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시.공연161

부평역사박물관 특별기획전, ‘잃어버린 것을 찾아서 - 상실의 시대’ 인천시 부평구 삼산동에 위치한 부평역사박물관은 부평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고 지역주민에게 정주의식을 함양시키기 위해 지난 2007년 3월에 개관한 박물관이다. 부평역사박물관은 1ㆍ2층으로 나누어 농경문화실ㆍ부평역사실ㆍ특별전시실 등으로 전시공간이 구성되어 있으며, 특별전시실은 지역 예술인을 위한 기획전시 공간이라고 한다. 부평역사박물관 특별전시실에는 지난 2023. 10. 31(화)부터 오는 2024. 5. 26(일)까지 일제 강점기 조선인의 일상을 살펴보는 ‘잃어버린 것을 찾아서, 상실의 시대’ 특별기획전 전시를 하고 있다. 부평에는 인천육군조병창ㆍ산곡동 영단주택ㆍ미쓰비시 사택ㆍ철도 관사 등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의 흔적을 유독 많이 간직하고 있으며, 당시를 살았던 사람들의 하루를 아버지의 시대ㆍ어머니의 시.. 2024. 2. 21.
서울역사박물관 기증유물특별전, ‘그때 그 서울’ 서울 종로구 신문로에 위치한 서울역사박물관은 서울의 뿌리와 서울 사람의 생활, 현대 서울로의 변화를 보여주는 상설전시와 함께 서울의 역사ㆍ문화를 증언하는 다양한 기증유물이 전시되어 있는 박물관이다. 서울역사박물관에서는 기증자의 높은 뜻을 기리고 시민들에게 기증유물을 공개하고자 매년 기증유물특별전을 개최하고 있다고 한다. 서울역사박물관 기획전시실B에서는 지난 2023. 12. 15(금)부터 오는 2024. 3. 10(일)까지 임인식 기증유물특별전 ‘그때 그 서울’을 전시하고 있다. 서울역사박물관의 2023년도 기증유물특별전은 다큐멘터리 사진가이면서 6. 25전쟁 종군기자였던 임인식 작가의 사진전으로 서울의 거리와 분주한 시장, 고궁과 한강에서 여흥을 즐기는 사람들, 골목을 놀이터 삼아 뛰어노는 아이들 등 .. 2024. 1. 25.
‘MASK-가면의 일상(日常), 가면극의 이상(理想)’, 국립민속박물관 서울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한 국립민속박물관은 우리 민족 고유의 생활양식ㆍ풍속ㆍ 민속유물을 수집ㆍ보존하며 이를 전시하는 박물관으로, 상설전시와 기획전시로 나누어 전시하고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는 지난 2023. 10. 24(화)부터 오는 2024. 3. 3(일)까지 ‘MASK-가면의 일상(日常), 가면극의 이상(理想)’을 기획전시하고 있다. 이번 마스크(MASK) 특별전시는 한국ㆍ중국ㆍ일본 가면(극)에 담긴 삶의 바람과 희망을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말뚝이 가면ㆍ취발이 가면 등 200여 점을 전시하고 있다. 특별 전시 구성을 살펴보면, ‘가면의 일상(日常)’ 프롤로그를 시작으로 1부 다른 이야기, 2부 같은 마음, 3부 다양한 얼굴, 그리고 ‘가면극의 이상(理想)’ 에필로그로 구성되어 있다. .. 2024. 1. 18.
춘천 에티오피아 한국전 참전기념관 강원도 춘천시 근화동에 위치한 에티오피아 한국전 참전기념관은 에티오피아군의 6.25 전쟁 참전의 공로를 알리고 전쟁의 교훈을 되새기기 위해 그 중심이 되는 춘천에 설립한 기념관이다. 참전기념관은 1층에 에티오피아군의 참전 과정과 전투 상황에 대한 참전기념전시실ㆍ다목적실을 비롯하여 2층에는 에티오피아의 역사ㆍ문화ㆍ풍물을 보여주는 교류전시실ㆍ풍물전시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전기념전시실에는 6.25전쟁에 에티오피아군이 참전하게 된 배경과 전투상황 등을 이해할 수 있게 전시하고 있으며, 다목적실에는 에티오피아가 위치하고 있는 아프리카에 대한 일반적인 현황들이 전시되어 있다. 교류전시실에는 아디스아바바시와 춘천시와의 교류활동에 관한 사항들을 전시하고 있으며, 풍물전시실에는 에티오피아의 전통역사 및 문화ㆍ종교ㆍ.. 2024. 1. 15.
