雲岳寺)라는 이름으로 처음 창건하였다고 한다. 지금의 봉선사로 이름을 바꾼 것은 세조(世祖)의 비 정희왕후(貞熹王后)가 1469년(예종 1년)에 세조의 능침을 운악산에 모시고, 세조의 명복을 비는 사찰로 삼아 89칸으로 중창하고 ‘선왕을 받든다.’는 뜻으로 봉선사(奉先寺)로 하였다고 한다. 큰법당 앞에 있는 3층 석탑은 1975년에 운허(耘虛)스님이 스리랑카에서 모셔온 부처님 사리 1과를 봉안한 탑이라 한다. 봉선사 대종(大鐘)은 1469년 정희왕후가 봉선사를 다시 지을 때 세조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주조한 것으로, 우리나라에 남.. 2019. 10. 21.
북한강 자전거 길을 연결하는 뱃나들이교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진중리에 위치한 물의 정원은 북한강의 풍경을 만끽할 수 있는 습지공원으로, 북한강변 산책길을 비롯하여 물향기길ㆍ물마음길ㆍ물빛길 등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다. 물의 정원은 과거에 배가 드나들었던 곳으로 ‘뱃나들이들’이라는 옛 지명이 있었다고 하며, 공원을 가로지르며 세워진 교량은 옛 지명을 본 떠 ‘뱃나들이교’라 이름지었다고 한다. 뱃나들이교는 남양주에서 가평을 거처 춘천까지 이르게 되는 북한강 자전거길을 연결하는 자전거 전용교로, 날렵하면서도 수려한 타원형의 외관이 보면 볼수록 아름답다. 북한강 자전거 길은 2012년에 개통한 구간으로, 남양주에서 가평을 거쳐 춘천까지 70.4km와 우회도로 28.1km를 합쳐 총 98.5km 구간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2019. 7. 13.
강변 산책로와 북한강의 정취를 즐길 수 있는 물의 정원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진중리에 위치한 물의 정원은 운길산역 건너편 북한강변의 들머리에 자리하고 있는 아름다운 습지공원이다. 물의 정원은 자전거도로ㆍ강변 산책길ㆍ물향기길ㆍ물마음길ㆍ물빛길 등 산책로와 전망 데크 등 휴식 공간이 곳곳에 설치되어 있어 북한강의 풍경을 만끽할 수 있다. 물의 정원은 북한강 물에서 형성된 정원으로, 과거에는 배가 드나들었던 곳이라고 하며 ‘뱃나들이들’ 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였다고 한다. 공원 곳곳에는 지난 6월부터 화려한 개양귀비 꽃이 흐드러지게 피었을 뿐 아니라 토끼풀ㆍ노루오줌 등 다양한 꽃들을 만날 수 있으며, 연꽃밭에는 아직 연꽃이 피지 않았지만 습지 안에는 화사한 수련이 하나둘 피기 시작하였다. 2019. 7. 12.
시원한 인공폭포와 물놀이장이 있는 피아노폭포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금남리에 위치한 피아노폭포는 화도푸른물센터에서 정화된 물을 방류하는 하수처리수를 활용한 세계 최초ㆍ최고 높이의 인공폭포라 한다. 비록 인공폭포이기는 하지만 산꼭대기로부터 우거진 나무 사이로 새하얀 물줄기가 흘러내리는 폭포수는 자연스러우면서도 시원스러운 풍경을 연출하며 자연의 푸른 에너지를 보는 듯하다. 피아노폭포의 규모는 총 면적 1,669.6㎡에 사면 길이(L) 91.7m 수직 높이(H) 61.5m이며, 유리섬유강화 콘크리트 인공 암(巖)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폭포수 앞에는 그랜드피아노 모양을 본떠 만든 이색적인 공중화장실 건물이 있는데, 이 건물 이름을 본떠 폭포 이름을 피아노폭포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인공폭포 앞에 있는 피아노화장실은 엘리베이터가 있는 지상 2층의 건물로, .. 2019. 7. 11.
조선 개국공신 구정(龜亭) 남재(南在) 묘역(墓域)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의 별내역사문화공원 내에 위치한 구정(龜亭) 남재(南在) 묘역(墓域)은 조선의 개국공신인 충경공(忠景公) 남재의 묘가 있는 곳으로, 묘 아래에는 사당인 충경사(忠景祠)가 자리하고 있다. 구정(龜亭) 남재(南在)는 1371년(고려 공민왕 20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여 관직에 올라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할 때 아우 남은(南誾)과 함께 이성계를 도와 회국공신에 봉해졌으며, 조선이 개국되자 개국공신 1등으로 올랐다. 남재(南在)는 1396년에 도병마사가 되어 대마도 정벌에 참여하여 공을 세우기도 하였으며, 방원(태종)이 왕위에 오르는 데에도 큰 공을 세웠다고 한다. 그는 성품이 활달하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산술(算術)에도 능통해 ‘남산(南算)’이라 일컬었으며, 저서로는 ‘구정유고(龜亭.. 2019.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