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천25

연천 재인폭포 가는 길목, 황화코스모스길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부곡리에 위치한 재인폭포(才人瀑布)는 현무암 주상절리 절벽으로 쏟아지는 길이 18m의 장대한 폭포이며 한탄강의 절경 중 하나이다. 제인폭포 입구에서 폭포로 들어가는 길은 한탄강 줄기를 따라가는 길과 전기차를 타고 가는 두 가지 코스가 있으며, 전기차 길목에는 노란 황화코스모스가 흐드러지게 핀 대단위 꽃밭이 조성되어 있다.   황화코스모스는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며 멕시코가 원산이며, 공원ㆍ정원 등에 관상용으로 많이 심으나 야생화로 절로 자라기도 한다. 개화 시기는 여름부터 가을까지 여러 개의 두화가 가지 끝에 1개씩 4~6cm 크기의 황색ㆍ주황색ㆍ붉은색 꽃이 두상화(頭狀花) 형태로 핀다.    황화코스모스의 크기는 40~100cm 정도로 직립하여 자라며 잎은 마주나며 깃 모양으.. 2024. 10. 31.
한탄강의 주상절리 폭포, 재인폭포(才人瀑布)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부곡리에 위치한 재인폭포(才人瀑布)는 한탄강의 가장 아름다운 지형 중 하나로, 북쪽에 있는 보개산 지장봉에서 흘러내려 온 물이 현무암 주상절리 절벽으로 쏟아지는 길이 18m의 장대한 폭포이다. 폭포 주위는 길이 100m 너비 30m 깊이 20m 정도로 큰 Y자형 협곡을 이루며, 검은빛을 띠는 화강암ㆍ현무암 등이 계곡과 조화를 이루며 장관을 연출한다.  폭포 위에는 수려한 계곡과 폭포를 조망할 수 있는 출렁다리가 있으며, 출렁다리를 건너 계단을 따라 폭포 근처까지 내려갈 수 있으나 폭포 주변까지는 갈 수 없으며, 폭포 위에는 용이 하늘로 올라갔다는 용소(龍沼)가 있으나 군작전지역으로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고 한다. 재인폭포(才人瀑布) 이름은 옛날에 줄타기 재인(광대)의 처를 탐하고자 포.. 2024. 10. 30.
울긋불긋 댑싸리와 가을꽃이 가득한 임진강 댑싸리공원 경기도 연천군 중면 삼곶리에 위치한 임진강 댑싸리공원은 삼곶리 돌무지무덤 앞 약 3만㎡ 규모에 댑싸리 2만여 그루를 심어 공원으로 조성한 곳이라고 한다. 댑싸리공원은 임진강변에 주민들이 대단위로 조성한 공원으로 탁 트인 전망으로 주변풍광 또한 아름다우며, 댑싸리를 비롯하여 억새ㆍ황화코스모스ㆍ이스타국화ㆍ백일홍ㆍ데이지ㆍ칸나 등 다양한 가을꽃을 만날 수 있다.  댑싸리는 명아주과의 한해살이 초본으로 뜰에 심던 것이 산과 들로 퍼져 나가 자란 것이라 하며, 싸리비를 만들지만 싸리나무는 아니기 때문에 '댑싸리' 또는 '대싸리'라고도 한다. 댑싸리는 8월 말부터 불긋불긋해지고 9월 초에 분홍색ㆍ빨간색ㆍ주황색으로 물들어 이색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며 겸허ㆍ청초한 미인 등의 꽃말을 가지고 있다.   댑싸리 꽃은 7~8월에.. 2024. 10. 21.
임진강 댑싸리공원의 백일홍과 박각시 경기도 연천군 중면 삼곶리에 위치한 임진강 댑싸리공원은 약 3만㎡ 규모에 댑싸리 2만여 그루를 심어 공원으로 조성한 곳이라고 한다. 댑싸리 공원은 임진강변에 대단위 꽃밭을 조성하여 탁 트인 주변풍경과 함께 댑싸리를 비롯하여 백일홍ㆍ억새ㆍ황화코스모스ㆍ국화ㆍ천일홍ㆍ데이지ㆍ칸나 등 다양한 꽃들이 식재되어 있다.  박각시는 나비목 박각시과에 속하는 나방으로 굵고 짧은 몸에 앞날개는 길고 좁으며 뒷날개는 짧으며, 꽃의 꿀을 빨아먹을 수 있도록 긴 주둥이가 발달하였으며 일부 종의 경우 매우 길다 박각시는 꽃들 사이로 끊임없는 날개 짓을 하며, 종마다 차이는 있지만 곤충 중에 비행속도가 상당한 편으로 성충의 최대 비행속도가 초속 5m가 넘는 것도 있다고 하며. 또한 벌새처럼 날개 짓을 하면서 공중에 가만히 떠있을 수.. 2024. 10. 18.
