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북46

중원문화권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는 충주박물관 충북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에 위치한 충주박물관은 중원문화권 중심에 자리 잡고 있으며, 시민들이 기증한 유물을 모아 1986년 유물전시관으로 시작하여 1990년에 종합박물관으로 승격한 후 중앙탑 주변으로 이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남한강과 사적공원 내에 위치한 박물관은 제1관ㆍ제2관ㆍ야외전시관이 있으며, 제1관은 역사1ㆍ2실과 민속1ㆍ2실로 구분하여 불교미술품과 민속품 위주로 전시하고 있으며, 제2관은 선사삼국실ㆍ고려조선실ㆍ충주항쟁실ㆍ충주 명현실 등으로 구분하여 전시하고 있다. 백자주병 청동판 불상(고려시대) 청자정병 역사1실에는 중원문화의 중심지 충주를 대표할 수 있는 자료들을 모아 전시하고 있으며, 선림보훈(보물 제700-2호)을 비롯하여 충주 숭선사지(崇善寺址)와 호암동 유적출토 유물 등 고려시.. 2019. 2. 7.
탄금대(彈琴臺)에 자리한 대흥사(大興寺) 충북 충주시 칠금동에 위치한 대흥사(大興寺)는 악성(樂聖) 우륵(于勒)이 가야금을 탔다는 탄금대(彈琴臺) 북쪽계곡의 끝 부분에 강이 내려다보이는 곳에 위치하고 있는 대한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이다. 전설에 의하면, 이곳 대흥사는 신라 진흥왕 때 창건주 미상의 용흥사가 있었던 곳으로, 거란족의 침략을 당하여 사찰이 소실되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충주 대흥사는 1956년에 승려 오법우가 옛 용흥사 터에 대흥사를 창건하였다고 하며, 1968년의 화재로 인하여 대웅전이 소실되었으며 1969년에 대웅전을 재건하여 현재에 이른다고 한다. 경내에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인 대웅전을 비롯하여 약사전(藥師殿)ㆍ산신각(山神閣)ㆍ요사(寮舍) 등의 건물과 석등ㆍ종각ㆍ9층 석탑ㆍ석비ㆍ승탑 등의 구조물이 자리하고 .. 2019. 2. 6.
애환(哀歡)의 역사가 깃든 탄금대(彈琴臺) 충북 충주시 칠금동에 위치한 탄금대(彈琴臺)는 신라의 악성(樂聖) 우륵(于勒)이 제자들을 가르치며 가야금을 타던 곳이며, 임진왜란 당시에 도순변사(都巡邊使) 신립(申砬)이 자결한 전적지(戰跡地)이기도 하다. 탄금대 공원 내에는 탄금정(彈琴亭)을 비롯하여 신립장군 순절비ㆍ충혼탑ㆍ우륵선생 추모비ㆍ조웅장군기적비(趙熊將軍記跡碑)ㆍ 충주문화원ㆍ야외음악당ㆍ감자꽃노래비ㆍ궁도장ㆍ조각공원 등이 조성되어 있다. 탄금대(彈琴臺)라는 이름은 우륵이 금(琴)을 탄 곳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우륵이 산상대석(山上臺石)에 앉아 가야금을 타니 그 미묘한 소리에 사람들이 모여 마을을 이루었다고 한다. 탄금대는 본래 대문산(大門山)이라 부르던 작은 산으로, 밑으로 남한강과 접하면서도 기암절벽과 더불어 송림이 우거진 경치 좋은 곳이.. 2019. 2. 4.
