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실14

건조 기후대 식물과의 만남, 일월수목원 전시온실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천천동에 위치한 일월수목원은 ‘더 살아있는 자연을, 시민의 일상으로’라는 미션 및 비전을 삼고 있으며, 총 101,500㎡ 규모에 총 2,106종 52,551주 429,618본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일월수목원은 자연과 사람을 연결하는 역할과 시민들의 여가선양을 위해 설립한 공원이며, 2020년에 착공하여 지난 2023년 5월에 정식 개원한 수목원이라고 한다.  일월수목원 전시온실은 지중해 혹은 사막 등 강수량이 적은 건조기후대를 주제로 한 이색적인 공간이며, 최고 25m 연면적 2,902㎡ 규모에 물병나무ㆍ올리브나무ㆍ사막장미 등 300여종의 식물들을 관찰할 수 있다. 전시온실은 건조기후를 지중해ㆍ남아공ㆍ호주ㆍ뉴질랜드 등 전 세계 대표적인 건조기후 지역의 흥미로운 자연생태환.. 2025. 4. 8.
자연과 함께 만들어 가는 고품격 정원, 영흥수목원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에 위치한 영흥수목원은 살아있는 자연을 시민참여와 함께 우리의 일상 속으로 만들어 가는 생활 속 고품격 정원문화를 창출하는 수목원이라고 한다. 영흥수목원은 수원시의 식물연구 전통을 계승하고 정원문화 유산을 홍보하며 정원 전문가 양성기관과 생활 속 정원문화센터, 그리고 지역 정원산업 육성과 활성화의 촉매를 통해 정원 도시로 향한 전진기지가 목표라고 한다.  영흥수목원은 2020년 8월에 공사를 착공하여 2023년 2월에 임시 개원을 거쳐 2023년 5월에 정식으로 개원하였으며, 영흥수목원과 영흥숲으로 나누어져 있다. 영흥수목원은 면적146,000㎡ 규모에 총 1,084종 42,724주 118,603본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시설로는 들풀전시원을 비롯하여 온실ㆍ정조효원ㆍ암석.. 2025. 3. 21.
상동호수공원의 부천호수식물원 수피아 온실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동에 위치한 상동호수공원 내에 자리한 부천호수식물원 수피아는 연면적 2,969㎡ 규모의 온실이며, 열대 및 아열대 지방의 특별한 수종 430여종의 28,000본의 식물을 만날 수 있다. 부천호수식물원 수피아 온실은 관엽원ㆍ수생원ㆍ야자원ㆍ향기원ㆍ고사리원ㆍ바오밥원ㆍ화목원ㆍ유실수원ㆍ식충식물원 등 9개 테마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칼리안드라(Calliandra)는 콩과에 속하는 상록활엽 관목으로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열대지방 또는 건조 산림지대에서 잘 자라는 나무로 보통 1~5m정도 자란다. 꽃은 봄부터 여름까지 길고 머리 같은 수많은 수술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형꽃차례로 달리는 붉은색 꽃송이는 꽃부리 밖으로 나온 부드러운 수술들이 모인 것이라고 한다.   칼리안드라의 어원은 아름다.. 2024. 8. 9.
우리꽃식물원에서 만나는 화사한 꽃향기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매곡리에 위치한 우리꽃식물원은 유리온실을 비롯하여 식물덩굴원ㆍ약용원ㆍ석림원ㆍ야외 화단 등 128,213㎡의 규모에 1,100여종의 식물들이 살아 숨쉬는 식물원이라 한다. 우리꽃식물원의 사계절관 유리온실에는 백두산ㆍ한라산ㆍ지리산ㆍ설악산ㆍ태백산 등 5개의 산을 미니어처로 만들어 높이별로 식물을 관찰할 수 있으며 총 580여 종을 식재하였다고 한다. 명자나무꽃은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산당화(山棠花)라고도 하며, 해가 잘 드는 양지 바른 곳을 좋아하고 건조한 곳에서는 생장이 좋지 않다고 한다. 명자나무꽃은 백색ㆍ분홍색ㆍ빨강색의 3가지 색이 조화를 이루고, 4월에서 5월까지 지름 2.5~3.5㎝로 계속 피고 짧은 가지에 1개 또는 여러 개가 달린다. 명자나무꽃 잎은 5개이고 꽃받침.. 2023. 3. 8.
