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85 인천 바다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인천 자유공원 인천시 중구 송학동에 위치한 자유공원(自由公園)은 민족상잔의 뼈아픈 기억을 되살리는 인천의 상징적인 공원이며, 공원 위치가 높아 인천 바다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다. 자유공원은 응봉산(鷹峰山) 남쪽에 자리한 우리나라 최초의 서구식 공원으로 개설 당시부터 상당한 규모를 갖추고 있었으며, 공원 주변 숲이 울창하여 산책하기 좋은 공원이기도 하다. 자유공원 내에는 6.25전쟁 당시 인천상륙작전을 감행한 맥아더장군 동상을 비롯하여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탑ㆍ인천 학도의용대 호국기념탑 등이 있으며, 울창한 숲과 산책로를 따라 연오정(然吾亭)과 석정루(石汀樓) 등의 정자도 있다. 자유공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대형 공공시설로서 인천항 개항 5년 후인 1888년에 우크라이나 토목기사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이 설계한 인천소재.. 2023. 12. 18. 전통민속상여놀이, 서울사진촬영대회 한국사진작가협회 각 지부 및 지회 또는 각 분과에서는 매년 다양한 전국사진촬영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지역축제와 더불어 아름다운 미녀모델들을 초빙하여 개최하는 사진촬영대회가 대부분이다. 서울 중구 회현동에 위치한 남산골 한옥마을에서는 지난 2023. 10월에 전국의 수많은 사진애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사)한국사진작가협회가 주최하고 (사)한국사진작가협회 창작사진분과위원회가 주관하는 ‘2023 서울사진촬영대회’가 있었다. 사진촬영대회의 대부분은 아름답고 우아한 한복 모델이나 벨리댄스 등 다양한 모습으로 연출하는 모델들을 촬영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사물놀이나 상여놀이 등 민속놀이를 소재로 촬영하는 경우도 많다. 상여놀이는 죽은 사람이 저승에 가기 전에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상두가(喪頭歌)를 부르면서 마을을 .. 2023. 12. 17. 통쾌하고 후련한 액션 스릴러영화, 테이큰(Taken) 영화 테이큰(Taken)은 유럽으로 여행 온 여성들을 납치하여 수 억원에 팔아넘기는 상상을 초월하는 거대한 인신매매 조직과 납치된 딸을 구하려는 전직 수사요원 아버지의 끈질긴 추적에 관한 액션 스릴러 영화이다. 영화 ‘테이큰’의 ‘리암 니슨(Liam Neeson)’표 액션에 힘입어 이후 테이큰(Taken) 시리즈로 시즌3까지 만들어져 여러 시리즈 액션 영화들처럼 흥행에 성공한 테이큰의 원조 영화이기도 하다. 영화 ‘테이큰’은 사랑하는 딸이 인신매매범에 의해 납치당하자 전직 특수요원 출신한 아버지가 96시간 내에 납치당한 딸을 구출해야만 한다는 절박한 구출전을 그린 영화로, 우리나라 영화 ‘추격자’ 그 이상의 숨 막히는 스릴과 잠시도 눈을 뗄 수 없는 긴장감을 불러일으키는 영화라 할 수 있다 처와는 이혼하.. 2023. 12. 16. 서울식물원의 아름답고 화려한 난초 서울 강서구 마곡동에 위치한 서울식물원은 공원과 식물원을 결합한 보타닉 공원으로, 약 50만4천㎡ 규모에 실내 온실과 호수원ㆍ습지원ㆍ열린 숲ㆍ주제정원 등 4곳의 야외 테마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식물원의 실내 온실은 열대관ㆍ지중해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온실에 들어서면 팔레놉시스를 비롯하여 심비디움ㆍ온시디움ㆍ덴드로비움ㆍ카틀레야ㆍ파티오페딜룸 등 아름답고 화려한 난초들이 입장객을 반겨주고 있다. 