충주 문화유적지 사적공원, 중앙탑공원(中央塔公園) 충북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의 남한강변에 위치한 중앙탑공원(中央塔公園)은 넓은 자연 휴식공간과 다양한 조각 작품이 있는 잔디밭, 그리고 어린이 학습체험 장소로도 활용되는 문화유적지 사적공원이라 한다. 중앙탑공원 내에는 국보 제6호인 통일신라시대 7층 석탑(중앙탑)을 비롯하여 충주박물관과 야외박물관ㆍ야외음악당ㆍ음악분수 등이 조성되어 있으며, 파고라ㆍ각종 조형물ㆍ초가집ㆍ산책로 등이 있어서 충주 시민들의 쉼터라고 한다. 바다의 하늘 (김석우 작) 꿈 (김영대 작) 공원 내에 전시되어 있는 조각 작품들은 ‘문화재와 호반예술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국내 조각가들의 작품 26점을 전시하고 있으며, 충북 최초의 야외 조각공원이라 한다. 중앙탑공원은 인근의 충주 고구려비와 조동리 선사유적박물관과 함께 충주시 문화유적지.. 2019. 2. 1.
중원문화를 대표하는 중앙탑, 충주 탑평리 7층석탑(塔坪里 七層石塔) 충북 충주시 가금면 탑평리에 위치한 탑평리 7층석탑(塔坪里 七層石塔)은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우리나라 중앙부에 위치하였다 하여 중앙탑이라 부르기도 한다. 통일신라 시대에 세워진 석탑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다고 하며, 기단에서의 기둥조각 배치ㆍ탑신의 몸돌ㆍ지붕돌의 짜임수법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 8세기경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충주 지역은 통일신라시대 중원경(中原京)의 치지(治地)로 알려져 있으며, 이 석탑은 통일신라시대 충주의 역사적 위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물로 평가된다고 한다. 석탑이 대형으로 만들어졌지만 우수한 치석과 결구 수법을 보이고 있어 제작 기술의 측면에서도 손색이 없는 석탑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국보 제6호이다. 탑의 높이는 14.5m이며 2단의 기단 위에 7층의.. 2019. 1. 31.
조선 성리학의 중심지, 괴산 송시열유적(槐山 宋時烈 遺蹟)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리에 위치한 괴산 송시열유적(槐山 宋時烈遺蹟)은 화양서원(華陽書院)과 만동묘(萬東廟)를 비롯하여 화양계곡 주변에 송시열에 관련된 다양한 유적들이 있는 곳이다. 이곳에는 명나라의 신종과 의종의 위패를 모시는 사당인 만동묘(萬東廟)와 성공문(星拱門)ㆍ추양문(秋陽門)을 비롯하여 제관이 거처하던 풍천재(風泉齋), 그리고 증반청(蒸飯廳)ㆍ존사청(尊祀廳)ㆍ송자사(宋子祠)ㆍ승삼문((承三門) 등의 건물이 있다. 화양서원(華陽書院)은 송시열(宋時烈)의 위패를 모시고 제향하기 위해 건립되었던 서원으로, 1696년(숙종22년)에 사액서원(賜額書院)이 되었으나 대원군의 서원철폐에 의해 철거되고 터만 남아있던 것을 2003년에 복원하였다고 한다.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은 조선후기의 성리학자로 효.. 2019. 1. 24.
규모는 작지만 역사가 깊은 채운암(彩雲庵) 충북 괴산군 청천면 화양리에 위치한 채운암(彩雲庵)은 1277년(고려 충열왕 3년)에 도일선사(道一禪師)가 창건하고 수도암이라 하였다가, 1619년(광해군 2년)에 혜식선사(慧識禪師)가 중창하고 채운암으로 개칭하였다고 한다. 원래 현 위치에는 1653년(효종 4년)에 혜일선사 또는 우암 송시열이 지은 암자인 욱장사(燠章寺)가 있었는데 (채운암 현지 안내판에는 욱장사라 기록되어있지만 인터넷정보에서는 대부분 환장사(煥章寺)로 설명하고 있다) 구한말 왜병의 침입으로 대부분 불타 없어지고, 계곡 건너편에 있던 채운암은 1948년에는 대홍수로 매몰되자 그 요사채 일부를 이 곳에 옮겨 채운암과 합쳐 증축하고 그 이름을 채운암으로 하였다고 전해진다. 대웅전(大雄殿)은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다포양식의 팔작지붕 .. 2019. 1. 23.