선유도공원 온실의 상큼한 꽃향기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에 위치한 선유도(仙遊島)는 한강에 있는 4개의 작은 섬 중의 하나로, 2002년에 휴식과 예술이 공존하는 자연친화적 선유도공원으로 조성하였다. 선유도 온실은 선유도의 다양한 식물들을 번식시키고 기르는 중요한 구실을 담당한다고 하며, 수질정화 수로(水路)로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수로는 옛 침전지의 것을 재활용한 것이라 한다. 친환경생태공원으로 재생된 선유도공원 온실에는 자운두견ㆍ순버기ㆍ란타나ㆍ부겐빌리아ㆍ케인베고니아 등 다양하고 화사한 꽃들이 상큼한 꽃향기와 함께 봄을 기다리며 활짝 피어 있다. 자운두견은 쥐꼬리망초과 관목으로 말레이시아ㆍ아프리카ㆍ브라질이 원산지이고, 보라색 꽃이 늦은 봄에서 이른 여름까지 핀다. 자운두견이라는 이름은 꽃이 진달래꽃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며,.. 2023. 2. 20.
서울식물원 온실, 지중해관 서울 강서구 마곡동에 위치한 서울식물원은 서울 최초의 도시형 식물원으로, 사람과 야생 동식물이 공존하는 환경을 확보하는 것이 설립목적이라고 한다. 서울식물원은 녹색도시 서울의 미래상을 제시하는 공간으로 공원과 식물원을 결합한 보타닉공원(Botanic Park)이며, 식물원과 공원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공원 속 식물원이라고 한다. 서울식물원은 온실을 비롯하여 넓은 잔디마당을 만날 수 있는 열린 숲, 산책길과 관람데크가 조성된 호수원, 생물종 다양성이 실현되는 습지원, 그리고 다채로운 계절을 느낄 수 있는 주제원 등으로 꾸며져 있다. 서울식물원 온실은 세계 유일의 오목한 접시 모양의 온실로 열대관과 지중해관으로 구분하여 꾸며 놓았으며, 7,602㎡ 면적에 직경 100m 원형에 높이 최대 25m 규모이다. 서울.. 2022. 9. 13.
부천식물원의 하와이무궁화와 꽃기린 경기도 부천시 춘의동에 위치한 부천식물원은 온갖 희귀한 식물들을 만날 수 있는 식물들의 천국이며, 재미있는 식물관ㆍ수생식물관ㆍ자생식물관ㆍ아열대식물관ㆍ다육식물관 등 5개의 테마온실로 구성되어 있다. 식물원 입구의 중앙정원에는 거대한 수목이 제일 먼저 반기며, 온실 내에는 하와이무궁화ㆍ꽃기린ㆍ주머니난 등 300여 종의 식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하와이무궁화(Hawaiian Hibiscus)는 아욱과에 속한 상록 관목으로 따뜻한 온대지방과 열대지방에서 자라며, 우리나라 꽃 무궁화와 형제뻘 되는 식물이다. 히비스커스(Hibiscus)는 고대 이집트 달의 여신 ‘히비스(hibis)’와 ‘닮았다(isco)’의 합성어로 ‘아름다운 여신을 닮은 꽃’이라는 어원을 갖고 있다고 한다. 하와이무궁화는 붉은색의 화려한 종 모양.. 2022. 1. 12.
한택식물원 중남미 온실의 다양한 선인장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한택로에 위치한 한택식물원은 다양한 야외 테마정원과 더불어 중남미 온실ㆍ호주 온실ㆍ허브&식충식물 온실 등이 있는 국내 최대의 종합식물원이라고 한다. 중남미 온실에는 멕시코에서 칠레에 이르는 중남미 식물과 안데스 산맥의 식물, 그리고 사막지대의 선인장 등 400여 종의 식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선인장(仙人掌)은 미국 남부지역과 멕시코ㆍ칠레ㆍ아르헨티나 등의 남미국가 등에서 자생하며, 사막에서 뿐만 아니라 안개가 많이 발생하는 멕시코 고원이나 안데스 산맥, 그리고 바닷가 근처에서 자라기도 한다. 선인장은 전 세계적으로 2,000여 종이 넘으며 나뭇잎선인장아과ㆍ부채선인장아과ㆍ기둥선인장아과 등 크게 3아과로 나누어진다고 한다. 선인장은 강한 생명력의 상징이기도 하며 건조한 지역에서도 .. 2021. 12. 24.
