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신 글2638

을사늑약(乙巳勒約)의 참담한 역사 현장, 덕수궁 중명전(重明殿) 서울 중구 정동에 위치한 덕수궁 중명전(重明殿)은 덕수궁을 대한제국의 황궁으로 정비해 가는 과정에서 황실의 서적과 보물들을 보관할 황제의 서재로 지어졌다. 중명전(重明殿)은 1899년경 수옥헌(漱玉軒)이라는 황실 도서관으로 탄생하였으며, ‘광명이 계속 이어져 그치지 않는 전각’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 궁궐에 지어진 최초의 서양식 건물 중 하나라고 한다.  덕수궁에서 1904년에 큰불이 일어나게 되자 고종이 이곳으로 이어(移御)하면서 편전으로 사용하였으며, 화재이후 고종(高宗)이 이곳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중명전이 되었다. 중명전은 이후 1925년 화재로 인하여 벽면만 남았던 것을 복구하여 원형과는 다소 달라져 있지만, 지하1층 지상2층의 단순한 벽돌집이면서 1층의 아치형 창과 2층 서쪽에 베란다가 꾸며져 있.. 2025. 2. 5.
'모던라이트, 대한제국 황실 조명’ 특별전시, 덕수궁 돈덕전(惇德殿) 서울 중구 정동에 위치한 덕수궁(德壽宮)은 전통 목조건축과 서양식 석조건축이 함께 남아있는 조선왕조 궁궐 가운데 독특한 형태로 남아 있는 궁궐이며 최근에는 돈덕전(惇德殿)을 재현하였다. 덕수궁 돈덕전(惇德殿)은 대한제국 고종(高宗)의 연회장이면서 외교 접견실로 사용되었고 순종(純宗)의 황제 즉위식이 열린 건물이며, 일제에 의해 철거된 지 100여 년 만인 지난 2024년 9월에 재개관하였다.  돈덕전은 1902년 고종 즉위 40주년 기념 칭경예식(稱慶禮式)의 서양식 연회를 위해 신축한 건물이며, 화려한 유럽풍 외관의 벽돌로 지어진 건물로 1층은 폐현실이고 2층에는 침실이 자리하였으며 각국 외교사절의 폐현(陛見) 및 연회장, 국빈급 외국인의 숙소로 활용하였다. 고종(高宗)은 칭경예식을 국제행사로 성대하게 .. 2025. 2. 4.
조선궁궐 덕수궁(德壽宮)의 설경(雪景) 서울 중구 정동에 위치한 덕수궁(德壽宮)은 조선 5대 궁궐 중에서 규모가 가장 작고 전통 목조건축과 서양식 석조건축이 함께 남아있는 조선왕조의 궁궐 가운데 독특한 형태로 남아 있는 궁궐이다. 덕수궁 자리는 원래 월산대군(성종의 형)의 사가(私家)였으나 임진왜란이 끝난 후 궁궐이 모두 불에 타고 없자, 한양으로 돌아온 선조가 임시 거처로 사용하면서 1593년(선조 26년)부터 행궁(行宮)이 되었다.  덕수궁 전경을 한 눈에 바라볼 수 있는 정동전망대는 서울시청 서소문청사 13층에 위치한 전망대이며, 덕수궁과 서울시청 건물을 한 눈에 바라보며 여유롭게 커피 한잔을 즐길 수 있는 전망대 겸 카페이다. 정동전망대에는 카페 창문틀에는 멀리 보이는 곳이 어떤 건물인지 설명해 주는 사진이 있고, 벽면에는 정동의 옛 .. 2025. 2. 3.
대만 딤섬 맛집, 딘타이펑(鼎泰豐) 101지점과 주변 야경 타이베이시(台北市) 신이구(信義區)에 위치한 ‘딘타이펑(鼎泰豐) 101지점’은 딤섬 맛집으로 유명한 딘타이펑의 타이베이 지점이다. 딘타이펑(鼎泰豐) 101지점은 타이베이 101전망대 지하 1층에 자리하고 있으며, 대기시간이 보통 1시간여 걸리는 관계로 미리 대기표를 받고 101전망대를 둘러보고 오는 것도 대기시간을 줄이는 한 방법이기도 하다.  딘타이펑의 음식메뉴는 한글로도 표시되어 있어 부담스럽지 않게 주문할 수 있으며, 우리 가족은 통새우 돼지고기 샤오마이와 새우계란볶음밥, 그리고 돼지갈비튀김 등을 주문하였으며 대부분 입맛에 맞고 맛도 좋았다. 101전망대 주변의 야경은 우리나라 연말의 도심처럼 나무마다 화려한 조명등이 설치되어 그야말로 아름답고 황홀한 야경을 즐길 수 있는 것 같다. 2025. 2. 2.
