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623 명상과 휴식의 공간, 중남미문화원 종교전시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동에 위치한 중남미문화원(中南美文化院)은 3,000여 점에 달하는 중남미 유물을 통해 라틴아메리카를 가장 가까이에서 살펴볼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중남미박물관이라고 한다. 중남미문화원은 박물관ㆍ미술관ㆍ종교전시관ㆍ야외 조각공원ㆍ마야벽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종교전시관은 2011년에 마련되었으며 종교와 관계없이 명상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라고 한다. 중남미 대성당들의 건축양식은 17세기 이후 바로크 양식이 도입되면서 외부ㆍ내부에 더욱 화려하고 찬란한 색과 양식을 입힌 ‘라틴아메리카 바로크’ 양식이 도입되면서 종교미술의 특징을 지니게 되었다고 한다. 특히 중남미 의 성당 내부의 주 제단에는 유럽에서 선호하는 성화보다 성모상과 성미카엘, 성가브리엘 조각, 기타 천사상과 부조(浮.. 2023. 8. 25. 자연과 호흡하는 열린 미술문화기관, 경기도미술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위치한 경기도미술관은 2006년에 개관한 미술문화기관으로, 경기도의 미래 자산이 될 현대 미술품을 수집ㆍ보존ㆍ연구하고 전시와 교육 활동을 통해 관람객과 소통하는 미술관이라고 한다. 경기도미술관은 경기도의 정치ㆍ사회ㆍ문화에서 출발하여, 주제를 심화하는 전시기획인 ‘경기아트프로젝트’와 동시대 미술의 형식과 내용을 실험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동시대미술의 현장’ 주제전을 핵심 전시사업으로 한다고 한다. 경기도미술관은 ‘경기작가조명전’과 ‘청년작가전’ 등을 추진하여 경기도의 중견 작가를 지원하고 신진 작가를 육성하며, 미술관의 소장품을 연구하여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전시의 틀 안에서 다층적으로 담아내는 ‘상설교육전’을 통해 소통과 교육의 장으로서 미술관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2023. 8. 24. 이건희컬렉션 한국 근현대미술 특별전(2), 사계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위치한 경기도미술관에서는 지난 2023. 6. 8(목)부터 8. 20(일)까지 ‘이건희컬렉션 한국 근현대미술 특별전, 사계’ 특별전시가 있었다. 이번 전시는 2021년에 고(故) 이건희 회장이 국립중앙박물관ㆍ국립현대미술관 등에 기증하였던 23,283점 중에서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된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 근현대미술사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전시라고 한다. 전시실은 새로운 계절ㆍ자연으로부터ㆍ또 하나의 계절ㆍ향수의 계절ㆍ봄 여름 가을 겨울 봄 등으로 구분하여, 1927년부터 2010년에 이르기까지 나혜석ㆍ박수근ㆍ이중섭 등 한국 근현대미술의 주요 작가 41명의 작품 90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여 작가들은 굴곡진 역사와 화단의 변화가운데 치열한 나날을 보내며, 각자의 시대적ㆍ예.. 2023. 8. 23. 경기도미술관의 이건희컬렉션 한국 근현대미술 특별전(1), 사계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위치한 경기도미술관은 경기도의 정치ㆍ사회ㆍ문화 이슈를 화두로 하는 다양한 기획전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미술관이라고 한다. 경기도미술관에서는 공립미술관으로서 역사적 가치가 있는 예술품을 향유할 기회를 마련하고자 지난 2023. 6. 8(목)부터 8. 20(일)까지 ‘이건희컬렉션 한국 근현대미술 특별전, 사계’를 전시하였다. 이번 전시는 2021년에 고(故) 이건희 회장이 국립중앙박물관ㆍ국립현대미술관 등에 기증하였던 23,283점 중에서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된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 근현대미술사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전시라고 한다. 