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46 황희선생 유적지의 반구정(伴鷗亭)과 앙지대(仰止臺)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리에 위치한 황희선생 유적지는 조선 초기의 재상이며 청백리인 방촌(厖村) 황희(黃喜) 선생의 얼이 깃든 곳으로, 반구정ㆍ앙지대 등의 정자와 방촌영당ㆍ월헌사ㆍ방촌기념관 등이 자리하고 있다. 반구정(伴鷗亭)은 임진강이 바라보이는 언덕에 자리한 정자로, 예로부터 이곳에는 갈매기가 많이 모여 들었다고 하며 황희 선생이 관직에서 물러나 여생을 보내던 곳이라고 한다. 반구정(伴鷗亭)이라는 이름은 갈매기를 벗 삼는 정자라는 의미로 지었다고 하며, 반구정은 낙하진(洛河津)에 인접해 있어 원래는 낙하정(洛河停)이라고도 하였다고 한다. 반구정이 자리한 곳은 임진강이 내려다보이는 기암절벽과 더불어 푸른 물이 아래로 굽이쳐 흐르고 송림이 울창하여 아름다운 풍경을 자아내었다고 한다. 황희 선생이 돌아가.. 2022. 4. 6. 나무숲을 따라 숲속 산책을 즐길 수 있는 율곡수목원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율곡리에 위치한 율곡수목원은 다양한 산림문화와 휴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성한 수목원으로, 조림과 숲 가꾸기 등 산림사업을 통해 울창한 산림을 보유하고 있다. 율곡수목원은 사계정원ㆍ침엽수원ㆍ암석원ㆍ유실수원ㆍ사임당 치유의 숲(구절초 숲)ㆍ율곡정원ㆍ단풍나무원ㆍ유리온실 등의 전시원과 관찰데크ㆍ야외무대 등 편익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파주시 파평면 율곡리(栗谷里)는 밤나무가 많다고 붙여진 지명이며, 율곡수목원 이름은 율곡 이이(栗谷 李珥) 선생의 본가 터가 있었던 곳이므로 율곡선생의 호를 따서 지은 것이고 한다. 율곡수목원에는 수목원을 끼고 산 능선을 한 바퀴 도는 5㎞ 정도의 수목원 둘레길(도토리길)이 있으며, 초록의 나무숲을 따라 숲속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율곡수목.. 2021. 9. 24. [한장의 사진] 평화누리공원 바람의 언덕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마정리에 위치한 임진각(臨津閣)에는 2005년의 세계평화축전을 계기로 조성한 평화누리공원이 있다. 평화누리공원 바람의 언덕에는 형형색색의 바람개비를 이용하여 바람의 노래를 표현한 바람개비와 독특한 형태의 ‘통일부르기’ 조형물, 그리고 갖가지 수초들이 자라고 있는 연못이 있다. 2021. 8. 15. 봄비 내리는 날의 파주 삼릉(坡州 三陵)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봉일천리에 자리한 파주 삼릉(坡州 三陵)은 공릉(恭陵)ㆍ순릉(順陵)ㆍ영릉(永陵)의 3능이 있는 곳으로, 왕릉군의 앞머리를 따서 공순영릉(恭順永陵)으로도 불린다. 공릉(恭陵)의 장순왕후(章順王后)와 순릉(順陵)의 공혜왕후(恭惠王后)는 모두 한명회(韓明澮)의 딸이며, 왕실로 출가한 두 사람이 함께 생활하지는 못하였으며 단명하였다. 공릉(恭陵)은 1472년(성종3년)에 왕후로 추존된 조선 예종(睿宗)의 원비 장순왕후(章順王后) 한씨(韓氏)의 능으로, 처음에는 왕후릉이 아닌 세자빈묘로 조성되었기 때문에 소박하며, 병풍석ㆍ난간ㆍ망주석ㆍ무인석(武人石) 등이 없다. 공릉은 아래쪽의 홍살문에서 정자각에 이르는 참도(參道)가 조선 왕릉 가운데 유일하게 ㄱ자로 꺾여 있는 것이 특징이며, 지형조건 때문.. 2021. 5. 18. [한장의 사진] 통일염원 경기도 파주 임진각(臨津閣)은 북한이 고향인 실향민들에게는 특별한 의미가 있는 장소가 아닐까 생각한다. 