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경기도579 폭포수가 말라버린 황량한 재인폭포(才人瀑布)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부곡리에 위치한 재인폭포(才人瀑布)는 한탄강의 가장 아름다운 지형 중 하나로, 북쪽에 있는 보개산 지장봉에서 흘러 내려 온 물이 현무암 주상절리 절벽으로 쏟아지는 길이 18m의 장대한 폭포이다. 지난 주말 한차례 폭우로 인해 시원하게 쏟아지는 폭포수를 즐기기 위해 오랜만에 재인폭포를 찾았지만, 폭포수가 말라버린 황량한 폭포를 보며 깜짝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동안 봄가뭄 등으로 인한 자연재해인지 아니면 한탄강 지질공원 개발에 따른 인재(人災)인지는 모르겠지만, 웬만한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폭포수가 물 한 방울 없이 말라버린 것을 보니 실망감과 함께 경악을 금할 수가 없다. 불과 2년 전만 해도 이처럼 힘차게 폭포수가 시원스레 쏟아지며 아름답고 장대한 장관을 연출한 재인폭포였다. 2019. 6. 19. 자연 호수와 인공 호수의 만남, 일산호수공원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에 위치한 일산호수공원은 공원면적 1,034천㎡ 호수면적 300천㎡로 자연 그대로의 호수에 인공호수를 조성하여 자연생태계를 재연한 우리나라 최대의 인공호수라 한다. 호수공원 내에는 다양한 야생화와 20만여 그루의 나무들이 식재되어 있으며, 호수 안에는 어류ㆍ수서곤충류ㆍ수생식물들의 생태환경이 재현ㆍ정착되어 가고 있으며, 2급수에 사는 민물새우와 작은 수서곤충 등 맑은 수질에 서식이 가능한 다양한 어종들이 서식하고 있다고 한다. 호수가 주변을 따라 S자 코스와 일직선 코스의 4.7㎞ 자전거 전용도로와 산책로를 비롯하여 노래하는 분수대ㆍ잔디광장ㆍ수변광장ㆍ자연학습원ㆍ야외무대ㆍ야외 식물원ㆍ인공폭포 등 다양한 휴식공간과 볼거리를 갖추고 있다. 봄에는 특히 매년 세계꽃박람회를 개최하고 있.. 2019. 6. 5. 고려시대 해동명장, 윤관장군의 묘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분수리에 위치한 윤관장군(尹瓘將軍) 묘역은 고려 문종 때 급제하여 1107년에 여진(女眞)정벌에 큰 공을 세운 고려의 해동명장 윤관장군의 묘가 있는 곳이다. 윤관장군의 무덤이 어디에 있는지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1747년(영조 23년)에 후손들이 지금의 자리임을 주장하여 1764년에 공인되었다고 한다. 윤관장군은 삼한공신 신달(莘達)의 고손이며 검교소부소감(檢校小府少監)을 지낸 윤집형(尹執衡)의 아들이다. 윤관장군은 1104년(숙종 9년)에 동북면 행영 병마도통(東北面 行營 兵馬都統)이 되어 왕명을 받아 세력이 커진 여진 정벌에 나섰으나, 강력한 여진의 기병(騎兵)에 패하고 말았다. 이후 장군은 1107년(예종2년)에 대원수(大元帥)가 되어 특수부대인 별무반(別武班)을 17만.. 2019. 5. 26. 꽃들의 천국, 아침고요수목원 경기도 가평군 상면 행현리에 위치한 아침고요수목원은 원예 미학적인 관점으로 한국의 미를 최대한 반영하여 조성한 수목원으로, 시가 있는 산책로ㆍ아침고요산책길ㆍ아침계곡ㆍ탑골ㆍ천년향 등의 수려한 자연경관을 감상하며 산책하기도 좋은 수목원이다. 아침고요수목원은 현재 총 10만평의 면적에 약 5,000여 종의 식물을 관람할 수 있고, 하경정원ㆍ에덴정원ㆍ아침광장ㆍ하늘길ㆍ분재정원ㆍ한국정원 등 22여개의 특색 있는 주제정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봄에는 야생전시회ㆍ봄나들이 봄꽃축제 등이 열리고, 여름에는 산수국축제ㆍ무궁화축제가 있으며, 가을에는 들국화전시회ㆍ국화전시회가 그윽한 꽃향기를 전하며, 그리고 겨울에는 오색별빛정원전 등이 열린다고 한다. 아침고요수목원의 개장시간은 연중무휴에 08:30~20:00이며, 입장료는 어른.. 2019. 5. 24. 아침고요수목원의 서화연 연못과 대가집 한옥 경기도 가평군 상면 임초리에 위치한 아침고요수목원은 계절별ㆍ테마별로 다양하고 아름다운 정원의 모습을 보여주는 수목원으로, 가족나들이나 연인들의 데이트장소로 인기가 높은 곳이다. 