전시실은 새로운 계절ㆍ자연으로부터ㆍ또 하나의 계절ㆍ향수의 계절ㆍ봄 여름 가을 겨울 봄 등으로 구분하여, 1927년부터 2010년에 이르기까지.. 2023. 8. 22. 중남미문화원(中南美文化院) 야외조각공원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동에 위치한 중남미문화원(中南美文化院)은 중남미 유물을 통해 라틴아메리카를 가장 가까이에서 살펴볼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중남미박물관이라고 한다. 중남미문화원은 박물관ㆍ미술관ㆍ종교전시관ㆍ야외 조각공원ㆍ마야벽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야외조각공원에서는 중남미 12개국의 현대 조각가들의 작품을 통해 중남미 문화를 느낄 수 있다. 야외 조각공원은 계절에 관계없이 산책의 여유로움과 함께 라우라(Laura)ㆍ네 개의 바람ㆍ비상ㆍ항아리 벽ㆍ 담배 피는 여인 등 중남미의 다양한 조각 작품을 만날 수 있는 공간이다. 중남미문화원의 관람시간은 10:00~18:00(매주 월요일과 설, 추석 당일은 휴관)까지이고, 관람요금은 성인 8,000원 청소년ㆍ군인 6,000원 어린이 5,000원 등이며 경로.. 2023. 8. 21. 조선시대 지방교육기관, 고양향교(高陽鄕校)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동에 위치한 고양향교(高陽鄕校)는 1689년(숙종 15년)에 건립된 조선시대의 향교이며, 창건 이후의 자세한 역사는 전해지지 않는다고 한다. 고양향교는 대자산 동쪽 기슭에 자리하고 있으며 홍살문을 시작으로 명륜당 등의 한옥 건물과 담장ㆍ굴뚝ㆍ기와 등이 어우러져 전통의 건축미가 남아있는 문화유산이며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69호이다. 고양향교의 건물 배치는 명륜당(明倫堂)과 동재(東齋)ㆍ서재(西齋)의 강학(講學) 공간이 앞쪽에 위치해 있고, 대성전(大成殿)과 제향(祭享) 공간이 뒤쪽에 위치하고 있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향교건물 배치모양을 이루고 있다. 대성전(大成殿)에는 공자와 4성현(聖賢)의 위패(位牌)가 모셔져 있고, 동무(東廡)ㆍ서무(西廡)에는 송조 2현(宋朝2賢)과 우리나라 .. 2023. 8. 15. 형형색색의 아름답고 황홀한 꽃, 백일홍(百日紅)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에 위치한 세미원(洗美苑)은 한강 상류 두물머리 주변의 늪지에 수질 정화 기능이 뛰어난 수생식물을 주로 식재한 수변늪지 생태정원이다. 세미원은 황홀한 수련과 우아한 연꽃을 만날 수 있는 연꽃 정원이지만, 정원 곳곳에 마련된 꽃밭에는 백일홍 등 다양한 꽃들도 제 나름의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다. 백일홍(百日紅)은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 멕시코가 원산이며, 오랫동안 꽃을 피우므로 관상용 원예식물로 인기가 높다고 한다. 백일홍이라는 이름은 꽃이 피는 기간이 초여름부터 서리가 내릴 때(6~10월)까지 오랫동안 붉게 핀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백일홍 꽃은 6~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지름이 5~15㎝쯤 되는 두상꽃차례를 이루어 1개씩 피며, 가장자리에 혀 모양의 암꽃이 8~.. 2023. 8. 9. 두물머리의 연꽃 생태정원, 세미원(洗美苑)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에 위치한 세미원(洗美苑)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한강 상류 두물머리 주변의 늪지에 연꽃 등 수생식물을 주로 식재하여 꾸민 물과 연꽃의 생태정원이다. 세미원은 207,587㎡ 규모에 우아한 연꽃뿐만 아니라 수생식물 약 70여종을 비롯하여 초본식물ㆍ목본식물 등 총 270여종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불이문(不二門)은 세미원으로 들어가는 입구로써 하늘과 땅, 자연과 사람, 너와 내가 둘이면서 둘이 아니라는 의미를 담아 그 상징성을 태극문양으로 나타내었다고 한다. 