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숲길15

나무숲길이 있는 조선왕릉 삼릉공원, 선정릉(宣靖陵)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선정릉(宣靖陵)은 조선 제9대 성종(成宗) 및 계비 정현왕후(貞顯王后) 윤씨를 모신 선릉(宣陵)과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을 모신 정릉(靖陵)이 자리하고 있다. 선정릉은 왕릉이 세 개 있다고 하여 삼릉공원(三陵公園)으로 불리기도 하며, 약 7만여 평의 면적에 송림과 잡목이 들어 서 있으며 사적 199호로 지정되어 있다.  정릉(靖陵)은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을 모신 왕릉으로, 중종은 원래 서삼릉 내의 제1계비 장경왕후(章敬王后) 윤씨가 묻힌 곳에 합장하였으나, 1562년(명종 17년)에 중종을 현 위치로 천장(遷葬)하였다. 정릉의 시설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준했으므로 선릉과 비슷하며, 구름무늬의 12지(支) 신상(神像)이 새겨진 병풍석을 돌리고 있으며, 정릉에 세워.. 2024. 11. 29.
가을단풍 나무숲의 화랑공원, 화랑유원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위치한 화랑유원지는 호숫가를 따라 한 바퀴 산책할 수 있는 화랑호수를 비롯하여 나무숲과 단원각이 있는 화랑공원, 그리고 경기도미술관ㆍ안산산업역사박물관 등도 관람할 수 있다, 화랑유원지는 총 632,107㎡ 규모의 도시근린공원이며, 화랑유원지의 일부인 화랑공원은 화랑호수 인근에 자리하고 있는 공원으로 가을단풍으로 물들은 나무숲 사이로 산책하기 좋은 곳이다.  화랑공원에서는 지난 10월에 안산 출신의 조선시대 천재 화가 김홍도의 예술혼과 그림을 소재로 한 다양한 콘텐츠를 마련하여 전시하는 ‘제5회 김홍도 축제‘가 단원각 일원에서 열리기도 하였다. 단원각은 건축면적 38.33㎡ 최고 높이 9.75m 규모의 전통식 식목구조로 이익공 팔작지붕이며. 모로단청과 무궁화 기와무늬로 되어 .. 2024. 11. 25.
추존된 원종(元宗)과 인헌왕후(仁獻王后)의 쌍릉(雙陵), 김포 장릉(章陵)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에 위치한 장릉(章陵)은 사후 왕으로 추존된 원종(元宗)과 그의 비(妃)인 인헌왕후(仁獻王后)를 모신 쌍릉(雙陵)이며 사적 제202호이다. 장릉의 봉분(封墳)은 병풍석과 난간석 없이 봉분 주위를 둘러막는 조금 낮은 듯한 호석(護石)만을 두르고 있으며, 이는 왕위를 오르지 않은 왕의 아버지(대원군)의 묘제를 따른 것이라고 한다.  홍살문에서 정자각까지 이르는 길인 참도(參道)가 다른 능과는 달리 약간의 경사진 계단식 형태인 것은 정자각이 상대적으로 조금 높은 곳에 지어졌기 때문이며, 능원 밑에는 정자각ㆍ비각ㆍ수복방(守僕房)ㆍ홍살문, 그리고 장릉 입구에 재실이 있다. 봉분 주위에는 석양(石羊)ㆍ석호(石虎) 각 2쌍을 교대로 배치하였으며, 봉분 뒤쪽으로는 3면의 곡장(曲墻)을 둘렀고 봉분 .. 2024. 9. 30.
나무숲과 운동시설이 있는 은행근린공원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위치한 은행근린공원은 총 200,832㎡ 규모의 근린공원으로, 기존 지형을 이용하고 자연 수림대를 보존하였으며, 불법 훼손지에는 시설물을 설치하였다고 한다. 공원 내에는 다목적 운동장ㆍ배드민턴장ㆍ게이트볼장ㆍ농구장 등 각종 운동 시설과 운동기구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나무숲 속에서 여유롭게 쉴 수 있는 정자 등의 쉼터도 마련되어 있다.  공원내 자리한 수경시설은 바닥분수와 벽 폭포시설로 되어 있으며, 가동시간이 아니어서 바닥분수는 가동하지 안했지만 벽 폭포수는 시원하게 물줄기를 뿜어내고 있다. 공원 내에는 산책로와 그늘시렁ㆍ정자ㆍ파고라ㆍ야외탁자ㆍ의자ㆍ놀이터ㆍ조합놀이터ㆍ발지압장ㆍ약수터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특히 수목관찰원ㆍ야생화원 등도 조성되어 있어 어린이와 주민들의 자연관찰.. 2024. 6. 14.