테마별 야외정원에는 양반집 한옥과 전통연못을 재현해 놓은 한국정원을 비롯하여 허브정원ㆍ분재정원ㆍ 하경정원ㆍ하늘정원ㆍ달빛정원 등 화사한 꽃향기와 함께 다채로운 풍경을 만날 수 있다. 아침고요수목원의 정상 언덕에 자리한 한국정원에는 부드러운 곡선의 우리나라 전통한옥 기와집인 양반집 대가(大家)와 아름답고 다양한 꽃들로 장식된 서화연(曙華淵) 연못과 정자가 자리하고 있다. 서화연은 궁중정원에 연못과 섬을 만들었던 전통 연못처럼, 자유곡선형의 연못과 작은 섬 그리고 우아한 지붕의 곡선이 멋진 풍경을 자아내는 정자 등 한국적인 선의 아름다.. 2019. 5. 23. 언덕위에 쌍석불(雙石佛)이 있는 용암사(龍岩寺)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 장지산 기슭에 아담하게 자리한 용암사(龍岩寺)는 11세기 고려 선종(宣宗)때 절 뒤 언덕위에 있는 마애이불입상(磨崖二佛立像)을 완성한 후 그 밑에 절을 창건하였다고 전해진다. 용암사는 쌍석불사(雙石佛寺)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절 위의 천연바위에 새겨진 두개의 마애석불입상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용암사는 전란으로 소실된 건물을 1936년에 옛 절터 위에 새롭게 중창하였으나 1997년 화재로 대웅전이 다시 소실된 것을 1979년에 대웅보전을 복원하고, 혜음사ㆍ대승사로 불리던 사명(寺名)을 지금의 용암사로 바꾸었다고 한다. 경내에는 현재 정면 3칸 측면 2칸의 대웅보전과 미륵전ㆍ삼성각ㆍ범종각ㆍ요사채 등이 있으며, 쌍석불 옆에 있던 동자불상과 칠층석탑은 1987년에 삼성각(.. 2019. 5. 16. 토속적인 느낌의 불상(佛像), 용미리 마애이불입상(龍尾里磨崖二佛立像)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에 소재한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坡州 龍尾里 磨崖二佛立像)은 거대한 천연 바위벽을 이용하여 몸체를 새기고 그 위에 목ㆍ머리ㆍ갓을 따로 얹어놓은 2구의 토속적인 느낌의 불상(佛像)이다. 석불 입상은 장지산(長芝山) 자락의 거대한 자연석을 그대로 이용하였으므로 위압감이 느껴지기도 하고, 바위의 제약으로 신체비율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면도 있다. 왼쪽의 둥근 갓을 쓴 원립불상(圓苙佛像)은 남상(男像)으로 사각형의 얼굴에 자연스러운 미소를 띠고 있어 안동 마애석불과 비슷하다고 하며, 두 손으로 연꽃 가지 같은 것을 잡고 원형의 갓을 쓰고 있다. 원립불(圓苙佛)은 당당한 가슴을 드러내고 있지만 바위의 제약으로 목과 가슴이 혼연일체 되지 못하고 있으며, 몸체는 법의로 감싸고 있으며 .. 2019. 5. 15. 인조(仁祖)와 인열왕후의 능, 파주 장릉(長陵)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에 위치한 장릉(長陵)은 조선 제16대 임금인 인조(仁祖)와 왕비인 인열왕후 한씨(仁烈王后 韓氏)의 능(陵)이다. 장릉은 왕과 왕비가 합장한 무덤 형태로 원래는 파주 운천리에 있었으나, 사갈(蛇蝎, 뱀과 전갈)이 장릉 석물 틈에 집을 짓고 있으므로 1731년에 현재의 위치로 천장(遷葬)하였다고 한다. 능침(陵寢)까지는 출입이 제한되어 올라갈 수는 없었지만 장릉의 석물들은 합장으로 인해 척수(尺數)가 맞지 않게 된 병풍석ㆍ난간석ㆍ상석만 천장 당시 새로 설치하였고, 다른 석물은 구 장릉의 석물을 그대로 옮겨오는 등 옛 능에 설치되었던 석물과 새로 설치한 석물이 혼재한 상태라고 한다. 장릉(長陵)은 그동안 비공개 문화재였으나 2018년 9월부터 개방하였으며, 조선왕릉의 장릉은 파주 .. 2019. 5. 14. 다양한 야외 테마정원과 체험놀이를 즐길 수 있는 퍼스트가든 경기도 파주시 상지석동에 위치한 퍼스트가든은 자연과 함께 문화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33가지 이야기가 있는 곳으로, 다양한 야외 정원과 체험놀이를 즐길 수 있는 테마정원이다. 야외정원으로는 토스카나광장을 비롯하여 제우스 벽천호수ㆍ자수가든ㆍ로즈가든ㆍ파티가든 등이 있으며, 체험ㆍ놀이시설로는 세 모이주기 체험ㆍ땟목체험ㆍ미니동물원 등 다양한 시설들이 마련되어 있다. 