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087 강화의 역사와 문화를 전시하고 있는 강화 역사박물관 인천시 강화군 강화읍에 위치한 강화역사박물관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강화 고인돌공원에 위치하고 있으며 강화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중심으로 선사시대부터 근현대까지 강화도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전시ㆍ보존ㆍ연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고 한다. 강화역사박물관에는 선사시대 화살촉에서부터 고려시대 청자, 조선시대 백자, 근현대 목가구 등 선사시대부터 근현대까지 조상들이 남긴 소중한 유물을 상설전시 및 기획전시를 통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강화는 각 시대마다 해상관문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훌륭한 문화유산을 많이 남기고 있으나 그동안 강화에서 출토되는 유물을 외부 기관에서 관리해 오던 실정이었다고 한다. 강화역사박물관은 각지에 흩어져 보관되고 있는 강화 출토 유물과 새로 출토되는 유물을 비롯하여 조.. 2023. 8. 16. 조선시대 지방교육기관, 고양향교(高陽鄕校)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동에 위치한 고양향교(高陽鄕校)는 1689년(숙종 15년)에 건립된 조선시대의 향교이며, 창건 이후의 자세한 역사는 전해지지 않는다고 한다. 고양향교는 대자산 동쪽 기슭에 자리하고 있으며 홍살문을 시작으로 명륜당 등의 한옥 건물과 담장ㆍ굴뚝ㆍ기와 등이 어우러져 전통의 건축미가 남아있는 문화유산이며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69호이다. 고양향교의 건물 배치는 명륜당(明倫堂)과 동재(東齋)ㆍ서재(西齋)의 강학(講學) 공간이 앞쪽에 위치해 있고, 대성전(大成殿)과 제향(祭享) 공간이 뒤쪽에 위치하고 있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향교건물 배치모양을 이루고 있다. 대성전(大成殿)에는 공자와 4성현(聖賢)의 위패(位牌)가 모셔져 있고, 동무(東廡)ㆍ서무(西廡)에는 송조 2현(宋朝2賢)과 우리나라 .. 2023. 8. 15. 서울역사문화특별전, ‘한양 여성, 문 밖을 나서다-일하는 여성들’ 서울 중구 세종로에 위치한 서울역사박물관은 유서깊은 서울의 역사와 전통문화를 정리하여 보여줌으로써, 서울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심화하고 서울의 문화를 느끼고 체험할 기회를 제공하는 박물관이라고 한다. 서울역사박물관 기획전시실A에서는 지난 2023. 5. 5(금)부터 오는 2023. 10. 3(화)까지 서울역사문화특별전 '한양 여성, 문 밖을 나서다-일하는 여성들'을 특별전시하고 있다. 한양 무녀들은 무적(巫籍)에 등재되어 무세(巫稅)를 부담하였으며, 이와 함께 한양에 사는 가난한 백성들의 구제와 치료를 맡은 활인서(活人署) 관서에 소속되어 병자들을 볼 봤다. 활인서는 도성 밖에 위치하여 전염병이 도성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였으며, 활인서 주변에 무녀들이 모여 살며 죽은 혼령을 극락으로 .. 2023. 8. 14. 충주전국사진촬영대회 벨리댄스 미녀모델 한국사진작가협회 각 지부 및 지회 또는 각 분과에서는 매년 다양한 전국사진촬영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지역축제와 더불어 아름다운 미녀모델들을 초빙하여 개최하는 사진촬영대회가 대부분이다. 충북 충주시 세계무술공원 일원에서 진행된 제17회 충주전국사진촬영대회는 중원문화의 발상지이며 대한민국 중심고을인 충주에서 개최되는 ‘우륵문화제’를 기념하기 위한 촬영대회이기도 하였다. 