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경기도580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마애종(磨崖鐘) 암각화(岩刻畫)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에 자리하고 있는 마애종(磨崖鐘) 암각화(岩刻畫)는 거대한 바위 면에 종(鐘)이 새겨져 있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마애종 암각화라고 한다. 마애종 암각화는 승려의 법의(法衣)인 가사(袈裟)를 걸친 승려가 사각형의 목가(木架)에 쇠사슬로 매달아 놓은 종을 당목(幢木)을 잡고서 치고 있는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 안양 석수동 마애종 암각화는 신라 말 고려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높이 4m 너비 3m 규모이고 종의 세부 표현이 청동제와 다를 바 없어 종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어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재 제92호로 지정되어 있다. 마애종은 비교적 정교한 조각수법을 보여주고 있으며, 어깨부분에 설정된 유곽(乳廓)과 배 부분의 연꽃무늬 당좌(幢座)와 더불어 짜임새 있는 공간처리를 잘.. 2023. 4. 7.
중초사지(中初寺址) 삼층석탑과 당간지주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에 위치한 중초사지(中初寺址)에는 고려 중기의 석탑인 삼층석탑(三層石塔)과 통일신라의 깃대기둥인 당간지주(幢竿支柱)가 자리하고 있다. 중초사(中初寺)의 내력은 확실치 않으나 826년(신라 흥덕왕 원년)에 당간지주를 세웠다는 명문이 당간지주에 남아 있어 이 때 중초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고 한다. 중초사지(中初寺址) 삼층석탑(三層石塔)은 고려 중기의 높이 2.22m 석탑으로, 예전에는 보물 제5호였으나 현재는 격하되어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64호로 지정되어 있다. 삼층석탑은 원래 동북쪽으로 약 80m 되는 밭 가운데 당간지주와 함께 쓰러져 있었다고 하며, 옛 터에 공장이 들어서면서 1960년 12월에 현재의 자리에 옮겨 복원한 것이라 한다. 삼층석탑은 전체적으로 기단부가 너무 .. 2023. 4. 6.
흐드러지게 핀 화사한 벚꽃세상, 안양천 벚꽃길 안양천(安養川)은 한강의 제1지류로 경기도 의왕에서 발원하여 경기도 안양시ㆍ광명시와 서울 금천구ㆍ구로구ㆍ양천구ㆍ영등포구를 지나 성산대교 서쪽에서 한강에 합류하는 하천이다. 안양천 벚꽃길은 안양천 제방을 따라 영등포구부터 광명시로 길게 이어지는 서울에서 가장 긴 약 2.8Km의 벚꽃길이며, 제방로를 따라 심어진 아름드리 벚나무들 사이로 흐드러지게 핀 벚꽃을 감상할 수 있는 서울의 벚꽃 명소라 할 수 있다. 안양천 벚꽃길은 서울 둘레길 6코스(안양천 코스)이기도 하며, 여유로운 산책과 함께 자전거길도 정비되어 있어 한강지구까지 자전거 라이딩을 즐길 수도 있다. 안앙천 주변에는 봄철의 벚꽃 구경과 더불어 계절마다 하천 주변에 조성된 꽃밭과 생태공원ㆍ체육시설ㆍ휴식 공간 등이 마련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공.. 2023. 4. 5.
강변 따라 산책하기 좋은 다산생태공원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위치한 다산생태공원은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강변 16만 7천㎡ 규모에 물환경 생태공원을 조성한 수변공원이다 다산생태공원은 생태ㆍ역사ㆍ문화가 어우러져 자연과 교감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수변 생태공원이며, 공원 내에 서식하고 있는 다양한 식물에 대한 정보와 다산 정약용선생의 생애 이야기를 만나는 곳이기도 하다. 다산생태공원은 2012년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생태복원을 위한 4대강 한강살리기사업과 경기도 팔당수질개선본부의 팔당 수질개선사업 일환으로 추진되었다고 한다. 다산생태공원은 두물머리에서 한강으로 이어지는 팔당호를 따라 조성되었으며, 소내 나루전망대를 비롯해 수생식물원ㆍ연꽃단지ㆍ생태습지ㆍ생태연못ㆍ수변쉼터ㆍ소내데크 등 다양한 휴식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다산생태공원에는 천혜.. 2023. 4. 3.