평화누리공원 바람의 언덕에 우둑 솟아있는 ‘통일부르기’ 조형물은 통일을 향한 나지막하지만 강렬한 호소를 형상화한 것이라고 한다. 2021. 2. 21. 독특하고 소소한 볼거리가 많은 헤이리예술마을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법흥리에 자리한 헤이리예술마을은 1998년에 미술인ㆍ음악가ㆍ작가ㆍ건축가 등의 예술인들이 참여하여, 집과 미술관ㆍ박물관ㆍ공연장 등을 마련한 문화예술공간이라고 한다. 마을 이름은 파주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전래 농요(農謠) ‘헤이리 소리’에서 따온 것이라 하며, 마을 한가운데는 자연지형의 갈대늪지와 숲과 냇가, 그리고 다섯 개의 작은 다리가 놓아져 있다. 헤이리마을은 산과 산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다양하고 이색적인 건축물과 독특한 조형물 등이 한데 어우러져 있어 산책하기도 좋은 곳이기도 하다. 마을 곳곳에는 지형을 그대로 살려 비스듬히 세워진 건물이나 사각형의 건물이 아닌 비정형의 건물 등 각각의 개성미가 돋보이는 건물들로 작업실ㆍ미술관ㆍ박물관ㆍ갤러리 등이 꾸며져 있다. 헤이리예술마을은.. 2021. 1. 20. 임진강을 굽어볼 수 있는 화석정(花石亭)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율곡리에 위치한 화석정(花石亭)은 임진강(臨津江)이 내려다보이는 곳에 자리한 조선시대 양식의 정자(亭子)로, 이이(李珥)가 제자들과 학문을 논하며 여생을 보낸 곳이라 한다. 화석정(花石亭)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초익공(初翼工)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로, 원래 고려말기의 문신 길재(吉再)의 유지(遺址)였던 자리였으나 1478년(성종 9년)에 이숙함(李淑瑊)이 화석정이라 명명하였다고 한다. 화석정은 이이(李珥)가 다시 중수하여 여가가 날 때마다 이곳을 찾았고, 퇴관(退官) 후에는 이곳에서 제자들과 함께 학문을 논하며 여생을 보냈다고 한다. 그 후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673년(현종 14년)에 중건하였으나 6.25전쟁 때 다시 소실 된 것을 1966년 파주 유림들이 성금.. 2021. 1. 15. 율곡 이이(栗谷 李珥)의 가족묘가 있는 이이 유적지(李珥 遺蹟地)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동문리에 위치한 이이 유적지(李珥 遺蹟地)는 조선 중기의 대학자이며 경세가(經世家)인 율곡 이이(栗谷 李珥)의 유적지로, 가족 묘역과 함께 위패를 모신 자운서원이 있는 곳이다. 유적지 내에는 드넓은 잔디광장ㆍ연못 등과 함께 이이의 일대기를 기록한 이이선생 신도비(李珥先生 神道碑), 이이와 신사임당의 동상, 그리고 이이의 유품 및 일대기를 전시한 율곡기념관 등이 있다. 율곡 이이(栗谷 李珥)는 조선 중기의 대표적 학자이며 경세가로, 현실적인 문제해결을 중시하는 실천적 학문으로 이황(李滉)과 함께 쌍벽을 이루며 기호학파(畿湖學派)를 형성 주도하였다. 신사임당(申師任堂)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여류 예술가로 일찍부터 예술가의 재능을 보였으며, 그의 주된 그림소재는 풀벌레ㆍ화조ㆍ매화ㆍ난초ㆍ산수.. 2021. 1. 14. 이이(李珥)의 위패를 모신 사액서원(賜額書院), 자운서원(紫雲書院)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동문리에 위치한 자운서원(紫雲書院)은 1615년(광해군 7년)에 이이(李珥)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신 사액서원(賜額書院)으로 이이 유적지(李珥 遺蹟地) 내에 자리하고 있다. 