충주전국사진촬영대회에는 전국의 수많은 사진애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다양한 미녀모델들을 초빙하여 벨리댄스ㆍ발레ㆍ농악 등 아름답고 멋진 포즈를 선보이며 진행되었다. 벨리댄스(belly dance)는 이슬람 문화권 여성들이 허리와 골반을 연속적으로 비틀거나 흔들며 추는 춤이며, 주로 가슴ㆍ배ㆍ허리ㆍ골반ㆍ엉덩이의 독립된 움직임에 중점을 두면서 여성.. 2023. 8. 13. 일탈을 꿈꾸다 인생을 망치는 영화, 쏜다 한국 영화 ‘투캅스’ㆍ‘공조’ 등이나 할리우드 영화 ‘내일을 향해 쏴라’ㆍ‘언터쳐블’ 등에서처럼 두 명의 남자 주인공이 이야기의 주류를 이루는 소위 버디무비(buddy movie)가 흥행에 성공하며 유행하기도 하며, 최근에는 ‘비공식작전’ 등도 흥행에 성공하고 있는 것 같다. 영화 ‘쏜다’ 역시 전형적인 버디무비라 할 수 있으며, 세상을 성실하고 모범적으로만 살아온 사회모범생인 구청 공무원 박만수(감우성)와 병든 어머니를 돌보기 위해 도둑질을 한 다음 이를 위장하기 위해 경범죄로 잡혀 들어가는 수법으로 전과 15범이 되어버린 인생 낙오자 양철곤(김수로)이 뜻하지 않은 사건으로 의기투합하여 하루 밤 일탈(逸脫)을 꿈꾸다 끝내는 인생의 파국을 맞이한다는 영화이다. 이 영화를 보노라면 반복되는 일상으로부터 한.. 2023. 8. 12.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유적, 강화 고인돌공원 인천시 강화군 하점면 부근리에 위치하고 있는 강화 고인돌공원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고인돌인 강화 지석묘(江華 支石墓)를 비롯하여 다양한 고인돌들이 자리하고 있는 곳으로 사적 제137호로 지정되어 있다. 강화 고인돌은 주로 고려산 북쪽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총 157기가 보고되었으며, 지리적으로 남한과 북한의 고인돌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을 뿐 아니라 동북아시아 돌무덤문화와의 관련성을 보여준다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강화 부근리 지석묘(支石墓)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유적으로, 탁자식 지석묘로 분류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고인돌이며 현재 한국에 있는 북방식 지석묘 가운데 가장 크고 덮개돌의 무게가 약53톤이라고 한다. 강화에는 강화 지석묘를 비롯하여 부근리 고인돌군ㆍ삼거리 고인돌군ㆍ고천리 고인돌군ㆍ오상리.. 2023. 8. 11. 강화 갑곶돈대와 강화전쟁박물관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해안동로에 위치한 강화 갑곶돈대(甲串墩臺)는 1679년(숙종 5년)에 완성된 48돈대 가운데 하나이며, 이곳은 예로부터 외부에서 강화도로 들어오는 길목이었으며 1977년에 복원하였다고 한다. 돈대(墩臺)는 해안가나 접경지역에 돌이나 흙으로 쌓은 소규모 관측ㆍ방어시설이며, 조선시대 강화도에는 외적의 침입에 대비하여 5개의 진(鎭)과 7개의 보(堡), 그리고 53개의 돈대가 선 전체를 에워 싼 모양으로 설치되었다. 갑곶돈대 내에는 강화전쟁박물관을 비롯하여 총 67기의 강화비석군ㆍ세계금속활자발상중흥기념비ㆍ 이섭정ㆍ포대ㆍ대포 등이 있으며, 2011년에 ‘사적 제306호 강화 갑곶돈’으로 지정되었다. 강화비석군은 조선시대 선정을 베푼 유수ㆍ판관ㆍ경력ㆍ군수 등의 영세 불망비 및 선정비, 자.. 2023. 8. 10. 형형색색의 아름답고 황홀한 꽃, 백일홍(百日紅)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에 위치한 세미원(洗美苑)은 한강 상류 두물머리 주변의 늪지에 수질 정화 기능이 뛰어난 수생식물을 주로 식재한 수변늪지 생태정원이다. 세미원은 황홀한 수련과 우아한 연꽃을 만날 수 있는 연꽃 정원이지만, 정원 곳곳에 마련된 꽃밭에는 백일홍 등 다양한 꽃들도 제 나름의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다. 