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768 아프리카의 문화와 예술(제1전시실), 아프리카예술박물관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무림리에 위치한 아프리카예술박물관은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문화적 교류를 더욱 활발히 하고자 2006년 첫 개관하였으며, 실내전시관과 야외전시장을 비롯하여 공연장ㆍ체험학습장ㆍ산책로와 연못 그리고 캠핑장 등이 조성되어 있다. 내부 전시관에는 아프리카의 성인식ㆍ혼인식ㆍ장례식 등의 제례의식과 왕실 및 족장에 관련된 유물, 그리고 각종 생활용품과 전쟁 관련 용품을 비롯하여 다양한 목조각품ㆍ석조각품ㆍ회화작품ㆍ동물박제 등이 전시되어 있다. 제1전시실에는 아프리카의 문화와 예술에 관한 내용을 전시하고 있는 곳으로, 선조상ㆍ푼누 문ㆍ용기(用器)ㆍ전사상 조각 등 다양한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아프리카에서의 훌륭한 전사는 부족의 존경을 받고 사후에는 부족의 수호신으로 추앙받았다고 하며, 한정된 땅에서 .. 2018. 12. 20. 섬세한 목공예의 진수(眞髓), 목아박물관(木芽博物館) 실내전시관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이호리에 위치한 목아박물관(木芽博物館)은 한국의 전통 목공예와 불교미술의 계승 발전을 위해 개관한 사립 불교박물관으로, 야외전시와 실내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하1층 지상3층의 실내전시관은 목아작품실과 불교작품실로 구분하여 박찬수(朴贊守)선생의 목공예 작품들과 불화ㆍ불상ㆍ서예품ㆍ동자상을 비롯한 각종 불교관계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목아작품실에는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모작(模作)을 비롯하여 12지신상((十二支神像) ㆍ관세음보살상ㆍ제석천(帝釋天)ㆍ범천(梵天) 등 다양한 불상 등이 전시되어 있다. 박물관의 전시품들은 대부분 박물관 건립자인 무형문화재 목조각장(木彫刻匠) 박찬수(朴贊守)선생의 작품들이라고 하며, 전시된 조각품 하나하나를 보면 그 섬세함에 절로 감탄을 하게 된다. 불교작.. 2018. 12. 19. 전통 목공예와 불교미술의 만남, 목아박물관(木芽博物館)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이호리에 위치한 목아박물관(木芽博物館)은 중요무형문화재 목조각장인 목아(木芽) 박찬수(朴贊守)선생이 한국의 전통 목공예와 불교미술의 계승 발전을 위해 1993년에 개관한 사립 불교박물관이라 한다. 목아박물관은 목조각 작품을 중심으로 방대한 불교관련 조형물들을 전시하고 있는 박물관으로, 목아(木芽)라는 의미는 ‘죽은 나무를 새로운 존재로 싹을 띄운다’ 라는 뜻을 가진다고 한다. 박물관에 들어서면 제일 먼저 만나는 석조미륵삼존불입상의 위용이 대단하다 이 박물관의 전시품들은 대부분 박물관 건립자인 목조각부문 무형문화재 박찬수선생의 작품들이라고 하며, 박물관은 야외전시실과 실내전시실로 꾸며져 있다. 야외 전시실은 한얼눌늘집(개천궁)ㆍ큰말씀의 집(대장전)ㆍ마음의 문(사천왕문)ㆍ박물관 본관ㆍ목.. 2018. 12. 18. 은빛 억새가 빛나는 갯골생태공원의 흔들전망대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에 위치한 갯골생태공원은 다양한 염생식물 및 각종 어류ㆍ양서류 등이 서식하고 있는 자연생태공원으로, 일제 강점기 때에는 갯골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염전이었다고 한다. 갯골생태공원의 상징물이라 할 수 있는 흔들전망대(갯골전망대)는 잔디광장에 우뚝 솟아있는 높이 22m의 6층 목조 고층 전망대로써, 전체적인 모양이 갯골의 바람이 휘몰아 오르는 느낌으로 갯골의 변화무쌍한 역동성을 표현하였다고 한다. 전망대 경사로를 오르면서 사방을 둘러보면 시흥시의 호조벌ㆍ포동ㆍ갯골ㆍ월곶동ㆍ장곡동을 두루두루 바라볼 수 있으며, 꼭대기에서는 갯골생태공원의 아름다운 사방풍경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다. 흔들전망대 주변에 조성된 억새들은 늦가을의 햇살을 받으며 은빛 자태를 자아내며 전망대 풍경을 한층 운치있게 해주.. 2018. 