대만의 대표적 랜드마크 마천루, 타이베이 101전망대 대만(臺灣) 타이베이시(台北市) 신이구(信義區)에 위치한 ‘타이베이 101전망대’는 대만을 대표하는 랜드마크이기도 한 초고층 빌딩이며, 타이베이 시내의 화려한 야경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곳이다.  타이베이 101전망대의 건설 당시 이름은 '타이베이국제금융센터(台北國際金融中心)‘였으나, 완공 직전에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고 한다.  타이베이 101전망대는 아랍 에미리트의 두바이에 부르즈 할리파((Burj Khalifa)가 2010년에 개장되기 전까지만 해도 약 5년간 세계 최고층 마천루였다고 한다. 본래는 일반적인 고층 건물 5동을 세우기로 계획하였으나, 도중에 초고층 건물 1동을 세우는 것으로 계획을 변경하면서 건물 높이가 지금처럼 높아졌다고 한다.   이 건물은 하늘로 뻗어가는 대나무를 모티브.. 2025. 2. 1.
자라섬 전경을 조망할 수 있는 자라섬 출렁다리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달전리에 위치한 자라섬은 북한강의 작은 4개의 섬으로, 가을음악 축제인 ‘자라섬 재즈페스티벌’과 함께 봄과 가을에 개최되는 ‘자라섬 꽃 페스타’ 등이 열리는 ‘가평 9경’이기도 하다. 자라섬 출렁다리는 가평읍 달전리 고수부지와 자라섬 서도를 잇는 보행자 전용 1주탑 현수교 교량이며, 교량연장 165m 폭 2m이고 40m 높이의 주탑에는 12m 높이의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어 자라섬 전경을 바라볼 수 있다.  자라섬 출렁다리는 '2019년 새로운 경기도 정책공모' 최우수상으로 선정된 '자라섬 수변생태관광벨트 조성사업'의 1단계 공사라고 한다. 올해 7월에는 자라섬 서도에서 중도 간 2차 보도교가 개통되는 등 진행 중인 자라섬 수변생태관광벨트 조성사업 2단계 추진공사도 모두 완료될 예정이.. 2025. 1. 31.
국립민속박물관 기증 특별전, 꼭두 서울 종로구 삼청로에 위치한 국립민속박물관은 우리 민족 고유의 민속문화를 전승하고 미래를 창출하는 박물관으로, 상설전시와 기획전시로 나누어 전시하고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1에서는 지난 2024. 10. 23(수)부터 오는 2025. 3. 3(월)까지 ‘꼭두와 상여, 상장의례를 통해 나타나는 죽음’에 대한 인식을 재조명하는 ‘꼭두’를 특별전시하고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기증 특별전 ‘꼭두’의 전시자료는 동숭아트센터에서 기증한 ‘꼭두’ 250여 점이며, 전시내용은 ‘1부 낯섦, 마주하다’, ‘2부 이별, 받아들이다’, ‘3부 여행, 떠나보내다’, ‘에필로그 꼭두와 떠나는 여행 또 다른 이야기 꼭두와 함께한 삶, 꼭두 엄마’ 등으로 나누어 전시하고 있다.   사람과 생명체는 모두 죽으며, 죽음은 영.. 2025. 1. 30.
정조(正祖)의 개혁과 효(孝)의 상징적 공간, 수원 화성행궁(華城行宮)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남창동에 위치한 화성행궁(華城行宮)은 당초에는 수원부 관아(官衙)와 행궁(行宮)으로 사용되었으나, 1794년~1796년에 걸쳐 진행된 수원화성 축성기간에 확대하여 최종 완성된 것이라고 한다. 화성행궁은 정조(正祖)가 부친인 장헌세자(사도세자)의 원침(園寢)인 현륭원(현 융릉)을 13차례 참배할 때 유숙한 행궁이며, 행궁 내에는 봉수당(奉壽堂)ㆍ장락당(長樂堂)ㆍ유여택(維與宅)ㆍ낙남헌(洛南軒)ㆍ복내당(福內堂) 등의 건물과 정조의 영정(影幀)을 모신 화령전(華寧殿) 등이 있다.   조선시대 행궁은 남한산성 행궁이나 북한산성 행궁, 온양 온천 행궁 등 여러 곳에 있었지만, 전국의 행궁 가운데 화성행궁은 규모에서나 격식에서 가장 돋보이는 곳이었다고 한다. 화성행궁은 1909년부터 수원 주민들.. 2025. 1. 28.