강원도립화목원의 산림박물관 강원도 춘천시 사농동에 위치한 강원특별자치도립화목원은 다양한 주제원과 가치있는 식물자원을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식물 자원과 건강한 산림문화공간을 제공하는 공립수목원이라고 한다. 강원도립화목원은 산림박물관을 비롯하여 사계식물원ㆍ암석원ㆍ토피어리원 등으로 구성되어있으며, 1,827종 8만5천여본과 환경부에 지정한 멸종위기 식물 20종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강원도립화목원 내에 자리한 산림박물관은 5개 전시실(제1전시실~제4전시실, 기획전시실)을 비롯하여 3D영상관ㆍ목재문화놀이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7,611점의 야생동물 박제 및 화석ㆍ곤충ㆍ수목표본ㆍ산림자료가 전시되어 있다. 산림박물관 각 전시실에서는 산림의 역사와 미래의 산림발전을 볼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전시운영을 통해 다양한 산림문화서비스를 .. 2024. 1. 9.
대한제국의 격조 높은 왕실유물, 국립고궁박물관 서울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한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시대와 대한제국기의 격조 높은 왕실유물을 전시하여 조선왕조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역사관을 정립하고자 2007년 11월에 전면 개관하였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상설전시와 특별전시로 전시하고 있으며, 상설전시는 황제국의 선포와 근대 국가로의 전환을 살펴볼 수 있는 대한제국실을 비롯하여 조선의 국왕실, 조선의 궁궐과 왕실의 생활실, 궁중서화실과 왕실의례실, 그리고 과학문화실이 있다. 국립고궁박물관 대한제국실은 황제국의 선포와 근대 국가로의 전환을 살펴볼 수 있는 공간이며, 전시실 로비에서는 순종 황제와 황후가 타던 자동차 어차(御車)를 전시하고 있다. 고종(高宗)은 대내외에 독립 국가로서의 위상을 알리고 대제국의 건설을 이룩하기 위하여 1897년에 연호(年號)를 광.. 2024. 1. 5.
나전 국화넝쿨무늬 상자와 대한제국 어차(御車) 전시, 국립고궁박물관 서울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한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의 문화와 역사의 이해를 돕는 박물관으로, 왕실 유물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보존과 복원을 통해 다양하고 시의성 있는 왕실 문화를 전시하고 있다. 국립고궁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는 지난 2023. 12. 7(목)부터 오는 2024. 1. 7(일)까지 ‘세밀가귀(細密可貴)의 방-나전 국화넝쿨무늬 상자’ 특별전시를 하고 있다. 나전칠기 국화넝쿨무늬 상자는 전형적인 고려 나전칠기 제작기법인 목심저피법(木心紵皮法)으로 만들어졌으며, 뚜껑 윗면과 몸체 각 네 면에 자개와 금속선으로 반복되는 국화꽃과 넝쿨무늬를 빽빽하고 섬세하게 장식하였다. 목심저피법은 나무판으로 전체적인 형태를 만들고 그 위에 베나 모시 등의 직물을 붙이고 작은 자개 조각과 금속선 .. 2024. 1. 4.
국립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실 여성 혼례복, 활옷 만개(滿開)’ 서울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한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왕조와 대한제국의 역사ㆍ문화의 정수 등 왕실문화의 다양한 문화유산 등이 전시되어 있는 국립박물관이다. 국립고궁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는 지난 2023. 9. 15(금)부터 오는 2023. 12. 13(수)까지 ‘조선왕실 여성 혼례복, 활옷 만개(滿開)’ 특별전시를 하고 있다. 활옷은 조선의 공주ㆍ옹주가 혼례에 갖추어 입었던 의례복으로, 진한 붉은 비단 위에 자수 등 장식이 더해져 우리 고유 복식의 전통을 이은 긴 겉옷이며 치마ㆍ저고리 등 여러 받침옷 위에 착용해 혼례복을 완성하는 역할을 한다. 조선왕실의 울타리를 넘어 점차 민간으로 퍼진 활옷에는 이제 갓 부부가 되는 모든 인연의 새로운 시작을 응원하고 축원하는 그들의 삶이 활짝 피어나길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 2023. 12. 8.
