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1582 시원하게 쏟아지는 인공폭포, 용마폭포공원 서울 중랑구 면목동에 위치한 용마폭포공원은 아차산 최고봉인 용마산 중턱에 위치하고 있는 공원으로, 본래는 채석장이었지만 1993년에 용마돌산공원으로 문을 열고 1997년에 용마폭포공원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용마폭포는 용마폭포공원에 있는 인공폭포로서 높이 51m 크기로 조성되었으며, 용마폭포 좌측에는 21.4m의 좌청룡(左靑龍) 청룡폭포, 우측에는 21m의 우백호(右白虎) 백마폭포가 있고 그 아래 연못이 설치되어 있는 거대하고 웅장한 폭포다. 용마폭포공원, 용마폭포(龍馬瀑布) 용마폭포는 아시아 최대의 인공폭포로 평가된다고 하며, 가동 시기는 매년 5월~8월까지 가동하여 폭포수가 시원하게 흘러내려서 장관을 이루고 있으며, 폭포가 가동하지 않는 겨울철에는 폭포 빙벽 타기 체험과 인공 연못 스케이트장.. 2025. 6. 4. 화사한 봄꽃들의 축제, 2025 자라섬 꽃 페스타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달전리에 위치한 자라섬은 동도ㆍ서도ㆍ중도ㆍ남도 등 4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는 북한강의 작은 섬이며, 각 섬마다 특색 있는 레저 및 생태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자라섬 남도에는 테마정원을 조성하여 10만9천500㎡ 규모에 계절마다 다양한 꽃밭으로 꾸미고 있으며, 자라섬이라는 이름은 ‘자라처럼 생긴 언덕’이 바라보고 있는 섬이라 하여 붙어졌다고 한다. 자라섬 남도에서는 매년 봄과 가을에 ‘자라섬 꽃 페스타’를 실시하고 있으며, 지난 2025. 5. 24(토)부터 6. 15(일)까지 ‘2025 자라섬 꽃 페스타’ 봄꽃 축제가 있었다. 이번 봄꽃 페스타 축제에는 80,710㎡ 규모에 양귀비꽃ㆍ수레국화ㆍ페튜니아ㆍ하늘바라기ㆍ청유채ㆍ수국 등 다양한 봄꽃을 식재하였다고 하며, 한편으로는 이상기온.. 2025. 5. 30. 나무숲과 문화가 어우러진 녹색 쉼터, 서울숲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위치하고 있는 서울숲은 계절마다 다양한 꽃과 더불어 숲과 문화가 어우러지는 서울의 대표적인 녹색 쉼터라 할 수 있으며, 문화예술공원ㆍ생태숲ㆍ체험학습원ㆍ습지생태원 등 4개의 테마공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숲은 한강이 공원 옆으로 흐르고 있는 35만평의 푸른 숲으로, 자연과 함께 숨 쉬는 생명의 숲이며 시민들이 함께 만든 참여의 숲이라고 한다. 서울숲 중앙호수는 서울숲 중앙에 자리한 호수이며, 호수 속에는 다양의 물고기들이 서식하고 있다고 하며, 중앙호수 주변에는 울창한 수목과 함께 계절마다 다양한 초화류를 식재하여 서울숲에서도 대표적인 꽃 정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서울숲은 한강과 중랑천을 끼고 있는 서울 동북부의 새로운 시민휴식공간으로 세계적 생태공원을 만들고자 서울시와 기업.. 2025. 5. 29. 일제 항거와 독립에 앞장선 독립유공자 묘역, 서울 수유 국가관리 묘역 서울 강북구 수유동의 북한산 자락에 위치한 서울 수유 국가관리 묘역은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해 희생ㆍ헌신 하신 독립유공자 15인의 묘소와 이역만리 타국에서 후손도 없이 순국하신 한국광복군의 합동묘소가 마련되어 있는 곳이며, 국가보훈처는 독립유공자 산재 묘소 일대를 2021년 2월에 제1호 국가관리묘역으로 지정하였다. 수유 국가관리 묘역에는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밀사였던 이준(李寯) 열사를 비롯하여, 정치인이면서 독립운동가인 신익희(申翼熙) 묘, 대한민국 초대 부통령을 역임한 이시영(李始榮) 묘, 유림 출신 독립운동가인 김창숙(金昌淑)묘, 그리고 대한민국의 미래상임을 알리기 위해 설립한 근현대사기념관(近現代史記念館) 등이 있다. 이준(李寯) 열사는 1907년 고종의 밀사로 이상설ㆍ이위종과 함께 네덜란드.. 2025. 