노원기차마을 스위스관, 화랑대 철도공원 서울 노원구 공릉동의 화랑대 철도공원에 자리하고 있는 노원기차마을 스위스관은 세계적인 관광지인 스위스의 마을과 기차를 그대로 재현한 미니어처 전시관이다.  노원기차마을 스위스관은 기존 미니어처관의 정적(Static)ㆍ선형(Linear) 관람문화를 탈피하여 스위스의 아름다운 자연풍광을 배경으로 다양한 스토리를 가진 각종 디오라마와 철도가 결합된 동적 미니어처 전시관이라고 한다.  스위스 베른 국회의사당의 돔(cupola dome) 아래 두 개의 방을 잇는 중앙 홀에는 스위스 역사에 대한 수많은 상징이 묘사되어 있다. 광장에는 스위스의 26개주를 나타내는 26개의 분수가 있으며, 매주 열리는 시장 및 음악공연, 새해맞이 카운트다운, 스케이트장, 크리스마스 마켓 등 연중 다양한 행사가 개최된다고 한다.   스.. 2025. 1. 27.
대만의 소테츠 그랜드 프레사 호텔(Sotetsu Grand Fresa Taipei Ximen) 이번 대만여행에서의 숙소는 타이페이의 중심부에 자리한 소테츠 그랜드 프레사 호텔(Sotetsu Grand Fresa Taipei Ximen)을 이용하였다. 호텔은 대만(臺灣) 타이페이 시먼(台北 西門)의 시먼역(Ximen) 2번 출구 앞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여러 관광지로 출발하기에 편리하였다.  호텔의 체크인 시간은 오후 15:00이고 체크아웃 시간은 오전 11:00이며, 2층 로비에서 셀프체크인을 하지만 호텔 조식권 교부와 호텔룸 키를 교부해주는 등 직원이 도와주고 있으며, 호텔 로비에서는 면도기ㆍ빗ㆍ가글액ㆍ면봉ㆍ화장솜 등 일회용품을 제공하고 있다. 건물 이용과 호텔객실 이용 손님을 구별하기 위해 객실로 올라갈 때는 호텔 카드키를 엘리베이터 하단부에 테그해 주어야 한다.   호텔 건물 1층에 있는 식당.. 2025. 1. 26.
구름 위의 여정, 인천국제공항에서 타오위안국제공항까지 매주 주말에 포스팅 하던 영화이야기와 한국사진작가협회 사진촬영대회 모델사진을 잠시 쉬고, 이번 주부터는 지난 주 아이들의 졸업과 방학을 맞아 다녀온 대만 여행을 매주 포스팅 할 계획이다. 이번 대만 여행에서 다녀온 곳으로는 대만의 유명 관광지라고 할 수 있는 타이페이101 전망대ㆍ예류지질공원ㆍ스펀폭포ㆍ지우펀 야경ㆍ대만 국립고궁박물관 등이며, 특히 관광지마다 한국인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곳이라 우리나라 관광지로 여행 온 것 같은 분위기였다.  인천 국제공항(ICN)에서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TPE)까지는 2시간 30여분의 비행시간으로 에바항공(EVA AIR)을 이용하였으며, 비행 중 기내식을 1회 제공받았다. 서울의 1월은 영하권의 날씨이지만 타이완은 15°C 내외의 따듯한 가을 날씨 같았으며, 관광지.. 2025. 1. 25.
아름답고 화려한 노원불빛정원, 화랑대 철도공원 서울 노원구 공릉동에 위치한 노원불빛정원은 2010년에 운행이 중단된 옛 화랑대역과 철로구간을 공원으로 꾸미고, 빛과 조명을 통해 추억의 공간으로 탈바꿈하였다. 노원불빛정원에는 빛 터널ㆍLED 조형물ㆍ3D 매핑 등 조명 구조물과 프로젝터를 활용한 투시장치 등 17종의 야간 경관 조형물을 설치하여 아름답고 화려한 야경을 보여주고 있다.  화랑대 철도공원은 노원구 월계동ㆍ광운대역 일대에서부터 공릉동과 화랑대역을 지나 담터마을 인근까지 이어진 5.4km 길이의 숲길과 연계하여 경춘선 숲길을 조성하기도 하였다. 화랑대 철도공원의 노원불빛정원은 옛 철길과 역사를 그대로 활용하고 빛과 조명을 통해 추억의 공간으로 탈바꿈하여 관람객들에게 보다 볼거리가 많은 빛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    노원 불빛정원에는 LE.. 2025.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