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8/0630

선유도(仙遊島)에 핀 화려한 수련(睡蓮)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에 위치한 한강의 작은 섬 선유도(仙遊島)에서 한 여름에나 볼 수 있는 화려한 수련을 만나니 올해는 예년과는 달리 여름이 빨리 왔음을 실감나게 한다. 물 속에 피는 연꽃이라 하여 흔히 한자어로 수련(水蓮)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밤에 꽃잎이 접힌다 하여 잠자는 연꽃(睡蓮)이라 한다고 한다. 수련(睡蓮)은 특히, 흙탕물을 정화시키며 시든 꽃은 물속으로 모습을 감추고 열매도 물속에서 맺어 추한 모습을 결코 보이지 않는다고 하니 그 황홀한 아름다움에 절로 감탄하게 된다. 수련은 또한 연꽃과는 다른 꽃이며 연꽃과 구별되는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에 하나는 연꽃은 연근이 생기지만 수련은 연근이 생기지 않는다는 점이며, 가을이 되어 기온이 내려가면 연꽃은 영양분을 뿌리에 저장하여 동면할 준비를 하지.. 2018. 6. 6.
선유도(仙遊島) 온실에서 만난 꽃향기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에 위치한 한강의 작은 섬 선유도(仙遊島)에 있는 온실(Glasshouse)은 선유도의 다양한 식물들을 번식시키고 기르는 중요한 구실을 담당한다고 한다. 이곳 온실에서는 열대지방의 수생식물들과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상록식물들을 만날 수 있다. 부겐빌레아ㆍ꽃기린ㆍ제라늄ㆍ사랑초ㆍ자주괭이밥ㆍ자주닭개비 등 식물원에서 자주 접하는 익숙한 꽃들도 있었지만 안내판이 없어 꽃 이름을 알 수 없는 꽃도 있어 아쉽기도 하였으며, 특히 탐스럽게 익은 유월의 청포도는 유난히 시선을 사로잡는다. 온실내의 수질정화 수로(水路)로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수로는 옛 침전지의 것을 재활용한 것이라 하며, 겨울철에도 수생식물들을 이용한 수질정화(水質淨化) 과정을 볼 수 있게 해 준다고 한다. 부겐빌레아(Bougainvil.. 2018. 6. 5.
한강의 선유도(仙遊島)를 연결하는 선유교(仙遊橋) 서울 영등포구 양화동에 위치한 선유교(仙遊橋)는 양화한강공원과 한강의 작은 섬 선유도(仙遊島) 공원을 연결해주는 보행전용 아치형 무지개다리이다. 요즘 전국 관광명소에 출렁다리가 건설되고 있지만 선유교 역시 흔들리게 설계되었다고는 하나 출렁다리만큼 출렁거리지는 않는다. 선유교 중간에 위치하여 한강 양쪽으로 양화대교와 성산대교를 바라볼 수 있으며, 강바람과 함께 탁 트인 시야로 마음까지 상쾌해진다. 선유교 전체 길이 469m 중 아치형 다리는 120m라 한다. 선유교에서 양쪽으로 바라보이는 성산대교와 양화대교 2018. 6. 4.
암벽 절벽에 세워진 사성암(四聖庵) 전남 구례군 문척면 죽마리의 오산(鼇山)의 정상에 위치한 사성암(四聖庵)은 544년(백제 성왕 22년)에 연기조사(緣起祖師)가 오산사(鼇山寺)로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 뒤 신라의 원효(元曉)와 도선(道詵), 고려의 진각(眞覺)과 혜심(慧諶) 등 4명의 고승(高僧)이 이곳에서 수도하였다 하여 이들 스님을 기려 사성암(四聖庵)이라 고쳐 불렀다고 한다. 사성암은 오산 정상의 깎아지른 암벽을 활용하여 지은 사찰로, 사성암 일원은 굽이치며 흐르는 섬진강과 구례읍 등 7개면과 지리산 연봉들을 한 곳에서 모두 볼 수 있는 우수한 경관을 자랑하며 정상의 사찰 건물과 바위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2018. 6. 3.
오작교(烏鵲橋)가 있는 광한루원(廣寒樓苑) 전북 남원시 천거동에 위치한 광한루원(廣寒樓苑)은 성춘향과 이몽룡이 만났다는 광한루가 있는 정원을 통칭하여 부르는 누원(樓院)으로, 호수와 오작교ㆍ삼신산ㆍ춘향사ㆍ충혼각ㆍ남원국악원ㆍ수중 누각인 완월정 등이 있다. 광한루(廣寒樓)는 황희(黃喜) 정승이 남원에 유배되었을 때 지은 것으로, 처음엔 광통루(廣通樓)라 불렀으며 광한루(廣寒樓)라는 이름은 1434년(세종16년)에 정인지(鄭麟趾)가 누각에 올라 아름다운 경치에 탄복하여 옥황상제가 사는 궁전 광한청허부(廣寒淸虛府)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광한루 앞에는 넓은 인공 연못과 성춘향과 이몽룡의 사랑이 어려 있는 오작교(烏鵲橋)가 있으며, 싱그럽고 아름다운 주변 경치와 함께 애틋한 사랑이 전해진다. 2018. 6. 2.
사랑채만 남아있는 박세당(朴世堂) 고택(古宅)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에 위치한 서계(西溪 ) 박세당(朴世堂)의 고택(古宅) 사랑채는 동쪽에 수락산을 뒷산으로 하고 서쪽 멀리에는 도봉산을 바라보고 자리 잡은 집으로, 벼슬에서 물러난 후 이곳에서 후학을 양성하던 곳이라 한다. 조선 후기 실학자인 박세당의 원래 가옥은 안채ㆍ안사랑ㆍ바깥사랑ㆍ행랑채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6.25전쟁 때 대부분 타버리고, 현재는 정면 5칸 측면 2칸 반의 누마루가 덧붙여져 있는 ‘乙자’형의 사랑채만 남아있다 사랑채 뒷쪽의 영진각(影眞閣)에는 박세당의 아버지인 하석(霞石) 박정(朴炡)과 박세당의 초상화 2점이 모셔져 있으며, 가옥 뒷쪽에 있는 묘역에는 부인 의령 남씨의 산소에 박세당 선생이 같이 묻힌 후, 둘째부인 정씨도 함께 묻힌 세 분의 합장묘가 있다. 2018.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