11. 20. 고려(高麗) 마지막 왕의 능(陵), 공양왕릉(恭讓王陵)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에 자리한 공양왕릉(恭讓王陵)은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고려 34대 공양왕(恭讓王)과 그의 비(妃)인 순비 노씨(順妃 盧氏)의 능으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왼쪽이 왕 오른쪽이 왕비의 봉분(封墳)이다. 이 능은 왕과 왕비를 쌍릉(雙陵) 형식으로 모셨으며, 능 앞에는 비석 1기와 상석이 놓여있고 팔각 모양의 장명등(長明燈) 1기가 서 있으며, 무덤 양쪽에는 문신과 무신 상이 세워져 있다. 석물의 양식과 수법이 간략하고 소박해서 고려 여러 왕릉의 전통적인 모습을 지니고 있다. 1392년 조선이 건국되자 공양왕은 재위 3년 만에 고려의 멸망과 더불어 폐위되어 원주로 쫓겨 갔다가 간성군(杆城郡)으로 추방되면서 공양군(恭讓君)으로 강등되었고 1394년에 삼척부로 옮겨졌다가 50세에 사사(賜死.. 2018. 11. 15. 세조(世組)의 명복을 빌었던 사찰, 봉선사(奉先寺)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에 위치한 봉선사(奉先寺)는 969년(고려 광종 20년)에 법인국사(法印國師) 탄문(坦文)이 운악산 자락에 운악사(雲岳寺)라는 이름으로 처음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 후 1469년(조선 예종 1년)에 세조(世祖)의 비 정희왕후(貞熹王后)가 세조의 능침을 운악산에 모시고 광릉(光陵)이라 하고, 세조의 명복을 비는 사찰로 삼아 중창하고 ‘선왕을 받든다’는 뜻으로 봉선사(奉先寺)로 이름을 바뀌었다고 한다. 경내 건물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으로 소실된 것을 1749년에 중수하였으나 다시 6·25전쟁으로 완전히 소실되었다가, 1959년 범종각 복원을 시작으로 운경(雲鏡)ㆍ운하당(雲霞堂)을 차례로 세우고 1970년대에 큰법당과 영각(靈閣)을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경내에는 현.. 2018. 10. 8. 임진각 평화누리공원의 독특한 인간 조형물 ‘통일부르기’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마정리에 위치한 임진각(臨津閣)에는 2005년 세계평화축전을 계기로 조성한 평화누리공원이 있으며, 공원 내에는 음악의 언덕과 바람의 언덕을 비롯하여 갖가지 수초들이 자라고 있는 연못과 연못 위에 지어진 카페 건물등이 있다. 평화누리공원의 바람의 언덕에는 형형색색의 바람개비를 이용하여 하나인 한반도를 오가는 자유로운 바람의 노래를 표현한 바람개비와 독특한 형태의 ‘통일부르기’ 조형물이 있다. 초록의 잔디광장에 우뚝 솟아있는 ‘통일부르기’ 조형물은 대나무와 철근을 재료로 하여 통일을 향한 나지막하지만 강렬한 호소를 형상화한 작품이라고 하며, 독특하면서도 강렬한 느낌을 주는 조형물이다. 이 작품을 설치한 조각 설치작가 최평곤 작가의 글에 의하면, 인물상 작품은 대나무로 엮은 우리 민족의 .. 2018. 8. 31. 벽초지문화수목원에 핀 다양한 꽃향기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창만리에 위치한 벽초지문화수목원은 전국 각지의 소나무와 1,400여종의 식물을 식재한 수목원으로, 꽃동산과 다름없는 퀸스가든을 비롯해 아리솔원ㆍ하련원ㆍ빛솔원 등의 다양한 테마정원 등이 조성되어 있다. 우리나라 전통 연못인 벽초지(碧草池)에는 화려한 수련(睡蓮)이 활짝 피어 있고, 곳곳의 테마정원에서는 별개미취ㆍ원추리ㆍ금불초ㆍ해바라기 등 다양한 꽃들이 활짝 피어 있다. 벌개미취는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햇볕이 잘 들고 습기가 충분한 산지나 들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으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지름 4~5cm의 연한 자주색 꽃이 6~10월에 핀다. 원추리는 전국 각지 산지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며, 잎 사이에서 나온 긴 꽃줄기 끝에서 가지가 갈라져 백합 비슷하게 생긴 6~8개의 등황색 꽃.. 2018. 