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기도623

조선후기 대표적 실학자 박세당(朴世堂) 고택(古宅)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에 위치한 박세당 고택(古宅)은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이 10년 동안의 벼슬에서 물러난 후 이곳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저술활동을 하였던 곳이라고 한다. 박세당의 원래 가옥은 안채ㆍ안사랑ㆍ바깥사랑ㆍ행랑채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6.25전쟁 때 대부분 타버리고, 현재는 정면 5칸 측면 2칸 반의 누마루가 덧붙여져 있는 ‘乙’자형의 사랑채만 남아있다. 박세당 고택 사랑채의 동쪽에는 수락산을 뒷산으로 하고 서쪽 멀리에는 도봉산을 바라보고 있는 가옥이며, 경기도 문화재 재료 제93호로 지정되어 있다. 박세당 고택은 유적과 묘역 그리고 후손의 종가가 한 자리에 모여 있으며, 고택은 사유지이기 때문에 현재 일반인 출입이 제한되어 있으며, 관람을 하려면 사전예약을 하여야 방문할 수 있다고 하며 고.. 2023. 6. 16.
박태보(朴泰輔)의 뜻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노강서원(鷺江書院)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에 위치한 노강서원(鷺江書院)은 박태보(朴泰輔)의 뜻을 기리고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기 위해 1695년에 노강(鷺江, 현 노량진)에 충렬사(忠烈祠)로 창건한 서원이다. 노강서원은 대원군의 서원철폐 당시에도 철폐되지 않고 남은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며, 당시 건물은 6.25전쟁으로 타버리자 매월당 깁시습의 영정을 봉안했던 청절사 터인 지금의 자리에 1969년에 옮겨 복원한 것이라고 한다. 노강서원은 1697년(숙종 23년)에 ‘노강((鷺江)’이라고 이름을 지어 사액을 처음 받았으며, 1791년에 노강서원으로 승격되면서 다시 사액을 받았다고 한다. 노강서원은 1689년(숙종 15년)에 인현황후 민씨를 내쫓을 때 죽음으로써 반대하였던 문렬공(文烈公) 박태보(朴泰輔)의 뜻을 .. 2023. 6. 15.
한강변을 따라 휴식과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고양 행주산성 역사공원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외동에 위치한 고양 행주산성 역사공원은 1970년대에 무장공비 침투를 막기 위해 설치하였던 한강 하류의 군 철책을 제거하고 조성한 공원이라고 한다. 고양 행주산성 역사공원은 3만3천㎡의 넓은 한강수변공원으로 지난 2016년에 준공하였으며, 한강변에 위치하고 있어 한강을 조망하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원이기도 하다. 고양 행주산성 역사공원의 한강변을 따라 산책할 수 있고 살아있는 역사교육의 체험장인 동시에 한강물을 직접 만져볼 수도 있는 친수공간으로, 행호정 전망대ㆍ생태광장ㆍ포토 존ㆍ바람개비 언덕을 갖춘 공원이다. 행주산성역사공원의 생태광장에는 행주를 상징하는 살구나무를 심고, 계절마다 갈대ㆍ수크령ㆍ털부처꽃 등 자생식물을 식재하여 자연과 사람이 어울리는 광장으로 조성하였다고 한다.. 2023. 6. 14.
율곡수목원에서 즐기는 다양한 꽃향기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율곡리에 위치한 율곡수목원은 21개의 테마별 식물 주제원과 5종 70그루의 기증나무, 그리고 7백여 종 8만여 그루의 나무와 5백여 종 22만여 포기의 초본류 등 총 1,300여 종 30만여 본의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수목원이다. 수목원 곳곳에서는 싱그러운 나무숲과 더불어 보랏빛 매발톱 꽃을 비롯하여 불두화ㆍ송엽국ㆍ애기말발도리ㆍ병꽃나무꽃ㆍ붓꽃 등 다양한 꽃들을 만날 수 있다. 매발톱꽃은 미나리아재빗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6~7월에 가지 끝에 긴 꽃자루가 나와 자갈색 또는 흰색 꽃이 끝에 하나씩 달려서 피며 꽃잎은 5장이며 받침잎과 번갈아 늘어선다. 매발톱꽃은 꽃받침이 매의 날카로운 발톱을 닮았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이름이며, 우리나라에는 햇빛이 잘 드는 계곡에서 흔히 자라는 매발톱꽃.. 2023. 5. 31.