기암괴석의 바위들이 즐비한 화양구곡(華陽九曲) 충북 괴산군 청천면 화양리에 위치한 화양구곡(華陽九曲)은 아홉 개의 골짜기가 있는 계곡으로, 경천벽(擎天壁)ㆍ운영담(雲影潭)ㆍ읍궁암(泣弓巖)ㆍ첨성대(瞻星臺)ㆍ능운대(凌雲臺)ㆍ와룡암(臥龍巖)ㆍ학소대(鶴巢臺) 등 기암괴석(奇巖怪石)의 독특한 바위들이 즐비하다. 화양구곡은 속리산 국립공원을 흐르는 화양계곡의 3㎞ 구간에 걸쳐 하류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화양구곡(華陽九曲)이라는 이름은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이 이곳에 은거하면서 중국의 무이구곡(武夷九曲)을 본떠 9개의 계곡에 각각 이름을 붙였다고 전해진다. 경천벽(擎天壁)은 기암괴석이 가파르게 솟아 있어 그 형세가 마치 하늘을 떠받들고 있는듯하여 경천벽이라 불린다고 한다. 이 바위에는 화양동문(華陽洞門)이라는 송시열의 글씨가 새겨져 있다고 하나 계곡을 건너.. 2019. 1. 22.
화양구곡의 절경, 암서재(巖棲齋)와 금사담(金沙潭) 충북 괴산군 청천면 화양리의 화양구곡(華陽九曲) 안에 위치하고 있는 암서재(巖棲齋)는 조선 후기(1666년)의 건물로, 우암 송시열(宋時烈)이 만년에 벼슬을 그만둔 후 이 곳 화양동에 은거하면서 학문을 닦고 후학들을 가르치던 서실(書室)이다. 암서재(巖棲齋)는 화양계곡의 절벽 암반 위에 정면 4칸 측면 2칸의 건물이며, 암서재 앞에는 1986년에 보수한 일각문이 세워져 있다. 주위에는 노송이 울창하고 밑으로는 맑은 물이 감돌며 층암절벽이 더할 수 없는 풍경을 자아낸다. 이 건물의 구조는 간결 소박한 도리집 계통이며 1벌대로 쌓은 자연석 기단 위에 덤벙 주초(柱礎)를 놓고 네모기둥을 세웠으며, 정면 4칸 중 좌측 1칸에 우물마루를 깔은 대청을 만들고 이어서 2칸에는 앞에 툇마루가 달린 큰 온돌방을 드렸으며.. 2019. 1. 21.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홍범식 고택(洪範植 古宅) 충북 괴산군 괴산읍 동부리에 위치한 홍범식 고택(洪範植 古宅)은 1910년 경술국치(庚戌國恥)에 항거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은 순국열사 일완(一阮) 홍범식과 역사소설 임꺽정(林巨正)의 작가 벽초(碧初) 홍명희(洪命憙)의 생가이다. 이 가옥은 1730년경에 건축된 것으로 추정되며 좌우대칭의 평면구조를 갖는 중부지방 살림집의 특징적인 건축양식을 보이고 있으며, 중문(中門)을 사이에 두고 동쪽에는 안채 서쪽에는 사랑채를 좌우로 배치하고 사랑채 앞에 행랑채를 두었다. 정남향으로 지어진 건물의 안채 구조는 전체적으로 정면 5칸 측면 6칸의 ‘ㄷ’자형 가옥으로, 중앙에 큰 대청을 두고 그 좌우에 3칸씩의 방과 부엌을 두고 오른쪽에는 3칸 마루를 서쪽에는 2칸 툇마루를 두었다. 안채는 ‘ㅁ’자형으로 ‘一’자형 광채를 .. 2019.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