백일홍(百日紅)은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 멕시코가 원산이며, 오랫동안 꽃을 피우므로 관상용 원예식물로 인기가 높다고 한다. 백일홍이라는 이름은 꽃이 피는 기간이 초여름부터 서리가 내릴 때(6~10월)까지 오랫동안 붉게 핀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백일홍 꽃은 6~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지름이 5~15㎝쯤 되는 두상꽃차례를 이루어 1개씩 피며, 가장자리에 혀 모양의 암꽃이 8~.. 2023. 8. 9. 두물머리의 연꽃 생태정원, 세미원(洗美苑)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에 위치한 세미원(洗美苑)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한강 상류 두물머리 주변의 늪지에 연꽃 등 수생식물을 주로 식재하여 꾸민 물과 연꽃의 생태정원이다. 세미원은 207,587㎡ 규모에 우아한 연꽃뿐만 아니라 수생식물 약 70여종을 비롯하여 초본식물ㆍ목본식물 등 총 270여종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불이문(不二門)은 세미원으로 들어가는 입구로써 하늘과 땅, 자연과 사람, 너와 내가 둘이면서 둘이 아니라는 의미를 담아 그 상징성을 태극문양으로 나타내었다고 한다. 불이문(不二門)에 들어서면 한반도의 형상을 본뜬 국사원(國思圓) 연못과 장독대분수를 만날 수 있으며, 장독대분수는 맑고 아름다운 풍요로운 한강과 더불어 나라와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는 분수로 한강에서 끌어온 물은 .. 2023. 8. 8. 찬란한 은빛 보물, 상하이역사박물관 소장품 특별전 서울 중구 세종로에 위치한 서울역사박물관은 서울의 선사시대부터 근현대까지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하는 도시 역사박물관이며, 서울의 장소와 역사와 기억을 저장하는 박물관이라고 한다. 서울역사박물관 기획전시실B에서는 지난 2023. 6. 2(금)부터 오는 2023. 8. 27(일)까지 ‘상하이역사박물관 소장품 특별전-찬란한 은빛 보물’기획전이 전시되고 있다. 이번 ‘찬란한 은빛 보물’ 특별전시는 은기(銀器)라는 특별한 시각을 통해 유물이 품고 있는 상하이 이야기를 생생하게 들려주고, 우아하고 시적인 정취가 넘쳤던 고대 상하이 사람들의 사회생활을 재현하고 있다. 상하이는 중국의 직할시로 태평양의 서쪽 연안, 아시아 대륙의 동쪽 가장자리, 장강 삼각주의 동쪽 끝, 남북 해안선의 중간 지점에 위치해 있다. 은기(银器.. 2023. 8. 7. 평창 효석문화제, 평창둔전평농악 놀이 한국사진작가협회 각 지부 및 지회 또는 각 분과에서는 매년 다양한 전국사진촬영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지역축제와 더불어 아름다운 미녀모델들을 초빙하여 개최하는 사진촬영대회가 대부분이다.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효석문화마을 일원에서 펼쳐진 ‘평창 효석문화제’는 이효석 작가의 단편소설 ‘메밀꽃 필 무렵’을 배경으로 평창둔전평농악 놀이도 있었다. 평창둔전평농악은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둔전평 일대에서 전승되고 있는 농악으로, 평창둔전평농사놀이보존회가 결성되어 전승하고 있으며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되어 있다. 평창둔전평 농악의 특징은 빠른 쇠가락과 춤사위의 흥겨움 그리고 소박한 동작으로 이루어지며, 영동농악과 영서농악의 장점을 살린 중간적 형태를 취하고 있다고 한다. 2023. 8. 6. 기존의 슈퍼 히어로 ‘~맨’ 시리즈와 차별화 한 영화, 핸콕(Hancock) 할리우드 영화는 새로운 영웅을 잘도 만들어 내는 것 같으며, 한편으로 생각하면 그만큼 미국은 지금 새로운 슈퍼 히어로가 나타나기를 기다리고 있다는 반증(反證)이기도 하다. 