제우스 벽천분수는 제우스가 내리는 물의 향연이 펼쳐지는 정원으로, 로마신화의 최고의 신인 제우스가 살던 신전 위에서 제우스가 세상을 바라보던 분수가 있다. 또한 하늘에서 물이 넘쳐흐르는 듯한 폭포사이로 예술가들이 그린 ‘사라진 도시의 복원’이라는 벽화가 있는 분수이기도 하다. 자수화단은 바다의 신(넵튠)을 중심으로 상록 자수로 장식한 정원으로, 르.. 2019. 5. 8. 아름다운 팔당호 풍경을 바라볼 수 있는 팔당전망대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분원리에 위치한 팔당전망대는 팔당물환경전시관 9층에 있는 전망대로, 팔당호의 아름다운 풍경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곳이다. 팔당호(八堂湖)는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과 남종면에 걸쳐있는 호수로 서울ㆍ경기지역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1973년에 팔당댐 완공으로 약 2억 5천만톤의 물을 저수하고 있다고 한다. 팔당호는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묶인 북한강 삼봉리ㆍ문호리와 남한강 국수리ㆍ영동리 지점까지를 일컫는 호수이며, 생태 환경이 빼어난 물의 천국이다. 팔당호전망대에서는 수력발전으로 전력을 생산하고 수도권 용수 공급과 홍수 조절 기능을 해오고 있는 팔당댐과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류하는 두물머리를 한눈에 바라볼 수도 있다. 팔당물환경전시관과 팔당전망대 관람은 무료이며, 관람시간은 09.. 2019. 4. 24. 조선 개국공신 구정(龜亭) 남재(南在) 묘역(墓域)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의 별내역사문화공원 내에 위치한 구정(龜亭) 남재(南在) 묘역(墓域)은 조선의 개국공신인 충경공(忠景公) 남재의 묘가 있는 곳으로, 묘 아래에는 사당인 충경사(忠景祠)가 자리하고 있다. 구정(龜亭) 남재(南在)는 1371년(고려 공민왕 20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여 관직에 올라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할 때 아우 남은(南誾)과 함께 이성계를 도와 회국공신에 봉해졌으며, 조선이 개국되자 개국공신 1등으로 올랐다. 남재(南在)는 1396년에 도병마사가 되어 대마도 정벌에 참여하여 공을 세우기도 하였으며, 방원(태종)이 왕위에 오르는 데에도 큰 공을 세웠다고 한다. 그는 성품이 활달하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산술(算術)에도 능통해 ‘남산(南算)’이라 일컬었으며, 저서로는 ‘구정유고(龜亭.. 2019. 4. 2. 예술과 과학의 오감적 체험, 인터렉티브 아트 뮤지엄(Interactive Art Museum)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복장리에 위치한 인터렉티브 아트 뮤지엄(Interactive Art Museum)은 우리나라 최초로 예술에 최첨단 과학을 접목시켜, 어렵게 느껴지는 미술을 신기하고 환상적인 경험을 느낄 수 있도록 제작된 신개념 미술 콘텐츠라고 한다. 인터렉티브 아트는 문화예술적 콘텐츠와 입체적 상호작용 체험을 통한 시각적 착시효과와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오감적 체험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전시공간이다. 전시된 작품에는 첨단 과학기술을 접목하여 관객의 행동을 감지하여 반응하며, 관객은 소리나 행동에 의해 작품과 하나가 되어 또 다른 상황을 연출할 수도 있는 신기한 콘텐츠라 할 수 있다. 또한, 관객이 직접 터치하거나 조정해 스토리텔링을 만들어가기도 하고, 빛을 매개로 과학과 예술이 만들어내는 신기하고.. 2019. 3. 26.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 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