나무숲길 호숫가 따라 산책하기 좋은 석촌호수 서울 송파구 잠실동과 신천동에 걸쳐 있는 석촌호수는 호수를 중심으로 총 285,757㎡ 규모의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춘 호수공원으로 정식 명칭은 송파나루근린공원이다. 송파나루근린공원은 옛날 이 자리에 송파진(松坡津)이 있었다는 데에서 이름이 붙여졌다고 하며, 송파나루근린공원보다는 석촌호수나 석촌호수공원 이름으로 더 유명하다.  석촌호수는 송파나루공원 내에 있는 호수이며, 옛 한강의 본류였던 송파강을 매립하여 잠실도를 육속화(陸續化)할 때 매립하지 않고 남겨 1978년 6월에 조성된 호수이다. 현재는 인공호수가 되어 수도관을 통해 한강으로부터 물을 공급 받고 있으며, 수심 약 5m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하며 도심 호수 치고는 수심이 꽤 깊은 편이라 할 수 있다.    석촌호수는 송파대로의 잠실호수교를 기준.. 2024. 6. 13.
나무숲길과 화사한 꽃들로 가득한 성남시 식물원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은행동에 위치한 성남시 식물원은 다양한 식물과 야생화ㆍ곤충류들이 서식하여 어린이들에게 자연교육 학습의 장으로 활용되고 시민들에게는 자연휴식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성남시 식물원은 총 57,700㎡ 규모로 교목 90종 2,014주, 관목 89종 13,430주, 초화류 221종 62,334본의 식물, 그리고 온실에는 104종 4,462본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2년 10월에 성남시 식물원으로 개장하였다.   성남시 식물원은 양묘장과 용도 폐기된 배수지를 이용하여 재 활용공간으로 조성된 식물원이며, 2001년 1월에 양묘장 기능을 전환하여 식물원으로 준공하였다고 한다. 성남시식물원은 사계절 초록온실을 비롯하여 생태연못ㆍ단풍나무원 ㆍ 다육식물테마원 ㆍ 수생식물원 ㆍ 야생화원ㆍ관목원ㆍ.. 2024. 6. 11.
오동근린공원 나무숲길 산책 서울 성북구 월곡동에 위치한 오동근린공원은 월곡산(月谷山)에 자리한 119m의 야트막한 동산이며, 나무숲 산책길과 휴식공간ㆍ운동시설 등이 마련되어 있는 공원이다. 오동근린공원에는 전체 길이 약 2.5km의 자락길이 마련되어 있으며, 보행 약자와 함께 건강하게 도시 숲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산림욕 등 자연치유를 경험할 수 있도록 데크도 조성되어 있다. 오동근린공원은 계절마다 다양한 꽃들이 피고 지는 동산이기도 하며, 월곡산 정상에 자리한 월곡정(月谷亭)에 오르면 남산의 서울타워를 비롯하여 도봉산ㆍ청계산ㆍ관악산ㆍ우면산 등이 한눈에 펼쳐지는 전망 좋은 곳이며, 서울시 우수조망명소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계절은 벌써 가을이 지나고 초겨울로 접어들었지만 오동근린공원의 숲길은 예전의 울긋불긋한 단풍은 찾을 수 없고 단.. 2023. 11. 28.
화려한 가을단풍 나들이, 부천중앙공원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중동에 위치하고 있는 부천중앙공원은 부천시의 대표적 공원 중 하나로 근린공원 제1호이며, 1990년대에 중동 일대를 중동신도시로 개발하면서 조성한 근린공원이다. 부천중앙공원에는 오래된 나무들이 많아서 울창한 나무 숲길이 수목원처럼 느껴지는 곳이며, 울긋불긋 화려한 가을단풍이 떨어진 낙엽과 함께 아름답고 멋진 풍경을 연출하고 있다. 부천중앙공원은 총 면적 123,493㎡ 규모이며, 공원 중앙에는 큰 반원형의 잔디광장과 둥근 연녹색 지붕을 얹은 야외음악당, 그리고 특이한 모양의 부천시 상징탑이 우뚝 솟아 있다. 부천중앙공원의 서쪽 주제가 나무와 풀이라면 동쪽 주제는 호수와 분수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 물이라고 하며, 여기저기 곳곳에 아기자기한 물길과 징검다리가 놓인 시골의 개울, 그리고 .. 2023. 11. 10.