영화 ‘핸콕(Hancock)’은 그동안 할리우드에 의해 탄생되었던 슈퍼 히어로 슈퍼맨에서부터 아이언맨까지 할리우드의 기존의 ‘~맨’ 시리즈와는 다르게 차별화 하여 핸콕(Hancock)이라는 새로운 거칠고 까칠한 꼴통 캐릭터를 탄생시켰다. 슈퍼 히어로에 걸맞지 않게 LA시민이 그에게 붙여준 ‘꼴통’이라는 이름이 그러하듯, 핸콕는 예전의 슈퍼히어로들과는 캐릭터가 사뭇 다르다. 위험에 처한 시민에게 나타나 항상 도와주는 설정은 예전의 캐릭터와 다를 바 없지만, 핸콕은 술주정뱅이일 뿐만 아니라 예측할 수 없는 행동을 주저 없이 행하는 얼간이 .. 2023. 8. 5. 세미원의 황홀한 수련(睡蓮)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에 위치한 세미원(洗美苑)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 주변의 늪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질 정화 기능이 뛰어난 연꽃을 주로 식재한 생태정원이다. 세미원에서는 봄ㆍ여름ㆍ가을ㆍ겨울 각 계절에 맞게 정원을 꾸며 다채로운 행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지난 2023. 7. 1(토)부터 오는 8. 15(화)까지 ‘연꽃문화제’가 진행되고 있다. 수련(睡蓮)은 여러해살이 초본의 부엽성 수생식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하고, 늪이나 연못에서 6~7월에 개화하며 약용이나 관상용으로 많이 이용된다고 한다. 수련은 열대지방과 온대지방에 40여 종(種)이 있다고 하며, 흙탕물을 정화시키고 시든 꽃은 물속으로 모습을 감추고 열매도 물속에서 맺어 추한 모습을 결코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수련 꽃은 백.. 2023. 8. 4. 세미원의 우아한 연꽃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에 위치한 세미원(洗美苑)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한강 상류 두물머리 주변의 늪지에, 수질 정화 기능이 뛰어난 연꽃 등 수생식물을 주로 식재하여 꾸민 물과 연꽃의 정원이다. 세미원은 아름답고 우아한 연꽃뿐만 아니라 세한정(歲寒庭)ㆍ장독대 분수ㆍ페리기념 연못ㆍ사랑의 연못ㆍ 빅토리아 연못ㆍ열대수련정원ㆍ유상곡수 등 다양한 볼거리들도 많다. 세미원에서는 지난 2023. 7. 1(토)부터 오는 8. 15(화)까지 ‘연꽃문화제’가 진행되고 있으며, 개장시간도 09:00~20:00까지 연장 개장하고 있으나 최근 무더위 탓인지 세미원의 연꽃은 현재 대부분 떨어지고 연잎만 남아 있어 아쉬웠다. 세미원 관람요금은 일반 5,000원 어린이ㆍ청소년ㆍ경노 등은 3,000원이며, 주차장은 세미원 옆.. 2023. 8. 3. 물레방아가 있는 국립민속박물관 야외전시장 서울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한 국립민속박물관은 전통사회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 고유의 생활양식ㆍ풍속ㆍ민속유물 등 한국인의 삶의 모습과 문화를 상설전시와 기획전시로 운영하고 있다 국립박물관 야외전시장에는 정겨운 시골풍경을 연출하는 물레방아를 비롯하여 조선후기 중산층 가옥인 오촌댁(梧村宅), 조선조 효자에게 내린 표창인 효자정려(孝子旌閭) 효자각과 효자문, 그리고 문인석 등 다양한 석물들이 자리하고 있다. 오촌댁(梧村宅)은 조선후기 중산층 가옥형태를 잘 보여주는 가옥으로 상량문에 기록된 건립연대가 1848년에 지어진 것으로 알 수 있으며, 경북 영덕군 영해면 원구1리에 있던 것을 2010년에 기증 받아 옮긴 건물이라고 한다. 오촌댁 건물은 가옥의 중앙에 마당이 있는 'ㅁ'자 형태로 외부 출입은 뒤쪽을.. 2023. 8. 2. 이전 1 2 3 4 5 6 7 ··· 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