불이문(不二門)에 들어서면 한반도의 형상을 본뜬 국사원(國思圓) 연못과 장독대분수를 만날 수 있으며, 장독대분수는 맑고 아름다운 풍요로운 한강과 더불어 나라와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는 분수로 한강에서 끌어온 물은 .. 2023. 8. 8. 세미원의 황홀한 수련(睡蓮)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에 위치한 세미원(洗美苑)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 주변의 늪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질 정화 기능이 뛰어난 연꽃을 주로 식재한 생태정원이다. 세미원에서는 봄ㆍ여름ㆍ가을ㆍ겨울 각 계절에 맞게 정원을 꾸며 다채로운 행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지난 2023. 7. 1(토)부터 오는 8. 15(화)까지 ‘연꽃문화제’가 진행되고 있다. 수련(睡蓮)은 여러해살이 초본의 부엽성 수생식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하고, 늪이나 연못에서 6~7월에 개화하며 약용이나 관상용으로 많이 이용된다고 한다. 수련은 열대지방과 온대지방에 40여 종(種)이 있다고 하며, 흙탕물을 정화시키고 시든 꽃은 물속으로 모습을 감추고 열매도 물속에서 맺어 추한 모습을 결코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수련 꽃은 백.. 2023. 8. 4. 세미원의 우아한 연꽃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에 위치한 세미원(洗美苑)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한강 상류 두물머리 주변의 늪지에, 수질 정화 기능이 뛰어난 연꽃 등 수생식물을 주로 식재하여 꾸민 물과 연꽃의 정원이다. 세미원은 아름답고 우아한 연꽃뿐만 아니라 세한정(歲寒庭)ㆍ장독대 분수ㆍ페리기념 연못ㆍ사랑의 연못ㆍ 빅토리아 연못ㆍ열대수련정원ㆍ유상곡수 등 다양한 볼거리들도 많다. 세미원에서는 지난 2023. 7. 1(토)부터 오는 8. 15(화)까지 ‘연꽃문화제’가 진행되고 있으며, 개장시간도 09:00~20:00까지 연장 개장하고 있으나 최근 무더위 탓인지 세미원의 연꽃은 현재 대부분 떨어지고 연잎만 남아 있어 아쉬웠다. 세미원 관람요금은 일반 5,000원 어린이ㆍ청소년ㆍ경노 등은 3,000원이며, 주차장은 세미원 옆.. 2023. 8. 3. 지중해 등 건조기후대 식물을 만날 수 있는 일월수목원 전시온실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일월로에 위치한 일월수목원은 101,500㎡ 규모로 총 2,106종 52,551주 429,618본의 식물이 식재되어 있다고 한다. 일월수목원은 지난 2023년 5월에 정식 개원한 수목원으로 전시온실을 비롯하여 수생식물을 도입한 습지원과 사계절 꽃을 볼 수 있는 장식정원 등 다채로운 주제정원도 꾸며져 있다. 일월수목원 전시온실은 높이 25m 연면적 2902㎡ 규모로 조성된 온실이며, 오아시스 가든ㆍ사막정원ㆍ허브 유실수ㆍ호주 뉴질랜드식물ㆍ야자와 소철 등 300여종 식물들로 꾸며져 있다. 전시온실에서는 남아공ㆍ호주ㆍ뉴질랜드 등 강수량이 적은 세계 대표적인 건조기후대 자연생태와 식물을 관찰할 수 있는 온실이라고 한다. 일월수목원의 관람시간은 09:00~18:00(매표마감 17:00)까지이고.. 2023. 7. 13. 자연과 더불어 산책하기 좋은 수변공원, 당정뜰 경기도 하남시 미사동에 위치한 당정뜰은 덕풍천과 한강이 만나는 곳에 있는 삼각형 모양의 넓은 수변공원으로, 물길과 돌이 모래를 옮겨와 자연적으로 생긴 생태공원이다. 당정뜰은 원래 ‘한강 팔당지구 하천 정비사업’으로 지정되어 팔당팔화수변공원으로 불리었으나, 2020년에 하남시민을 대상으로 명칭 공모를 하여 '당정뜰'이 정식 지명이 되었다고 한다. 당정뜰 메타세쿼이아 숲길은 1999년부터 하남시 공사현장에서 버려지는 나무를 살리고자 도시숲인 나무고아원 조성과 함께 기증받은 나무를 식재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메타세쿼이아 숲길은 덕풍교에서 산곡교까지 1.2km 구간에 메타세쿼이아와 낙우송 404그루를 식재한 것으로,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걷고 싶은 산책로로 사랑받고 있다. 메타세쿼이아 나무는 낙우송과의 낙엽 .. 2023. 7. 11. 이전 1 2 3 4 5 ··· 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