푸른 나무숲과 쉼터가 있는 율곡수목원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율곡리에 위치한 율곡수목원은 다양한 산림문화와 휴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성한 산림복합문화공간으로, 조림과 숲 가꾸기 등 산림사업을 통해 울창한 산림을 보유하고 있는 수목원이다. 율곡수목원에는 수목원을 끼고 산 능선을 한 바퀴 도는 5㎞ 정도의 수목원 둘레길(도토리길)이 있으며, 초록의 나무숲을 따라 숲속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율곡수목원은 자연지형을 그대로 살려 조성한 21개의 주제원과 우리나라 중부지방 식물을 중심으로 1,300여 종 이상의 식물자원이 자라고 있다고 한다. 율곡수목원은 사계정원ㆍ침엽수원ㆍ암석원ㆍ유실수원ㆍ사임당 치유의 숲(구절초 숲)ㆍ율곡정원ㆍ단풍나무원ㆍ 유리온실 등의 전시원과 관찰데크ㆍ야외무대 등 편익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파주시 파평면 율곡.. 2023. 5. 30.
이이(李珥)가 퇴관(退官) 후 제자들과 학문을 논하던 화석정(花石亭)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율곡리에 위치한 화석정(花石亭)은 이이(李珥)가 제자들과 학문을 논하며 여생을 보낸 곳으로, 파주 임진 8경(臨津 八景) 중 하나이며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1호로 지정되어 있다. 화석정은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다시 중수하여 여가가 날 때마다 이곳을 찾았고, 퇴관(退官) 후에는 이곳에서 제자들과 함께 학문을 논하며 여생을 보냈다고 한다. 화석정(花石亭)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초익공(初翼工)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로, 원래 고려말기의 문신 길재(吉再)의 유지(遺址)였던 자리였으나 1478년(성종 9년)에 이숙함(李淑瑊)이 화석정이라 명명하였다고 한다. 그 후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673년(현종 14년)에 중건하였으나 6.25전쟁 때 다시 소실 된 것을 1966년 .. 2023. 5. 25.
율곡 이이 유적지에 자리한 자운서원(紫雲書院)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동문리의 율곡 이이 유적지 내에 위치한 자운서원(紫雲書院)은 1615년(광해군 7년)에 율곡 이이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신 사액서원(賜額書院)이다. 자운서원은 1650년(효종 1년)에 효종의 친필로 자운(紫雲)이라고 사액되었으며, 그 뒤 김장생(金長生)과 박세채(朴世采)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고 한다. 자운서원은 1868년(고종 5년)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며, 위패는 매안(埋安)하고 서원 터에 설단(設壇)하여 향사를 지내오다 1969년에 지방유림의 기금과 국비보조로 복원하고 1975년과 1976년에 걸쳐 보수하였다고 한다. 자운서원 내의 건물로는 이이를 중앙에 봉안하고 좌우에 김장생과 박세채의 위패가 봉안되.. 2023. 5. 24.
일산호수공원의 한국 전통정원과 텃밭정원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에 위치한 일산호수공원은 자연 속에 다양한 휴식공간들로 꾸며진, 자연 호수에 인공호수를 조성한 우리나라 최대의 인공호수라고 한다. 일산호수공원에는 20만여 그루의 나무들과 다양한 야생화들이 식재되어 있는 자연생태를 그대로 살린 호수공원이며, 매년 봄ㆍ가을에는 세계꽃박람회를 개최하고 있다. 일산호수공원 내에는 우아한 한국 전통정원을 비롯하여 채소와 꽃이 어우러진 텃밭정원, 그리고 자전거 전용도로ㆍ산책로ㆍ잔디광장ㆍ수변광장ㆍ자연학습원ㆍ야외무대ㆍ야외 식물원ㆍ인공폭포 등 다양한 휴식공간과 볼거리로 꾸며져 있다. 호수 안에는 어류ㆍ수서곤충류ㆍ수생식물들의 생태환경이 재현ㆍ정착되어 가고 있으며, 2급수에 사는 민물새우와 작은 수서곤충 등 맑은 수질에 서식이 가능한 다양한 어종들이 서식하고 .. 2023. 5. 22.
