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주26

보물(寶物) 국가유산이 많은 사찰, 여주 신륵사(神勒寺)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봉미산 자락에 위치한 신륵사(神勒寺)는 신라 진평왕(眞平王) 때 원효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나 확실한 근거는 없으며, 현존유물은 대부분 고려 중엽 이후의 것이 많다. 신륵사는 1376년(우왕 2년)에 나옹(懶翁) 혜근(惠勤)이 머물렀던 곳으로 유명하며, 조선 성종 때에는 영릉(세종대왕릉)의 원찰(願刹)이었으며, 보은사(報恩寺) 또는 벽사(璧寺)라고 불리기도 하였다고 한다.  여주 신륵사에는 보물 제180호 조사당(祖師堂), 보물 제225호 다층석탑(多層石塔), 보물 제226호 다층전탑(多層塼塔), 보물 제228호 보제존자석종(普濟尊者石鐘), 보물 제229호 보제존자 석종비(普濟尊者石鐘碑), 보물 제230호 대장각기비(大藏閣記碑), 보물 제231호 석등 등 유난히 보물 국가유산들이 .. 2024. 10. 1.
황학산수목원 난대식물원 온실 경기도 여주시 매룡동에 위치한 황학산수목원은 멸종위기에 처한 식물에 대한 보전ㆍ복원과 산림문화ㆍ휴양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이며, 자연과 인간이 교감할 수 있는 휴식공간이라고 한다. 황학산수목원은 식물의 생태와 기능에 따라 특색화한 15개의 테마정원으로 특화된 수목원으로, 272,704㎡ 규모에 2,740여종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황학산수목원 난대식물원은 2015년에 ‘경기 북동부 경제특화발전사업'에 선정되어 2018년 12월에 개원하였으며, 우리나라 난대식물 자원의 보전과 연구, 그리고 난대림 식생에 대한 교육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전문 온실이라고 한다. 황학산수목원 난대식물원의 전시 온실에는 우리나라 난대림을 대표할 수 있는 주요 식생과 다양한 희귀ㆍ특산식물이 식재되어 있으며, 1,214㎡ 규.. 2024. 9. 27.
자연과 함께 교감하는 휴식공간, 황학산수목원 경기도 여주시 매룡동에 위치한 황학산수목원은 자연을 아끼고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한 휴식공간이며, 멸종위기에 처한 식물에 대한 보전ㆍ복원과 산림문화ㆍ휴양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이라고 한다. 황학산수목원은 자연과 인간이 교감할 수 있는 공간조성을 목적으로 2012년 5월에 개원하였으며, 식물의 생태와 기능에 따라 테마정원을 구분한 특화된 수목원으로 272,704㎡ 규모에 2,740여종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황학산수목원의 주요시설은 방문객센터를 비롯하여 온실ㆍ재배용 하우스 등의 연구생산시설, 전시정원ㆍ산야초원 등의 수집전시시설, 그리고 산열매원ㆍ야외학습장 등의 산림체험시설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수목원 내에는 습지원ㆍ석정원ㆍ산열매원ㆍ미니가든ㆍ항아리정원ㆍ풀향기정원 등 식물의 생태에 기능에 따라 특색화.. 2024. 9. 26.
황학산수목원에서 만나는 다양한 꽃 경기도 여주시 매룡동에 위치한 황학산수목원은 식물의 생태와 기능에 따라 특색화한 습지원ㆍ석정원ㆍ산열매원ㆍ항아리정원ㆍ풀향기정원 등 15개의 테마정원과 청정한 숲으로 이루어져 있다. 황학산수목원은 목본 833종류 초본1,261종류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고 하며, 수목원 곳곳에서는 뻐꾹나리ㆍ꽃범의꼬리ㆍ천일홍 등 다양한 꽃들을 만날 수 있다.  뻐꾹나리는 산지의 숲속에서 자생하는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며, 흰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있는 꽃이 아름답고 독특하여 화단이나 돌 틈에 관상용으로도 심는다. 뻐꾹나리 꽃은 7~9월에 지름 3cm 정도의 연한 자색의 꽃이 줄기 끝에 상부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에 2~3개씩 무리지어 피고, 꽃자루의 길이가 위로 갈수록 짧아져 꽃대 끝이 거의 같은 높이를 갖는다.  .. 2024. 9. 18.