팔레놉시스(Phaelenopsis)는 미얀마ㆍ필리핀ㆍ태국 등 주로 동남아시아가 원산이며 우리나라에서는 꽃이 나비를 닮아 주로 호접란으로 불리고 있으며, 꽃이 아름답고 최근 공기정화기능이 알려지면서 실내 분화용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다. 팔레놉시스는 전형적인 단경성 난으로 가짜비늘줄기(벌브)가 없고 짧은 줄기에 넓고 .. 2023. 12. 15. 먹거리와 볼거리의 대표적 관광지, 인천 차이나타운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에 위치하고 있는 인천 차이나타운은 중국의 독특한 문화가 형성된 곳으로, 중국식 요리 먹거리와 함께 삼국지 벽화 등 다양한 조형물 볼거리도 즐비한 대표적인 관광지이다 인천 차이나타운은 1882년에 40여명의 군역 상인들이 비단ㆍ광목ㆍ농수산품 및 경공업품 등을 팔며 인천에 정착한 이후에 지금의 차이나타운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군역 상인들은 조선에 귀한 비단ㆍ광목ㆍ농수산품 및 경공업품 등을 팔면서 엄청난 이익을 남겼으며, 장사가 잘되니 상가건물과 가옥이 필요하였고 중국식 건축에 필요한 목수ㆍ기와공ㆍ미장공들도 조선에 오게 되어 지금의 차이나타운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당시의 차이나타운은 6.25전쟁과 인천상륙작전 때에 인천을 향한 함포사격을 정면으로 받아 거의 파괴되었으며, 그 당시 즐비하.. 2023. 12. 14. 인천의 벽화동화 골목길, 송월동 동화마을 인천시 중구 송월동 골목길 일대에 조성된 송월동 동화마을은 우리나라 전래동화와 세계명작동화 속에 나오는 배경과 캐릭터들을 비롯하여 아기자기한 그림들이 그려진 벽화와 조형물 등을 만날 수 있다. 송월동 동화마을은 인천의 오래된 달동네였던 곳을 주택가 골목골목에 벽화를 그려 재정비한 곳으로, 꽃길을 만들고 세계 명작 동화 등을 담벼락 그림과 조형물로 조성하여 동화마을로 변화시킨 곳이다. 골목길 곳곳에는 누구에게나 익숙한 우리나라 동화인 선녀와 나무꾼ㆍ도깨비 방망이ㆍ혹부리 영감ㆍ흥부전ㆍ 별주부전 등을 비롯하여 세계적 동화인 백설공주ㆍ신데렐라ㆍ오즈의 마법사ㆍ미녀와 야수 등 동화 속 주인공들을 벽화와 조형물로 가득하다. 송월동(松月洞)이라는 지명은 소나무가 많아 솔골 또는 송산으로도 불리었다고 하며, 소나무 숲 .. 2023. 12. 13. 신세계백화점 미디어 파사드(media facade)와 명동 야경 서울 중구 충무로1가에 위치한 신세계백화점 본점 외벽에는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역대 최대 규모의 화려하고 아름다운 미디어 파사드(media facade)를 선보이고 있다. 미디어 파사드는 총 375만 개의 LED 칩을 사용하여 63×18m 크기의 대형 스크린으로 선보이고 있으며,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몰입감과 함께 생동감을 전하고 있다. 신세계백화점 미디어 파사드(media facade) 이번 신세계백화점 본관 미디어 파사드의 주제는 ‘신세계 극장’이라고 하며, 3분 18초 동안 한 편의 크리스마스 판타지 드라마를 선보이고 있다. 붉은 커튼이 열리면 금빛 사슴을 따라 상상 속 크리스마스 세상으로 들어가게 되며, 경쾌한 캐럴과 함께 꼬마병정ㆍ루돌프ㆍ테디베어와 함께 밤하늘을 달리는 선물 기차와 크리스마스트리로.. 2023. 12. 12. 전통 한옥가옥을 이전ㆍ복원한 마을, 남산골 한옥마을 서울 중구 필동에 위치한 남산골 한옥마을은 서울의 사대부가로부터 일반 평민의 집에 이르기까지 전통 한옥 다섯 채를 1998년에 이전ㆍ복원한 마을이다. 