은빛 억새와 함께 즐기는 임진강 댑싸리 공원 경기도 연천군 중면 삼곶리에 위치한 임진강 댑싸리 공원은 삼곶리 돌무지무덤 앞 약 3만㎡ 규모에 댑싸리 2만여 그루를 심어 공원으로 조성한 곳이라고 한다. 댑싸리 공원에는 댑싸리를 비롯하여 억새ㆍ황화코스모스ㆍ국화ㆍ백일홍ㆍ천일홍ㆍ마리골드ㆍ일일초ㆍ칸나 등 다양한 꽃들을 식재하였으나 10월 하순에 늦게 방문한 관계로 댑싸리와 억새를 제외하고 다른 꽃들은 대부분 말라 죽은 상태라 아쉽기도 하였다. 댑싸리 공원은 임진강변에 대단위로 조성하여 탁 트인 전망과 주변 풍광 또한 아름다우며, 삼곶리 돌무지무덤이라는 유적지도 살펴 볼 수 있어 의미가 있다 할 수 있다. 댑싸리공원 입장은 무료이며 공원 주변에 대형 무료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으며, 독특한 것은 공원에 빨강ㆍ노랑 등 다양한 색깔의 우산이 비치되어 무료로 이용할.. 2022. 11. 3.
두루미테마파크와 군남 홍수 조절댐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 선곡리에 위치한 두루미테마파크는 군남 홍수 조절댐의 진입 관문에 자리하고 있으며, 평화를 상징하는 두루미가 들려주는 평화와 사랑이야기를 주제로 스토리텔링하였다고 한다. 두루미테마파크는 평화의 북ㆍ소원나무ㆍ두루미 조형물 등 다양한 시설물과 두루미 대체 서식지ㆍ어도생태원ㆍ생태습지 등의 환경영향 저감 시설들이 조성되어 있는 곳으로 트래킹 코스 및 관광지로 각광받고 있다. 연천군 임진강 상류는 대표적인 겨울 철새이면서 세계적인 보호 조류인 두루미가 매년 겨울에 최대 1,000여 마리 이상이 월동하는 대표적인 곳으로 천혜의 자연생태지역이라고 한다. 두루미는 세계에 2,900여 마리만 서식하는 멸종위기 1급의 세계적인 보호조이며, 번식지는 습기가 많은 냉온지대로 중국 동북부와 중ㆍ러 접경지역인.. 2022. 11. 2.
[한장의 사진] 재인폭포(才人瀑布) 연일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여름의 절정인 요즘에는 해수욕장을 찾게 되거나, 또는 나무숲아래 계곡이나 시원하게 쏟아지는 폭포수를 보며 더위를 식힐 수 있다.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고문리에 위치한 재인폭포(才人瀑布)는 보개산 지장봉에서 흘러 내려 온 물이 현무암 주상절리 절벽으로 쏟아지는 길이 18m의 장대한 폭포로, 검은 빛을 띠는 화강암ㆍ현무암 등이 폭포와 조화를 이루며 한탄강의 절경을 연출한다. 2022. 7. 31.
고랑포구의 역사와 지리적 특성을 재현한 고랑포구 역사공원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고랑포리에 위치한 고랑포구 역사공원은 고랑포구(高浪浦口)에 새겨진 역사와 지리적 특성을 생생하게 알리기 위하여 구현ㆍ재현한 역사공원이라 한다. 고랑포구(高浪浦口)는 삼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임진강을 통해 물자교류의 중심 역할을 하던 나루터였으며, 1930년대에는 화신백화점의 분점이 있을 정도로 번성하였으나 6.25전쟁과 남북분단으로 쇠락하였다. 고랑포구의 옛 사진에 담긴 모습을 보면 지금과는 달리 임진강변에 집이 가득 늘어선 풍경이었으며, 개성과 서울을 잇는 빠른 길이 연결된 포구로 주변은 늘 북적거렸다고 한다. 고랑포구는 서해안을 따라 임진강을 거슬러 생선ㆍ새우젓 배ㆍ소금 배가 올라오기도 했으며, 1968년 북한의 김신조 일당 무장공비가 남방 한계선을 넘어 침투한 1.21 무장.. 2022. 2. 7.