나무숲길과 다양한 조각작품이 전시되어 있는 단원조각공원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에 위치한 단원조각공원은 나무숲길과 함께 조선후기의 대표적 풍속화가 김홍도(金弘道)의 풍속도와 다양한 조각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는 공원이다. 단원조각공원은 주변의 노적봉공원과 연계되어 자리한 공원이며, 조각공원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다양한 조각작품들이 공원 산책로를 따라 곳곳에 전시되어 있다.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는 신윤복ㆍ김득신과 함께 조선의 3대 풍속화가로 꼽히며, 7~8세부터 20대 초반까지 안산에 거주하며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에게서 그림을 배우고 성장하였다고 한다. 김홍도의 그림은 서민들의 생활상을 익살ㆍ해학ㆍ풍자를 섞어 향토적인 정취로 담아낸 화가이며, 산수화ㆍ신선도ㆍ화조화ㆍ불화 등 모든 분야에서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하였다. 2023. 9. 1.
두물경을 즐기는 산책길, 두물머리공원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에 위치한 두물머리공원은 북한강과 남한강 두 물이 한 곳에 만나 한강의 본류를 이루는 곳으로, ‘두물머리’라는 이름은 이들 두 강이 만나는 곳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두물머리 양수리(兩水里) 일대는 충적지가 발달해 있고 하천변을 따라 발달한 저지대는 주로 논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주변에 위치한 세미원(洗美苑)은 연꽃단지로도 유명하다. 두물머리공원에는 수령(樹齡) 400여 년이 넘는 높이 30m 둘레 8m의 장대한 느티나무와 더불어 한강변을 따라 조성된 나무숲길 등 자연의 운치를 더해주는 풍경을 연출한다. 두물머리에는 이른 아침에 피어나는 물안개 풍경과 강가에 외로이 떠 있는 나룻배 하나 등이 있어 사진애호가들의 출사지로도 유명하며, TV드라마나 영화 등에서 배경으로 자주 등장하기.. 2022. 8. 17.
싱그러운 나무숲길을 산책하기 좋은 용산가족공원 서울 용산구 용산동에 위치한 용산가족공원은 예전에 주한미군 사령부 기지의 골프장이었던 곳을 1992년에 서울시에서 인수하여 연못과 산책로 등을 조성하여 공원으로 탈바꿈시킨 것이라고 한다. 용산가족공원은 기존의 골프장으로 사용하였던 잔디ㆍ숲ㆍ연못 등을 그대로 유지한 채, 잔디광장ㆍ산책로ㆍ연못ㆍ태극기공원ㆍ맨발공원ㆍ자연학습장ㆍ미르폭포 등으로 조성한 공원이다. 가족공원은 총 75,900㎡의 규모로 은행나무ㆍ느티나무ㆍ산사나무ㆍ구상나무 등 80종 1만 5천주의 나무를 식재하였다고 하며, 싱그러운 나무숲 아래로 산책하기도 좋다. 가족공원의 시원스럽게 탁 트인 잔디밭은 가족들의 신나는 놀이터이고, 공원 곳곳에는 손으로 만든 손ㆍ오늘ㆍ어린이의 꿈 등 다양한 조각 작품들도 전시해 놓았다. 용산가족공원 주변에는 국립중앙박물.. 2022. 5. 25.
꽃은 없지만 나무숲길과 귀여운 조형물이 반기는 동화마을수목원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동화리에 자리한 동화마을수목원은 지방수목원 조성사업으로 산림청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2016년 12월에 원주시 최초 공립수목원으로 등록되었다고 한다. 동화마을수목원 주요시설로는 방문자센터ㆍ안내소를 비롯하여 전시온실ㆍ증식온실ㆍ생태관찰로ㆍ잔디광장 등을 1차 사업으로 조성하였고, 2016년부터는 생태연못 등을 조성하고 야광나무ㆍ개회나무 등 다양한 수종의 수목을 식재하였다고 한다. 동화마을수목원 캐릭터는 오동나무를 동음이의어로 활용해 오뚝이ㆍ오동이ㆍ오똘이ㆍ오뚱이 등으로 지었다고 하며, 둘레길 곳곳에 귀여운 조형물들이 방문객을 반기고 있다. 수목원 내에 특색 있는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생태연못ㆍ벽천분수 등을 조성하였다고 하나 계절적인 관계로 아직 가동되지 않고 있다. 수목원 내에는 향기원ㆍ.. 2022. 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