드라마 ‘아스달연대기’ 오산 촬영세트장 경기도 오산시 내삼미동에 위치한 드라마 ‘아스달연대기’ 촬영세트장은 '더 킹:영원의 군주' 세트장과 함께 2개의 세트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스달연대기’ 세트장은 현재 촬영준비기간으로 개방하지 않고 있어 세트장 전체가 어수선한 분위기로 언덕 위에서만 바라볼 수 있으며, '더 킹:영원의 군주' 세트장은 카페로 활용되고 있다. 드라마 ‘아스달연대기’는 가상의 대륙 ‘아스’에서 서로 다른 전설을 써가는 영웅들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이상적 국가의 탄생과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투쟁과 화합, 그리고 사랑에 대한 신화적 영웅담을 담은 작품이라고 한다. ‘아스달연대기’는 총18부작으로 tvN을 통해 지난 2019. 6월부터 방영되었으며, 시즌2는 12부작으로 오는 8월부터 촬영 예정이며 현재 세트장을 리모.. 2023. 5. 19.
자연의 생명력을 느낄 수 있는 공원, 배곧생명공원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위치한 배곧생명공원은 자연의 생명력을 느낄 수 있는 도시근린공원으로, 해수(海水)와 담수(淡水)가 만나는 기수역(汽水域) 공원으로 다양한 동ㆍ식물이 서식하고 있다고 한다. 배곧생명공원은 자연 환경을 보존하고 인간과 자연이 함께하는 공원으로, ‘생명-참여-문화’라는 슬로건을 세우고 있으며, 따라서 인간만을 위한 공원이 아니라 다양한 동ㆍ식물이 함께 사는 생명공원으로 조성되었다고 한다. 공원내 주요시설로는 비담못ㆍ어울못ㆍ아라못 등의 연못과 배곧생명공원의 정상인 배곧마루, 바닷물이 드나드는 바라지문, 그리고 즐거운 공연장 라온뜰 등이 있다 또한, 야생화와 풀이 자라는 들꽃뜨락, 가족 단위로 즐기기 좋은 가족 피크닉장인 도란뜰, 숲속 쉼터인 수피아쉼터, 하늘을 보고 걷는 길 하늘마루, 갈.. 2023. 5. 18.
갯벌과 휴식공간이 있는 월곶포구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에 위치한 월곶포구는 간조 시에는 갯벌이 나타나는 독특한 풍경이 형성되고 있으며, 서해안의 특성인 조석간만의 차가 커서 주로 만조 전후로 어선이 드나들고 있다. 월곶포구가 새로운 휴식공간으로 각광받게 된 것은 시흥시에서 면적 566,000㎡에 대한 매립사업을 실시하고 횟집과 어물전 230여 곳을 비롯하여 각종 위락시설을 조성하면서 부터라고 한다. 월곶포구의 이름에서 월곶(月串)의 ‘곶(串)’은 '바다를 향해 뾰족하게 내민 땅'이라고 하며, 인근에서는 월곶을 통칭하여 ‘달월’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의 월곶포구는 수군만호(水軍萬戶)가 설치될 만큼 군사상 중요시 되던 곳이었으며, 1991년까지만 해도 바다와 자원의 보고로 불리는 살아있는 갯벌이었다고 한다. 월곶포구 일원에서.. 2023. 5. 17.
자연과 함께 하는 갯벌 생태공원, 시흥 갯골생태공원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에 위치한 갯골생태공원은 경기도 유일의 내만 갯골의 습지보호지역이며, 염전에서는 옛 염전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생태학습공원이다. 갯골생태공원은 물새 및 법적 보호종의 중요한 서식지이며,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습지보전법에 의거 전국에서 12번째로 연안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생태공원이다. 갯골생태공원은 다양한 철새들의 서식처이기도 하며, 갯벌생태학습장에는 조류관찰대가 마련되어 있어 갯벌에서 한가로이 노닐고 있는 청둥오리 등 철새들을 관찰할 수 있다. 갯골생태공원에는 갯골체험장ㆍ갯골생태학습장ㆍ염전체험장ㆍ갈대숲체험장ㆍ해수체험장ㆍ소생물서식지ㆍ 갯골습지센터 등 다양한 체험장과 볼거리도 가득하다. 시흥갯골은 인천바다에서부터 시흥시 내륙 깊숙한 곳까지 들어온 갯골로 세계에서도 보기 드문 사행성.. 2023.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