황학산수목원의 솔채꽃과 부추꽃 경기도 여주시 매룡동에 위치한 황학산수목원은 식물의 생태와 기능에 따라 특색화한 15개의 테마정원과 청정한 숲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목본 833종류 초본1,261종류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황학산수목원의 습지원ㆍ석정원ㆍ산열매원ㆍ항아리정원ㆍ풀향기정원 등 테마정원과 숲속 산책로 곳곳에서는 솔채꽃ㆍ부추꽃 등 다양한 꽃들을 만날 수 있다.   솔체꽃은 산토끼꽃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이며, 습기가 많은 반그늘이나 산기슭의 경사지 혹은 풀숲 등에 자라며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고 하며 ‘솔체’라는 꽃 이름이 외국어 같지만 순우리말이라고 한다. 솔채꽃은 7~9월에 가지와 줄기 끝에 하늘색의 꽃이 머리모양꽃차례로 달리며, 주변부의 꽃은 5개로 갈라지고 외측열편이 가장 크고 중앙부의 꽃은 통상화로 4개로 갈라진다... 2024. 9. 17.
남한강 전망과 현충시설 조형물, 영월공원 경기도 여주시 상동에 위치한 영월공원은 남한강이 바라보이는 작은 언덕에 조성된 공원으로, 공원 정상에 자리한 영월루(迎月樓)에 오르면 탁 트인 남한강의 전망이 한 눈에 들어온다. 영월공원 내에는 영월루를 비롯하여 그리스군 참전기념비ㆍ호국 무공수훈자 공적비ㆍ여주군 6.25참전기념비ㆍ현충탑(顯忠塔) 등 다양한 현충시설 조형물들과 고려시대 삼층석탑 등의 문화재도 자리하고 있다.  여주 황포돛배는 조선시대의 주요 운송수단이었던 황포돛배를 재현한 황포돛배 유람선으로, 남한강 남쪽에서는 여주시에서 운영하는 세종대왕호가 있고, 남한강 북쪽에는 민간사업자가 운영하는 신륵황포돛단배가 있다고 한다. 황포돛배는 강변 선착장-신륵사-강변 선착장으로 원점 회귀하는 코스이며, 돛배를 타고 여강(驪江)이라 불릴 정도로 빼어난 경관.. 2024. 9. 13.
여주 영월루(迎月樓)와 고려시대 삼층석탑 경기도 여주시 상동에 위치한 영월루(迎月樓)는 영월공원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조선시대의 누정(樓亭)으로, 원래는 여주군청 정문이었으나 1925년에 군수 신현태(申鉉泰)가 파손될 것을 염려하여 현재의 위치로 이축하였다고 한다. 영월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2층 누각으로 정면 길이에 비하여 측면 길이가 짧고 평면은 긴 장방형이며, 원래 명칭은 기좌제일루(畿左第一樓)였다고 하며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37호이다.  영월루의 구조는 장대석 기단에 놓인 높은 사각 초석 위에 짧은 하층 기둥이 세워져 누마루가 꾸며지고, 그 위에 상층 기둥이 세워져 이익공과 결구되고 오량(五樑)의 지붕 가구를 짜 올렸다.  영월루 상층 누마루에 올라보면 남한강의 전망이 한 눈에 들어오며 누각 바로 아래 북쪽 강안(江岸)은 .. 2024. 9. 12.
여주의 역사유물과 문화예술이 전시되어있는 여주박물관(驪州博物館)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에 위치한 여주박물관(驪州博物館)은 여주 역사의 고증자료 및 문화예술ㆍ역사유물 등의 자료를 수집ㆍ보관ㆍ전시하고, 향토의식을 함양시키고 시민의 애향심을 고취시키는 박물관으로 설립하였다고 한다. 여주박물관은 1997년에 여주군 향토사료관으로 개관한 이래, 2000년에는 공립박물관으로 등록하였으며 2010년에 여주박물관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여주박물관은 여주((驪州) 지명의 유래가 되는 황마(黃馬)와 여마(驪馬)를 모티브로 하여, 여주박물관의 전시관 명칭을 황마관과 여마관으로 운영하고 있다. 황마관는 남한강 수석전시실ㆍ류주현 문학전시실ㆍ기획전시실ㆍ조선왕릉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마관은 로비전시홀ㆍ원종대사탑비 비신ㆍ여주역사실ㆍ영상실 등으로 꾸며져 있다. 여주 흔암리 선사유적은 동북지방.. 2022. 3. 25.