연천 호로고루성(瓠蘆古壘城)의 겨울풍경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에 위치한 호로고루성(瓠蘆古壘城)은 삼각형을 이루는 지형의 한쪽에만 지상성벽을 쌓아 구축하였던 성으로, 남한지역에서는 얼마 되지 않는 고구려 유적이라고 한다. 호로고루성은 임진강 유역의 천혜의 요충지라 할 수 있으며, 고구려가 남진을 위해 육로로 내려오는 최단 코스로 남진의 교두보 역할을 하였다고 한다. 호로고루성은 삼각형을 이루는 지형의 한쪽에만 지상성벽을 쌓아 구축하였던 성으로, 임진강 북안(北岸)의 얕은 구릉(丘陵) 위에 축조된 성이다. 호로고루성 둘레 규모는 401m로 크지 않으며, 평야로 이어지는 동쪽에만 너비 40m 높이 10m 길이 90m 정도의 성벽을 쌓아 삼각형 모양의 성을 만들었다. 임진강 유역은 강가 절벽이 높이 10~15m 정도의 수직절벽으로 형성되어 있으.. 2022. 1. 28.
구석기시대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전곡선사박물관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에 위치한 전곡선사박물관은 원시 생명체의 아름다운 곡선을 모티브로 건축된 박물관으로, 원시성과 현대성이 공존하는 최첨단 유적박물관이라고 한다. 전곡선사박물관은 상설전시실과 기획전시실로 구분된 2개의 전시실과 고고학 체험실ㆍ뮤지엄실ㆍ다목적 강당ㆍ학예연구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전곡 선사박물관은 전곡리 구석기유적지에서 출토된 아슐리안형 주먹도끼 등의 구석기 유물들을 중심으로, 인류의 진화와 구석기시대 문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설립된 유적 박물관이다. 상설전시관은 인류의 위대한 행진을 주제로, 인류의 진화과정을 관찰할 수 있는 매머드(Mammoth) 등 복원 조형물과 다양한 모형들이 전시되어 시선을 사로잡고 있다. 매머드(Mammoth)는 초원지대에 살았던 신생대 4.. 2022. 1. 21.
구석기시대로의 여행, 연천 전곡리유적(漣川 全谷里遺蹟)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에 위치한 연천 전곡리유적(漣川 全谷里遺蹟)은 한탄강변에 구석기시대의 주먹도끼ㆍ긁개ㆍ석핵 등이 출토된 생활유적으로 1979년에 사적 제268호로 지정되었다. 전곡리유적은 799,022㎡ 규모에 토층전시관을 비롯하여 선사체험마을ㆍ구석기생활상 복원존ㆍ구석기체험숲ㆍ구석기 산책로ㆍ생각 쉼터ㆍ전곡선사박물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석기시대의 유적이 한탄강ㆍ임진강 줄기를 따라 많이 발견되고 있으며, 그 가운데 전곡리 유적이 가장 규모가 크고 넓은 지역에 걸쳐 있다고 한다. 연천 전곡리유적의 입장료와 주차장 이용은 무료이며, 이용시간은 09:00~17:00(하절기는 18:00)까지이고 매주 월요일ㆍ1월 1일ㆍ설날과 추석 당일은 휴관한다. 전곡리유적에서 발견된 아슐리안형 석기는 ‘동아시아는 .. 2022. 1. 19.
연천 호로고루성(瓠蘆古壘城)과 홍보관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에 위치한 호로고루성(瓠蘆古壘城)은 삼각형을 이루는 지형의 한쪽에만 지상성벽을 쌓아 구축하였던 성으로, 임진강 북안(北岸)의 얕은 구릉(丘陵) 위에 축조된 고구려의 성이라고 한다. 호로고루성은 고구려가 남진을 하기 위해 육로로 내려오는 최단 코스로 남진의 교두보 역할을 하였던 성으로, 남한지역에서는 얼마 되지 않는 고구려 유적이라고 한다. 호로고루성은 수차례의 발굴조사 결과 성 내부에서 건물지(建物址)와 수혈유구(竪穴遺構)ㆍ대규모 석축집수지ㆍ우물ㆍ목책(木柵) 등 다양한 유구와 연화문와당ㆍ치미ㆍ호자ㆍ벼루 외에도 많은 양의 고구려 토기와 기와가 출토되었다고 한다. 호로고루에서는 남한에서 많은 고구려 기와가 발견되었다고 하며, 출토된 기와 중에는 지붕을 화려하게 꾸미는 수막새ㆍ치미(.. 2021.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