‘물의 왕:동학과 화엄의 두물머리’ 전시, 자하미술관 서울 종로구 부암동에 위치한 자하미술관은 도심에서 멀지 않으면서도 북악산과 인왕산이 한 눈에 들어오는 곳에 위치하고 있어 ‘서울에서 가장 높은 미술관’이라고도 한다. 자하미술관은 자연이 살아 숨 쉬는 아름다운 건축물과 더불어 1층과 2층 전시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학적ㆍ인문학적 바탕을 토대로 한 같은 시대의 신진ㆍ중진 작가들의 기획전을 만나볼 수 있는 미술관이다. 자하미술관에서는 지난 2023. 11. 3(금)부터 오는 11. 28(화)까지 ‘물의 왕:동학과 화엄의 두물머리’ 주제로 참여작가 고현정ㆍ권근 등 15명의 작품 31점을 전시를 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살아생전 김지하 시인과의 인터뷰에 기초한 ‘수왕사(水王史)’의 역사적 증명을 목표로 한 연구 프로젝트에서 출발한 것이라고 한다. ‘물의 왕:동.. 2023. 11. 20.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 '이부자 기증 특별전, 매듭’ 서울 중구 세종로에 위치한 국립민속박물관은 우리 민족 고유의 생활양식ㆍ풍속ㆍ 민속유물을 수집ㆍ보존하며 이를 전시하는 박물관으로, 상설전시와 기획전시로 나누어 전시하고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2에서는 지난 2023. 9. 5(화)부터 2023. 11. 6(월)까지 매듭공예가 이부자 기증자료로 보는 아름다운 매듭 세계 ‘이부자 기증 특별전, 매듭’을 전시하였다. 발은 창문에 드리워 햇빛을 가릴 때 사용하고, 발을 걷어둘 때는 말아서 발걸이의 고리 모양부분에 건다. 발걸이를 장식하는 매듭 유소는 물론 모시발도 할머니와 어머니가 입었던 모시치마저고리 옷감을 재사용하였다고 한다. 이번 전시는 국가무형문화재 매듭장 김희진의 제자이면서 전통 매듭의 기초 위에 자신만의 색깔을 담은 이부자의 기증 자료들을 제1부.. 2023. 11. 7.
특산물 장터와 문화행사 가득한 ‘마포나루 새우젓 축제’ 서울 마포구 성산동에 위치한 서울월드컵공원 평화광장 일원에서는 지난 2023. 10. 20(금)부터 10. 22(일)까지 ‘제16회 마포나루 새우젓축제’가 있었다. 마포나루는 조선후기 서울의 중요한 시장 중 하나인 난전(亂廛) 시장 칠패(七牌)와 함께 전국의 유명한 새우젓 생산지였으며, 마포나루 새우젓 축제는 축제를 통해 마포의 전통을 재현하는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한다. 비보이 공연 이번 마포나루 새우젓 축제는 문화행사ㆍ체험행사ㆍ판매행사 등 다양한 행사가 3일간 계속되었으며, 가을을 맞아 수많은 사람들로 북적거리는 축제였다. 지난 2023. 10. 22(일)의 특설무대에서는 비보이 공연을 비롯하여 초대가수 공연, 민속음악 산조(散調) 춤, 마포문화예술단의 경기민요 장기타령, 그리고 구민참여 무대공.. 2023. 10. 24.
장안문 앞 농악놀이, 수원화성문화제 정조대왕 능행차 경기도 수원시 장안동에 위치한 장안문(長安門)을 비롯하여 화성행궁 광장ㆍ장안공원 등 수원화성 일원에서는 지난 2023. 10. 7(토)부터 2023. 10. 9(월)까지 ‘제60회 수원화성문화제’ 행사가 있었다. 수원화성문화제는 매년 펼쳐지는 역사 깊은 문화관광축제이며, ‘수원동락(수원시민이 만들고 모두가 즐기는 축제)’을 주제로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시민중심의 축제라고 한다. 장안문 앞 농악놀이, 수원화성문화제 정조대왕 능행차 수원화성문화제 일환으로 지난 2023. 10. 9(월)에는 노송지대에서 출발하여 수원종합운동장~장안문~화성행궁으로 이어지는 정조대왕 능행차 공동재현이 있었다. 정조대왕 능행차 행렬이 지나는 장안문 앞에서는 수문장에게 왕의 도착을 알리는 파발마 군령과 왕을 환영하는 군문의식을 비.. 2023. 10.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