황학산수목원 난대식물원의 봄꽃 소식 경기도 여주시 매룡동에 위치한 황학산수목원(黃鶴山樹木園)은 272,704㎡ 규모에 멸종위기에 처한 식물에 대한 보전ㆍ복원과 산림문화ㆍ휴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목원이다. 황학산수목원 내에 자리한 난대식물원은 기후변화에 취약한 식물을 보존하는 온실로, 새끼노루귀를 비롯하여 산자고ㆍ갯까치수염ㆍ백서향ㆍ프리뮬라ㆍ크로커스ㆍ자금우ㆍ동백꽃 등 다양하고 화사한 꽃들이 봄꽃 소식을 전하고 있다. 노루귀는 우리나라에 노루귀ㆍ새끼노루귀ㆍ섬노루귀 등 3종류가 있으며, 새끼노루귀는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며 주로 섬 지방이나 산지의 숲 속 양지바른 곳에서 서식하는 한국특산식물이다. 노루귀라는 이름은 잎이 마치 노루의 귀를 닮았기 때문에 붙여졌다고 하며, 눈과 얼음을 뚫고 나오는 풀이라고 해서 파설초(破雪草)라고도 한다.. 2022. 2. 17.
겨울 숲길을 산책하기 좋은 여주 황학산수목원 경기도 여주시 매룡동에 위치한 황학산수목원(黃鶴山樹木園)은 자연과 인간이 교감할 수 있는 공간조성을 목적으로 2012년 5월에 개원한 수목원이라고 한다. 황학산수목원은 자연을 아끼고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한 휴식공간이며, 멸종위기에 처한 식물에 대한 보전ㆍ복원과 산림문화ㆍ휴양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황학산수목원의 주요시설은 방문객센터를 비롯하여 온실ㆍ재배용 하우스 등의 연구생산시설, 전시정원ㆍ산야초원 등의 수집전시시설, 그리고 산열매원ㆍ야외학습장 등의 산림체험시설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황학산수목원은 식물의 생태와 기능에 따라 테마정원을 구분한 특화된 수목원으로 272,704㎡ 규모에 목본 833종류 초본1,261종류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수목원 내에는 습지원ㆍ석정원ㆍ산열매원ㆍ미.. 2022. 2. 16.
영월공원의 영월루(迎月樓)와 그리스군 참전기념비 경기도 여주시 상동에 위치한 영월공원은 남한강 둔치에 조성된 공원으로, 공원 정상에 자리한 영월루(迎月樓)에 오르면 탁 트인 남한강의 전망이 한 눈에 들어온다. 영월공원 내에는 조선 후기의 누정(樓亭)인 영월루(迎月樓)를 비롯하여 그리스군 참전기념비ㆍ호국 무공수훈자 공적비ㆍ여주군 6.25참전기념비ㆍ현충탑(顯忠塔) 등 다양한 조형물들이 자리하고 있다. 영월루(迎月樓)는 영월공원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조선시대의 누정(樓亭)으로, 원래는 여주 군청 정문이었으나 1925년에 군수 신현태(申鉉泰)가 파손될 것을 염려하여 현재의 위치로 이축하였다고 한다. 영월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2층 누각으로 정면 길이에 비하여 측면 길이가 짧고 평면은 긴 장방형이며, 원래 명칭은 기좌제일루(畿左第一樓)였다고 하며.. 2022. 2. 11.
보물로 지정된 고려시대 여주 삼층석탑(三層石塔) 경기도 여주시 상동의 영월공원 내에는 보물(寶物)로 지정된 고려시대의 창리 삼층석탑과 하리 삼층석탑 2기(基)가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여주 창리 삼층석탑(驪州 倉里 三層石塔)는 옛 여주읍 창리 지역의 과수원 절터에 있었던 것을 옮긴 것이며, 여주 하리 삼층석탑(驪州 下里 三層石塔)은 하리의 옛 절터에 있었던 것을 이곳으로 옮긴 것이라고 한다. 여주 창리 삼층석탑은 2중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건립한 높이 2.46m의 석탑이며, 기단 밑에 이중으로 여러 장의 석재(石材)를 사용하여 대석(臺石)을 삼고 그 위에 1석으로 된 하층기단(下層基壇) 면석을 얹었다. 아래 기단의 4면에는 안상(眼象)이 2개씩 새겨져 있으며, 움푹한 무늬의 바닥선이 꽃모양처럼 솟아올라 있어 당시의 조각기법이 잘 드러나 있고 기단을 .. 2022.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