남산골 한옥마을은 남산골 제모습찾기 사업 일환으로 옛 선조들의 정취를 되살리기 위하여 7,934㎡ 대지에 조선후기 서울의 주거문화와 당시의 건축기술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각 공간의 중요도에 따라 지붕의 높낮이와 모양을 달리하는 세련미도 보여주고 있다. 옥인동 윤씨 가옥(玉仁洞 尹氏 家屋)은 1910년도에 지은 것으로 순정효황후의 큰아버지인 윤덕영의 소유였던 가옥이었다고 하며, 규모가 큰 ⨅ 자형 안채에 사랑채 구실을 하는 마루방과 대문간이 더해져 ㅁ자형 배치를 이루고 있으며, 당시 최상류층의 주택이라 한다. 원래의 가옥 부재(部材)가 너무 낡고 손상이 심.. 2023. 12. 11. 아름답고 상큼한 미녀모델 서울 중구 회현동에 위치한 남산골 한옥마을에서는 지난 2023. 10월에 전국의 수많은 사진애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사)한국사진작가협회가 주최하고 (사)한국사진작가협회 창작사진분과위원회가 주관하는 ‘2023 서울사진촬영대회’가 있었다. 촬영대회 식전행사로 경쾌한 밸리댄스와 무용을 시작으로 청명한 가을하늘을 배경으로 아름답고 우아한 한복 모델 등 다양한 모습을 연출한 모델들이 멋진 포즈를 보여주었다. 2023. 12. 10. 운명적 만남과 사랑의 아픔을 그린 영화, 데이지(Daisy) 영화 ‘데이지(Daisy)’는 수채화 같이 아름다운 한 여자를 사랑한 킬러와 형사의 피할 수 없는 운명적 만남, 그리고 이들 세 남녀의 다가갈 수도 드러낼 수도 없는 사랑의 아픔을 그린 영화라 할 수 있다. 문득 이 영화를 보면서 김종국이 노래한 ‘별, 바람, 햇살 그리고 사랑’을 영화화 한 듯한 느낌을 받았다. ‘날 부르며 웃는 너 단 한 사람 너만 있어 주면 돼, 이 세상 무엇도 널 대신할 순 없어 baby don't you never cry 아름다워~ 네가 있는 이 세상, 사랑하기에 나는 행복하니깐.’ 영화 ‘데이지’는 ‘이 세상 그 무엇도 대신할 수 없는 단 한 사람, 날 부르며 웃고 있는 너만 있어주면 행복하다’는 노래가사처럼, 슬프지만 애틋한 세 남녀 간의 사랑 이야기이며, 사랑하는 사람이 다.. 2023. 12. 9. 국립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실 여성 혼례복, 활옷 만개(滿開)’ 서울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한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왕조와 대한제국의 역사ㆍ문화의 정수 등 왕실문화의 다양한 문화유산 등이 전시되어 있는 국립박물관이다. 국립고궁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는 지난 2023. 9. 15(금)부터 오는 2023. 12. 13(수)까지 ‘조선왕실 여성 혼례복, 활옷 만개(滿開)’ 특별전시를 하고 있다. 활옷은 조선의 공주ㆍ옹주가 혼례에 갖추어 입었던 의례복으로, 진한 붉은 비단 위에 자수 등 장식이 더해져 우리 고유 복식의 전통을 이은 긴 겉옷이며 치마ㆍ저고리 등 여러 받침옷 위에 착용해 혼례복을 완성하는 역할을 한다. 조선왕실의 울타리를 넘어 점차 민간으로 퍼진 활옷에는 이제 갓 부부가 되는 모든 인연의 새로운 시작을 응원하고 축원하는 그들의 삶이 활짝 피어나길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 2023. 12. 8. 송도 센트럴파크의 황홀한 야경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에 위치한 송도 센트럴파크는 바닷물을 실시간 정화하여 1급수 상태의 해수를 공원 내에 끌어들여 조성한 우리나라 최초의 해수 공원이라고 한다. 