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서울

서울성곽 4소문(小門) 중 옛 모습을 간직한 창의문(彰義門)

by kangdante 2021. 9. 9.
728x90

 

서울 종로구 청운동에 자리한 창의문(彰義門)은 서울 성곽의 4소문(小門) 중 하나로 일명 자하문(紫霞門)이라고도 부르며,

1396(태조 5)에 도성 8() 중 하나로 창건되었다.

 

창의문은 정면 3칸 측변 2칸의 우진각 지붕건물이며

4소문 중에서 유일하게 조선시대에 지어진 전형적인 성곽 문루(門樓)의 모습으로 완전히 남아있는 성문(城門)으로

보물 제1881호로 지정되어 있다.

 

 

조선시대 서울성곽에는 동서남북에 4대문을 두고 그 사이에 4소문을 두었는데,

창의문은 서대문과 북대문 사이에 둔 북소문(北小門)으로 인왕산과 백악산이 만나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창의문(彰義門)올바른 것을 드러나게 하다라는 뜻이 있으며,

북소문(北小門)으로 불리지는 않았으며 이곳 계곡의 이름을 빌어 자하문(紫霞門)이라는 별칭으로 불려왔다.

 

728x90

 

 

성문의 무지개 모양 맨 위에는 봉황 한 쌍이 아름답게 새겨져 있는데,

속설에 의하면 이는 닭 모양을 그린 것으로 창의문 밖 지형이 지네처럼 생겼으므로 지네의 천적인 닭을 그려 놓은 것이라고도 한다.

 

 

창의문은 한 때 숙정문(肅靖門)과 더불어 경복궁의 양팔과 같으므로 지맥을 상하게 해서는 안된다는 건의를 받아

소나무를 심고 통행을 금지하기도 하였다.

 

그 후 군인들의 출입통로로 이용할 수 있게 하였고

1617(광해군 9)에는 궁궐보수작업 때 석재의 운반을 위하여 열어주었다는 조선왕조실록 기록도 있다.

 

 

창의문은 1623년 인조반정 때 반정군들이 이 문을 부수고 창덕궁에 들어가 광해군을 몰아내는데 성공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문루(門樓)가 소실된 것을 1741(영조 17)에 복원하였다.

 

영조는 인조반정을 기념하기 위해 창의문 문루 내부에 인조반정 공신들의 이름을 판각(板刻)하여 걸어 놓기도 하였으며,

풍수지리설에 따라 한때는 문루에 나무로 만든 큰 닭을 걸어놓기도 하였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