다산유적지의 정약용 생가, 여유당(與猶堂)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 위치한 다산유적지는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선생이 태어나 생활하고 묻힌 곳으로, 사당ㆍ기념관ㆍ묘소ㆍ생가 등이 그대로 보존ㆍ복원되어 있다. 정약용은 서울에서의 관직생활과 전남 강진의 유배생활을 제외하고는 이곳 여유당(與猶堂) 생가에서 지냈다고 하며, 여유당 언덕 위에는 다산의 묘소도 있다. 정약용 선생은 1800년(정조 24년) 봄에 모든 관직을 버리고 이곳 고향 마현으로 낙향하여 집의 문미(門楣)에 여유당(與猶堂)이라는 현판을 붙이고 생활하였다고 한다. 여유당(與猶堂)이라는 이름은 “여(與)여!~ 겨울의 냇물을 건너는 듯하고, 유(猶)여!~ 사방을 두려워하는 듯 하라.” 라는 노자(老子)의 구절에서 따온 말이라고 한다. 여유당 생가(生家)는 1925년 을축년(乙丑年) .. 2023. 3. 31.
자연환경과 문화적 유산을 겸비한 생태문화공간, 초막골 생태공원 경기도 군포시 산본동에 위치한 초막골생태공원은 수리산이 가지고 있는 자연적인 환경과 조선시대 역사유적 등의 문화적 유산을 겸비한 생태문화공원이라고 한다. 초막골생태공원은 인공폭포 초막동천(草幕洞天)을 비롯하여 분수가 있는 물새연못ㆍ 향기숲ㆍ연꽃원ㆍ텃밭정원ㆍ하천생태원ㆍ유아숲체험ㆍ맹꽁이 습지원 등의 자연 쉼터, 그리고 옹기원ㆍ어린이교통체험장ㆍ상상놀이마당 등의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물새연못은 새가 날아드는 섬과 나무 횃대, 그리고 연못에서 스스로 먹이를 잡아먹으며 사는 거위 부부가 있는 연못으로 자연과 어우러지는 분수의 청량한 물소리와 시원한 정경이 아름다운 곳이다. 초막골생태공원은 공원시설을 보다 체계적이고 기능적으로 배치하여, 인간과 환경이 공존하는 환경친화적인 도시공원으로 조성함으로써 휴식공간과 여가활.. 2023. 3. 28.
원효대사의 자취가 깃든 소요산(逍遙山) 경기도 동두천시 상봉암동에 위치한 소요산(逍遙山)은 포천시 신북면과 걸쳐 있는 산으로, 경기도의 소금강(小金剛)이라고 할 만큼 경치가 아름다운 산이라 할 수 있다. 소요산은 원효대사의 자취가 깃든 산이기도 하며, 계절마다 진달래ㆍ단풍ㆍ폭포 등 꽃과 단풍이 절경을 이루며, 소요산 이름은 서화담ㆍ양사언ㆍ매월당이 자주 소요하였다고 하여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소요산 요석공원은 신라의 고승 원효대사의 부인이었던 요석공주와 인연이 깊은데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요석공주와 인연을 맺은 후 원효는 파계승이 되었다고 한다. 원효는 이곳 소요산에 머물면서 다시 수행에 전념하였다고 하며, 요석공주는 아들 설총을 데리고 와서 별궁을 짓고 살면서 수도하는 원효대사를 향해 조석으로 예배를 올렸다고 한다. 태조 행궁지는 이성계가 .. 2023. 3. 24.
원효대사가 창건한 유서 깊은 사찰, 자재암(自在庵) 경기도 동두천시 상봉암동의 소요산 기슭에 자리한 자재암(自在庵)은 654년(신라 무열왕 1년) 원효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유서 깊은 사찰이며, 대한불교조계종 봉선사(奉先寺)의 말사라고 한다. 창건 이후의 연혁은 자세히 알 수 없으나 고려시대에 들어와서 974년(고려 광종 25년)에 각규대사(覺圭大師)가 태조의 명으로 중창하고 소요사라 하였으며, 1153년(고려 의종 7년)에는 화재로 소실된 것을 각령(覺玲)이 대웅전과 요사만을 복구하여 명맥만 이어왔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사찰에 대한 구체적인 연혁이 전해지지 않으나 조선 초까지만 해도 자재암은 태조의 원당으로 왕실의 비호를 받아오다가 어느 시기엔가 폐허가 되다시피 하여 겨우 명맥만 유지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조선후기 들어서는 18.. 2023. 3. 23.