송도 센트럴파크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최첨단 건물인 동북아 트레이드 타워(Northeast Asia Trade Tower) 빌딩이 우뚝 솟아 있으며, 공원을 따라 호수주변에는 고층빌딩들이 즐비하여 이국적인 풍경을 자아낸다. 송도 센트럴 파크에는 고층빌딩 뿐만 아니라 특색 있는 현대건축물이라 할 수 있는 ‘송도 트라이보울(Tri-bowl)’이라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인 독특한 건축물이 자리하고 있다. 트라이보울은 커다란 그릇이 연못 위에 떠 있는 듯한 건물로, 하늘ㆍ바다ㆍ땅이 어우러진 인천을 상징하는 동시에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ㆍ영종ㆍ청라의 의.. 2023. 12. 7. 조선왕조 왕과 왕후의 신주를 모신 사당, 종묘(宗廟) 서울 종로구 훈정동에 위치한 종묘(宗廟)는 조선왕조 역대 왕과 왕후 및 추존된 왕과 왕후의 신주를 모신 사당으로서 태묘(太廟)라고도 하며 가장 정제되고 장엄한 건축물 중의 하나이다. 종묘는 조선 왕조가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1394년(태조3년) 12월에 착공하여 1395년 9월에 완공 하였으며, 곧이어 개성으로부터 태조의 4대조인 목조ㆍ익조ㆍ도조ㆍ환조의 신주를 모셨다고 한다. 망묘루(望廟樓)는 향대청 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향(祭享)때 임금이 머물면서 사당을 바라보며 선왕(先王)과 종묘사직을 생각한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며, 망묘루는 건물 중 한 칸이 누마루로 되어 있다. 종묘의 건축은 중국의 제도를 본떠 궁궐의 좌변(左邊)에 두었으며, 종묘 내에는 종묘의 중심인 정전(正殿)을 비롯하여 영녕전ㆍ전사.. 2023. 12. 6. 창경궁 춘당지와 단풍숲길 산책 서울 종로구 와룡동에 위치한 창경궁(昌慶宮)은 창덕궁과 연결되어 동궐(東闕)이라는 하나의 궁역을 형성하면서, 독립적인 궁궐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창덕궁의 모자란 주거공간을 보충해주는 역할을 하였다고 한다. 창경궁은 상왕(태종)의 거처를 위해서 세종이 마련하였던 수강궁(壽康宮) 터에 세조비 정희왕후ㆍ예종비 안순왕후ㆍ덕종비(추존왕) 소혜왕후 세분의 대비를 모시기 위해 창건한 궁궐이며 정치공간인 외전(外殿)보다는 생활공간인 내전(內殿) 궁궐이었다. 창경궁의 춘당지(春塘池)는 본래 활을 쏘고 과거를 보던 창덕궁의 춘당대(春塘臺) 앞 너른 터에 자리했던 작은 연못(소춘당지)이었으며, 지금의 춘당지는 백성에게 모범을 보이기 위해 왕이 직접 농사를 지었던 내농포(內農圃)라는 논이었다고 한다. 춘당지(春塘池)는 창덕궁.. 2023. 12. 5. 생활공간인 내전(內殿) 궁궐, 창경궁(昌慶宮) 서울 종로구 와룡동에 위치한 창경궁(昌慶宮)은 조선 5대 궁궐 중 하나로 1483년(성종 14년)에 건립하여 창덕궁과 함께 동궐(東闕)이라고도 하였으며 정치공간인 외전(外殿)보다는 생활공간인 내전(內殿) 궁궐이었다. 창경궁은 1418년(세종 즉위년)에 상왕으로 물러난 태종의 거처를 위해서 세종이 마련하였던 수강궁(壽康宮) 터에 세조비 정희왕후ㆍ예종비 안순왕후ㆍ덕종비(추존왕) 소혜왕후 세분의 대비를 모시기 위해 창건한 궁궐이다. 홍화문(弘化門)은 창경궁의 정문으로 조선 중기의 정면 3칸 측면 2칸의 동향 중층 우진각 지붕의 대문이며, 홍화문 왼쪽의 서북쪽 모서리에 계단이 있어서 위층으로 오르내릴 수 있다. 홍화문은 1484년에 세웠으나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16년에 다시 지어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보.. 2023. 12. 4.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