더그림 식물체험관 온실의 꽃향기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에 위치한 '더그림'은 유럽식 건물과 아름다운 정원이 함께 어우러진 그림 같은 정원이며, 식물체험관 온실에서 화사한 꽃들을 만나는 것은 덤이다. 식물체험관은 아담하게 꾸며진 작은 규모의 온실이지만, 칼랑코에ㆍ시클라멘ㆍ서양봉선화 등 의외로 많은 식물들이 화사한 꽃을 피우고 있다. 칼랑코에(Kalanchoe)는 돌나물과에 속하는 열대의 다육질의 꽃식물로서 마다가스카르 섬이 원산지이며, 남아프리카·열대지방에 100여 종이 분포한다고 한다. 칼랑코에 꽃은 홑꽃과 겹꽃이 있으며 꽃모양도 다양하고 꽃 색깔도 보라색ㆍ분홍색ㆍ오렌지색ㆍ노랑색ㆍ흰색 등 여러 가지이며, 대부분이 관목 또는 다년생 식물이나 몇몇은 일년생 또는 이년생이라 한다. 시클라멘 서양봉선화 2020. 2. 28.
서울식물원 온실 지중해관 서울시 강서구 마곡동에 위치한 서울식물원의 온실에는 열대관과 지중해관으로 나누어 세계 12개 도시의 다양한 식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지중해 지역은 여름에는 기온이 높고 건조하나 일조량이 풍부하고 겨울에는 비가 많이 오는 온화한 지역으로, 지중해관에는 바르셀로나(스페인)ㆍ샌프란시스코(미국)ㆍ케이프타운(남아프리카공화국) 등 8개국의 다양한 식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우창꽃(Ruellia)은 쥐꼬라망초과의 여러해살이며 멕시칸 페튜니아(Mexican petunia)ㆍ목나팔로도 불리며,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와 남미라고 한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꽃을 피우는 다년생 상록수이며 꽃은 자주 피지만 하루 만에 피었다 진다고 하며, 번식은 종자 번식 또는 삽목(꺽꽂이)으로 하지만 씨앗 발아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성장도 늦어 삽.. 2019. 9. 10.
서울식물원 온실 열대관 서울시 강서구 마곡동에 위치한 서울식물원 온실은 열대관과 지중해관으로 나누어 세계 12개 도시의 식물과 관련 문화를 전시해놓은 공간으로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온실이라 한다. 온실이 있는 식물문화센터 건물은 아파트 8층(최고 28m) 높이에 직경이 100m이고 7,555㎡의 거대한 규모로, 오목한 그릇 형태의 독특한 모양을 지니고 있어 건물 모양도 매우 이채롭고 아름답다. 온실 내에는 현재 3,100종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수집ㆍ교류ㆍ연구ㆍ증식 등을 통해 약 8000여종까지 종류를 늘려간다는 계획이라고 한다. 서울식물원 열대관에는 하노이(베트남), 자카르타(인도네시아), 상파울로(브라질), 보고타(콜럼비아) 등 4개 도시의 식물을 전시해 놓았으며, 온실 가운데 우뚝 솟아있는 인도 보리수나무는 나.. 2019. 9. 9.
가평 이화원(二和園)의 애니시다와 뱀딸기꽃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대곡리에 위치한 이화원(二和園)은 나비생태관과 더불어 아열대 식물원과 남부식물원으로 구분되어 있는 식물원으로, 다양한 나비뿐만 아니라 애니시다와 뱀딸기꽃 등 아름다운 꽃들을 만날 수 있다. 애니시다는 은은한 레몬향과 허브향이 나는 식물로 양골담초 또는 금작화(金雀花)로도 불리며, 원산지인 유럽 남부에서는 스카치 브룸(Scotch broom)이라고도 한다. 꽃은 봄을 부르는 밝고 싱그러운 노란색으로 잎겨드랑이에 나비모양으로 1~2개씩 달리며 피고, 잎은 어긋나고 3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다. 애니시다의 원산지는 덥고 건조한 고원지대 남부유럽이며, 공기와 햇빛을 좋아하지만 너무 온도가 너무 높으면 모종이 견디기 힘들다고 한다. 애니시다는 유럽의 전설에 나오는 마녀가 이 나무로 .. 2019. 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