자운서원은 1650년(효종 1년)에 효종의 친필로 자운(紫雲)이라고 사액되었으며, 그 뒤 김장생(金長生)과 박세채(朴世采)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고 한다. 자운서원은 1868년(고종 5년)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며, 위패는 매안(埋安)하고 서원 터에 설단(設壇)하여 향사를 지내오다가 1969년에 지방유림의 기금과 국비보조로 복원하고 1975년과 1976년에 걸쳐 보수하였다고 한다. 서원 내의 건물로는 이이(李珥)를 중앙에 봉안하고 좌우에 .. 2021. 1. 12. 화사한 붉은토끼풀과 꼬리조팝나무꽃 경기도 파주시 와동동 일원에 위치한 운정호수공원은 원래 있던 저수지ㆍ야산ㆍ언덕 등을 크게 훼손하지 않고 자연 친화적으로 조성한 공원이라 한다. 호수공원 내에는 다양한 시설과 인공 조형물 등도 많지만 자연 그대로에서 서식하는 식물과 조경으로 가꾸어진 식물 등이 어울리며 여름날의 싱그러움을 더해주는 것 같다. 붉은토끼풀은 전국 각지의 풀밭에서 자생하는 콩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으로, 홍차축초(紅車軸草)ㆍ홍삼엽(紅三葉)ㆍ금화채(金花菜)라고도 하며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이다. 꽃은 6~7월에 엷은 홍색 또는 홍자색으로 피며 꽃차례에 화경이 없이 나비 모양의 작은 꽃이 잎겨드랑이에 둥글게 모여 달리며, 꽃받침은 통 모양으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가늘고 뾰족하며 털이 많다. 붉은토끼풀은 토끼풀과 비슷하.. 2020. 8. 13. 황금색 여름꽃, 금불초(金佛草)와 서양벌노랑이 경기도 파주시 와동동 일원에 위치한 운정호수공원은 운정 신도시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본래 있던 저수지ㆍ야산ㆍ유적지ㆍ언덕 등을 크게 훼손하지 않고 자연 친화적 공원으로 조성하였다고 한다. 호수공원 내에는 황조롱이 조형물ㆍ공릉폭포ㆍ에코토리움ㆍ유비파크ㆍ테라스가든ㆍ아쿠아프라자 등의 시설물과 황금색 노란 금불초(金佛草)와 서양벌노랑이 등 다양한 식물과 꽃들도 즐비하다. 금불초(金佛草)는 전국의 산과 들에 햇볕이 잘 들고 물기가 많은 곳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꽃꽂이ㆍ수변녹화ㆍ분화 등 여러 용도로 이용되는 꽃이다. 금불초(金佛草)라는 이름은 꽃이 황금빛처럼 노랗다고 하여 붙여졌다고 하며, 금비초(金沸草)ㆍ하국(夏菊)이라고도 한다. 금불초 꽃은 7~9월에 노란색의 두상화가 줄기 끝과 .. 2020. 8. 12. 자연 친화적 공원으로 조성된 운정호수공원 경기도 파주시 와동동 일원에 위치한 운정호수공원은 신도시 개발 이전에 있던 작은 규모의 저수지와 신도시를 따라 흐르는 소리천 등을 연계하여 규모가 큰 시설로 조성한 공원이라 한다. 운정호수공원은 운정 신도시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본래 있던 용정 저수지ㆍ야산ㆍ유적지ㆍ언덕 등을 크게 훼손하지 않고 자연 친화적 공원으로 조성하였다고 한다. 운정호수공원은 운정 신도시의 다른 공원들과 육교 등을 통해 모두 연결되어 신도시에 조성된 공원들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도시 곳곳을 흐르는 인공 실개천을 포함한 물순환시스템의 핵심 역할을 맡고 있으며, 평상시에는 친수 도시공원으로 이용되고 장마철에는 홍수를 조절하는 기능도 수행한다고 한다. 운정호수공원의 명칭은 예전에 가온호수ㆍ소치호수ㆍ중앙호수 등.. 2020. 8. 11.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