우리 꽃의 소중함을 알게 하는 우리꽃식물원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매곡리에 위치한 우리꽃식물원은 우리 꽃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고, 우리 꽃의 종 다양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설립한 공립수목원이라고 한다. 우리꽃식물원은 사계절관 유리온실을 비롯하여 생태연못ㆍ우리꽃 전시관ㆍ식물덩굴원ㆍ약용원ㆍ석림원ㆍ야외 화단ㆍ숲속체험관 등 128,213㎡의 규모에 1,100여종의 식물들이 살아 숨쉬는 식물원이라 한다. 유리온실에는 4계절 관람을 위해 백두산ㆍ한라산ㆍ지리산ㆍ설악산ㆍ태백산 등 5개의 산을 미니어처로 만들어 높이별로 식물을 관찰할 수 있으며 총 580여 종을 식재하였다고 한다. 야외 봄꽃들이 피기에는 아직 이른 시기이기에 야외정원은 허허벌판이지만, 유리온실에는 산당화ㆍ동백꽃ㆍ진달래꽃ㆍ 팥꽃나무꽃 등 화사하고 아름다운 꽃들이 활짝 피.. 2023. 3. 7.
일산호수공원 화장실문화전시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에 위치한 일산호수공원은 자연생태계를 재현하고 자연 속의 휴식과 나눔 공간들로 꾸며진 생태문화시설로 국내 최대의 인공호수라 할 수 있다. 호수공원 내에 있는 화장실문화전시관은 동ㆍ서양의 화장실 변천사와 화장실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화장실 전문 역사문화관이다. 서양의 화장실문화는 분뇨를 좋은 거름으로 생각하고 활용한 동양과 관념이 많이 달랐으며, 불필요하고 혐오스러운 것으로 인식하며 배설과 함께 버렸다. 고대 로마에는 매우 발달한 화장실이 있었으나 중세유럽은 서양 화장실 문화의 후퇴기였으며, 르네상스 시대를 지나면서 화장실에 관심을 두지 않고 귀족들은 악취를 감추기 위해 향수를 사용하였다. 중세유럽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요강을 사용하였으며, 요강에 담겨졌던 분뇨와 .. 2023. 1. 10.
폐광을 복합문화예술 공간으로 탈바꿈한 광명동굴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위치한 광명동굴은 일제강점기 때 징용과 수탈을 목적으로 개발한 광산이었으며, 해방 후에는 근대화ㆍ산업화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한 산업유산이다. 광명동굴은 1972년에 폐광된 후 40여 년간 새우젓 창고로 쓰이며 잠들어 있었으며, 2011년에 광명시가 매입하여 역사ㆍ문화 관광명소로 탈바꿈시킨 동굴테마파크라 할 수 있다. 광명동굴은 산업유산으로서의 가치와 문화적 가치가 결합된 동굴테마파크이며, 동굴이라는 공간적 차별성과 희귀성을 문화예술 콘텐츠와 결합한 새로운 창조문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광명동굴은 '2021~2022 한국관광 100선'에 포함된 명소동굴이며, 동굴 곳곳에는 수많은 예술가와의 협업을 통한 작품을 관람할 수 있으며 어둠을 배경으로 한 빛과 뉴미디어는 상상이상의 감동을.. 2023. 1. 9.
광명동굴 웜홀광장과 미디어 파사드(Media facade) 쇼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 위치한 광명동굴은 1912년에 일제가 자원수탈을 목적으로 개발을 시작한 광산이며, 지금은 폐광을 복합문화예술 공간으로 재생시킴으로써 문화창조 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다. 광명동굴은 동굴이라는 공간적 차별성과 희귀성을 문화예술 콘텐츠와 결합한 새로운 창조문화 공간이며, 동굴 곳곳에는 수많은 예술가와의 협업을 통한 작품을 관람할 수 있으며 어둠을 배경으로 한 빛과 뉴미디어는 상상이상의 감동을 이끌어내고 있다. 웜홀광장은 광명동굴 안으로 들어서면 제일 먼저 만나게 되는 광장으로, 4개의 동공이 만나는 이곳은 과거여행을 떠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여러 시설을 연결하는 통로이기도 하다. 웜홀(wormhole)은 우주공간에서 블랙홀(black hole)과 화이트홀(white hole)을 연결.. 2023.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