5. 28. 시원한 강바람과 꽃향기 가득한 강변공원, 구리한강시민공원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에 위치한 구리한강시민공원은 한강변을 따라 약 40만㎡ 규모로 조성한 한강공원으로, 드넓은 잔디밭과 함께 계절마다 봄에는 노란 유채꽃 축제를, 가을에는 코스모스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구리한강시민공원은 한강변을 따라 조성한 서울의 잠실ㆍ반포ㆍ망원ㆍ광나루ㆍ뚝섬 등 한강시민공원 등과 같이 경기도 한강에 조성한 대표적인 시민 휴식공간이라 할 수 있다. 구리한강시민공원 일원에서는 지난 2025. 5. 9(금)부터 2025. 5. 11(일)까지 3일간 ‘유채 만발, 구리의 봄’ 주제로 ‘2025 구리 유채꽃축제’가 진행되기도 하였다. 유채꽃축제는 끝났지만 한강공원 곳곳에 조성된 꽃밭에서는 다양하고 아름다운 꽃들을 만날 수 있고, 가족이나 연인들이 나들이하기도 좋은 공원이다. 노랑꽃창포는 붓.. 2025. 5. 27. 중랑장미공원의 황홀한 장미 서울 강북에 위치한 중랑천(中浪川)은 경기도 양주시 불곡산에서 발원하여 서울 북부를 가로지르며 흐르는 한강의 제1지류(支流)이며, 총 길이는 45.3㎞로 서울의 하천 중에서 가장 길다. 중량천의 하류는 철새들의 놀이터와 철새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중랑천 구간마다 각 자치구에서 계절마다 장미ㆍ유채꽃ㆍ코스모스 등 꽃밭을 조성하여 자생하는 야생화와 더불어 다양한 꽃들을 만날 수 있도록 꾸며 놓았다. 중랑장미공원은 중랑천 범람을 막기 위해 중랑천변에 1970년대 축조되었던 제방이었으며, 이후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로 실직한 사람들을 구제하기 위하여 정부에서 공공근로사업을 시작할 때 중랑천 제방에 장미를 심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이후에도 중랑구에서는 중랑천에 계속 장미를 심었고 2005년에는 주민들.. 2025. 5. 23. 서울에서 가장 예쁜 축제, 제17회 중랑 서울장미축제 서울 북부에 위치한 중랑천(中浪川)은 경기도 양주 불곡산에서 발원하여 동부간선도로와 강변북로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한강과 합류하는 총 45.3㎞ 규모의 한강 제1지류(支流)이다. 중량천변에는 자생하는 야생화뿐만 아니라 구간마다 각 자치구에서 계절마다 장미ㆍ유채꽃ㆍ코스모스 등 꽃밭을 조성하여 다양한 꽃들을 만날 수 있도록 꾸며 놓았다. 중랑천변의 묵동교~겸재교 구간의 중랑장미공원 일원에서는 지난 2025. 5. 16(금)부터 5. 18(일)까지 ‘서울에서 가장 예쁜 축제’라는 슬로건으로 ‘제17회 2025 중랑 서울장미축제’가 있었다. ‘중랑 서울장미축제’는 2009년도에 장미정원을 조성하기 시작하여 중랑구 최초의 장미축제를 개최하였으며 2015년부터 ‘서울장미축제’로 불리다가 2024년부터 ‘중랑 서울.. 2025. 5. 22. 서울숲의 숨은 비경(祕境), 습지생태원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위치한 서울숲은 한강이 공원 옆으로 흐르고 자연과 함께 숨 쉬는 생명의 숲이며 시민들이 함께 만든 참여의 숲으로, 서울의 대표적인 녹색쉼터 공원이다. 서울숲은 습지생태원을 비롯하여 문화예술공원ㆍ자연생태숲ㆍ자연체험학습원 등 4개의 테마공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서울 동북부의 새로운 시민휴식공간이다. 서울숲 습지생태원은 유수지의 기존 자연 환경을 활용하여 습지원을 비롯하여 조류 관찰대ㆍ생태학습장ㆍ유아숲 체험장ㆍ논습지ㆍ습지 초화원ㆍ환경 놀이터 등을 조성한 곳이라고 한다. 습지원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생물로는 유수지 주변에서 관찰할 수 있는 제비를 비롯하여 서울숲 계류에서 쉽게 관찰되는 와가리ㆍ우렁이ㆍ새우ㆍ송사리 등이 있다고 한다. 서울숲 습지생태원에는 논습지 1개소와 전기줄 400m 등.. 2025. 5. 21. 