8. 21.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수목원, 벽초지문화수목원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창만리에 위치한 벽초지문화수목원은 자연과 사람이 하나 되는 수목원으로, 한국적인 정원과 유럽 스타일의 정원을 함께 조성한 수목원이라고 한다. 수목원 내에는 전국 각지의 소나무와 1,400여종의 식물을 비롯하여 계절별 축제도 마련되어 있으며, 자연을 통해 심신의 피로를 풀 수 있는 공간으로 각광받고 있다고 한다. 수목원에 들어서면 제일 먼저 만나는 퀸스가든에는 화사하고 아름다운 꽃들로 꽃동산을 이루고 있으며, 그밖에 아리솔원ㆍ하련원ㆍ빛솔원 등의 다양한 테마정원 등이 조성되어 있다. 또한 수목원 내의 아름다운 자연 경관은 TV 드라마나 CF촬영 등의 배경으로 자주 등장하는 곳이기도 하며, 가족 나들이나 연인들의 데이트 장소로도 인기가 높은 곳이기도 하다. 벽초지(碧草池)ㆍ습지원ㆍ연화원 .. 2018. 8. 20. 유럽풍의 이색적인 조각공원, 벽초지문화수목원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창만리에 위치한 벽초지문화수목원은 아름다운 꽃들이 만발한 다양한 테마공원과 자연과 사람이 하나 되는 벽초지(碧草池) 연못도 있지만, 또 하나의 볼거리는 유럽풍의 이국적인 조각공원(European Style The SOL)이다. 조각공원 정문(Castle Gate)을 들어서면 중앙분수대를 중심으로 제우스가든ㆍ체스가든ㆍ워터가든ㆍ물방울가든ㆍ허브가든 등 다양한 형태의 정원 등으로 꾸며져 있다. 특히, 그리스 신화나 로마 신화에서 나오는 아름다운 여신들의 다양한 모습의 조각상들을 곳곳에서 볼 수 있어 더욱 더 이국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조각공원 중앙에 위치한 분수대 분수대의 여인상이 유난히 아름답다 조각공원은 수목원의 외곽에 위치하여 사전에 챙기지 않으면 놓치기 쉬운 테마공원이기도 하.. 2018. 8. 17. 여러가지 화려한 색을 가진 백일홍(百日紅) 백일홍(百日紅)은 한해살이풀이며, 원래는 멕시코의 잡초였으나 꽃 색깔이 다양할 뿐 아니라 초여름부터 서리가 내릴 때까지 오랫동안 피므로 관상용 원예식물로 개량ㆍ보급되었다고 한다. 백일홍(百日紅)이라는 이름은 꽃이 피는 기간(6~10월)이 길어 오랫동안 붉게 핀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며, 한편으로 배롱나무꽃을 나무백일홍(木百日紅)이라 부르기도 하고 그 꽃만을 가리켜 백일홍이라 하기도 하지만 백일홍과 배롱나무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 꽃은 줄기 끝에서 지름이 5~15㎝쯤 되는 두상꽃차례를 이루어 피며, 본래 자주색 또는 포도색이었으나 원예품종에는 녹색 및 하늘색을 제외한 흰색ㆍ노란색ㆍ주홍색ㆍ오렌지색ㆍ분홍색 등 여러 가지 색이 있다고 한다. 백일홍의 키는 약 60㎝ 정도이고 잎은 긴 난형으로 길이 4~6cm .. 2018. 8. 16. 호랑이 꼬리를 닮은 꽃범의꼬리 꽃범의꼬리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많은 꽃이 한꺼번에 피는 것은 아니고 각 가지마다 아래에서부터 하나씩 올라가면서 피며 맨 위의 꽃이 피고 나면 끝이라고 한다. 전국의 모든 지역에 분포하며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줄기가 무더기로 나와 7~9월에 꽃이 개화하며, 한 포기에 대략 800~1000 송이 정도의 홍색ㆍ보라색ㆍ흰색 등의 꽃이 핀다. 꽃범의꼬리는 북아메리카가 원산지로 피소스테기아(Physostegia)라고도 하며, 배수가 잘 되는 곳에서 서식하며 원예용 식물로도 많이 이용된다고 한다. 꽃범의꼬리라는 이름은 꽃이 핀 모양이 호랑이 꼬리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졌다고 하며, 꽃모양을 보면 이제 막 윗니가 나기 시작하는 갓난아이가 천진스럽게 웃는 아기 모습 같기도 하고, 배불뚝이 금붕어가 가쁜 숨을.. 2018. 8. 15. 이전 1 ··· 59 60 61 62 63 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