일산호수공원에서 만나는 다양한 꽃향기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에 위치한 일산호수공원은 자연호수에 인공호수를 조성하여 자연생태를 그대로 살린 우리나라 최대의 인공호수공원이라고 하며, 20만여 그루의 나무들과 다양한 야생화들이 식재되어 있다고 한다. 일산호수공원 일원에서는 매년 봄ㆍ가을에는 세계꽃박람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지난 2025. 4. 25(금)~5. 11(일)까지 ‘꽃, 상상 그리고 향기’를 주제로 약 1억 송이의 꽃이 전시된 ‘2025 고양국제꽃박람회’가 전시되기도 하였다. 호수공원 일원에서의 꽃박람회 전시는 끝났지만 공원 곳곳에는 꽃동산이 조성되어 있고, 경관 또한 아름다워 호숫가를 따라 한 바퀴 산책하기도 좋다. 장미(薔微)는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 정원이나 공원에 관상용으로 가장 많이 가꾸어 온 꽃이며, 흰색ㆍ노란색ㆍ오렌.. 2025. 5. 20. 일제강점기 농촌계몽 운동가, 최용신기념관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샘골서길에 위치한 최용신기념관(崔容信紀念館)은 2007년 11월에 독립운동가인 최용신의 묘가 있는 상록수공원 내에 그의 생애와 사상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하여 안산시에서 건립하였다. 최용신기념관은 최용신과 당시 샘골마을(현재 본오동) 사람들이 함께 세운 ‘샘골강습소’ 자리에 제자인 고(故) 홍석필씨의 기부와 안산 시민들의 힘이 모여 개관한 공립박물관이며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이다. 최용신기념관 지층에는 최용신의 삶과 정신을 영원히 기억하는 주제의 상설전시실과 교육영상실이 마련되어 있고, 지상에는 어린이 체험전시실로 구성되어 있다. 기념관에서는 최용신을 재조명하는 다양한 전시와 나라 사랑과 상록수 정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교육프로그램을 상시 운영하고 있으며, 아울러 지역 시민과 .. 2025. 5. 16. 2025 구리 유채꽃축제, 구리국악제 댄스 공연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에 위치한 구리한강시민공원은 한강변을 따라 약 40만㎡ 규모로 조성한 한강시민공원으로, 봄에는 노란 유채꽃 축제를 개최하고, 가을에는 코스모스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구리한강시민공원 일원에서는 지난 2025. 5. 9(금)부터 2025. 5. 11(일)까지 3일간 ‘유채 만발, 구리의 봄’ 주제로 ‘2025 구리 유채꽃축제’가 있었다. 2025 구리 유채꽃축제, 댄스 공연 축제기간 중에는 레트로 감성을 느낄 수 있는 옛날 교복체험 이벤트를 비롯하여 디자인 프레임을 활용하여 유채꽃 축제의 추억을 남기는 인생네컷 체험, 그리고 야간에는 빛으로 그리는 예술사진 촬영인 라이트페인팅 등의 체험 프로그램 등도 운영하였다. 또한, 구리 유채꽃축제 기간 중 마지막 날 메인무대에서는 구리연예예술인협.. 2025. 5. 15. 구리국악제 축하공연, 2025 구리 유채꽃축제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에 위치한 구리한강시민공원 일원에서는 지난 2025. 5. 9(금)부터 2025. 5. 11(일)까지 3일간 ‘유채 만발, 구리의 봄’ 주제로 ‘2025 구리 유채꽃축제’가 있었다. 구리한강시민공원에서는 봄ㆍ가을의 꽃축제 뿐만 아니라 계절마다 다양한 꽃을 만날 수 있는 강변공원으로, 시원한 강바람과 함께 가족 나들이와 연인들의 데이트 장소로도 인기가 높은 시민공원이라 할 수 있다. 유채꽃 축제기간 중에는 다양한 체험 이벤트와 함께 잔디광장에 마련된 메인 무대에서는 구리국악협회에서 마련한 구리국악제를 비롯하여 가곡의 밤ㆍ가수들의 축하공연 등 다채로운 공연도 있었다. 축제 마지막 날의 구리국악제 공연에서는 우리 민요ㆍ판소리ㆍ가야금 연주 등 다양하고 풍성한 공연을 선보여 수많은 관중들의 .. 2025. 5. 14. 이전 1 2 3 4 5 ··· 132 다음